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및 국제심포지엄 (2017년 10월) 322

321.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에 국내 주요 작물에 대한 나방류 피해 및 가해종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현재까지 다양한 계통의살충제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시기별로 1990년대까지 Carbamate계, Organophosphate계 및 Pyrethroid계가 개발되어많이 사용하였으나 1997년 Emamectin benzoate , 2000년 Indoxacarb가 개발 되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2007년이후에 새로운 작용기작의 Diamide계 살충제가 개발되었고 빠른 섭식억제와 높은 방제효과로 사용량이 증가하면서Diamide계 살충제 사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과수 재배면적 증가에 따른 해충피해가 증가하였고, 해충종은 사과굴나방, 복숭아유리나방, 복숭아심식나방,복숭아순나방은 발생하였다(RDA,1988). 원예작물에서는 재배면적의 증가와 재배작물의 다양화로 시설에서 해충발생의 변화하기 시작했다.이와 같이 주요 작물에 대한 나방피해가 점점 증가하는 실정이며 해충종합관리(IPM)와 살충제저항성관리(IRM)의다양한 방제방법을 이용한 저항성의 발현최소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32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작용기작이 동일한 농약을 연속하여 사용하였을 때 방제대상이 되는 병해충·잡초 중 약제에 대한 저항력이강한 개체들만이 살아남게 되고 다음세대에서도 같은 현상이 반복된 결과 저항력이 더욱 증가되어 이전에 사용한약량으로는 병해충・잡초가 방제되지 않는 약제저항성 현상이 나타난다. 신규살충제는 시장에 판매되는 첫 해부터대상해충의 저항력이 언제 나타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주기적인 약제저항성 모니터링을 하여야 한다. 파밤나방은파, 배추 등의 주요한 작물의 해충으로 신규 살충제들의 중요 방제대상 해충이다. 파밤나방을 이용한 약제저항성모니터링 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채집지역 선정, 약제농도설정, 유충사육기술, 생사충 판단기준설정, 데이터분석프로그램운용 및 약제저항성 판정기준설정 등의 여러 요인들에 대한 기술과 관리가 요구된다. 약제저항성 모니터링시험은 장기간에 걸쳐 일관성 있게 유지되어야 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한다.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