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타리버섯과의 잣버섯속에 속하는 표고(Lentinula edodes)는 혈압 및 혈중콜레스테롤 강하 작용이 있으며, 장미과의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의 미성숙 과실인 복분자는 항염증작용 과 항산화 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생약초를 표고균사로 발효한 식품 개발을 위하여, 예비실험 을 통하여 첨가비율을 20%로 결정하였으며, 표고 균사체로 배양한 후,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버섯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성 물질인 β-glucan과 아미노산을 분 석하였다. β-Glucan은 다당류의 일종으로 면역증강작용을 가지고 있어, 인간정상세포의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표고의 β -glucan의 함량은 35.13%로 나타났으며,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8,697.36 mg%로 나타났다. 그 중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3,226.85 mg%로 나타났다. 현미에 복분자 부산물 20%를 첨가 하여 표고 균사체를 배양한 배양미의 β-glucan 함량은 15.91%로 나타났으며,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6,800.67 mg%로 나타났다. 그 중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2,482.09 mg%로 나타났다. 배양미의 β-glucan함량은 표고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지만 다량 섭취가능한 배양미 특성상, 가공상품개발로 더 많은 양의 β-glucan 섭취가 기대된다. 사 사 : 본 연구는 산업통산자원부 지역특화기술융복합연구지원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주름버섯목의 주름버섯과에 속하는 신령주름버섯(Agaricus blazei Murr.)은 주로 남미의 브 라질 동남부 상파울루 지방의 부식질이 많은 산지에서 자생한다. 신령버섯은 혈당강하, 혈압 강하 및 콜레스테롤을 저해하며, 면역을 증진하고 암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신령주름버섯의 기능성 물질을 활용하여 항산화 제품 개발의 일환으로 신령주름버섯의 조단 백, 아미노산, 무기성분 그리고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신령주름버섯의 총아미노산 의 함량은 7,815.96 mg%로 나타났으며, 그 중 필수아미노산인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histidine 및 lysine의 함량은 3,287.03 mg%로 나타났다. 신령주름버섯의 무기성분 함량은 칼륨(K)이 2,407.96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마그네슘, 나트륨, 그리고 칼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신령주름버섯의 β-glucan 함 량은 14%로 나타났다. 신령주름버섯은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나 환자, 노인들을 대 상으로 한 의․영양식품개발의 소재로 잠재력이 크다고 본다. 사 사 : 본 연구는 산업통산자원부 지역특화기술융복합연구지원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민주름버섯목의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는 영지(Ganoderma lucidum)는 정신안정, 심장병 및 고혈암 예방 효과가 있으며, 복분자(Rubus coreanus)는 항염증작용과 항산화 작용이 보고 되어 있다. 영지버섯 균사체를 활용하여 생약초 발효 식품을 개발하고자, 현미에 복분자 부산 물 20%첨가한 후, 영지균사체로 배양하여, 동결건조한 후, 시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약초 발효 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구성아미노산과 기능성 물질인 β-glucan의 함량을 분석하 였다. β-Glucan은 다당류의 일종으로 면역증강작용을 가지고 있어, 인간정상세포의 면역기능 을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증식과 재발을 억제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영지의 구성아미노산 의 함량은 3,054.35 mg%로 나타났으며 그 중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1,514.76 mg%로 나타났 고, β-glucan 함량은 18.25%로 나타났다. 현미에 복분자 부산물 20%를 첨가하여 표고 균사체 를 배양한 배양미의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6,489.02 mg%로 나타났으며 그 중 필수아미노산 의 함량은 2,439.34 mg%로 나타났고, 배양미의 β-glucan 함량은 9.9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복분자, 영지 및 현미의 배합으로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아짐을 보여, 아미노산 함유 가공식품 개발에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사 사 : 본 연구는 산업통산자원부 지역특화기술융복합연구지원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민주름버섯목의 꽃송이버섯과에 속하는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Fr.)은 백색이나 밤색 으로 물결치는 모양으로,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살아 있는 나무의 뿌리 근처나 그루터기 등에 뭉쳐서 자생한다. 버섯류 중에 β-glucan 함량이 높고, 항산화, 고혈압 및 알레르기 완화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꽃송이 버섯의 기능성 물질을 활용한 항산화 제품 개발을 위하여 꽃송이 버섯의 조단백, 아미노산, 무기성분, ergothioneine 그리고 β-glucan의 함량을 분석하 였다. 꽃송이버섯의 조단백질의 함량은 4.93%였으며,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2,586.52 mg%로 그 중 필수아미노산은 1,214.55 mg%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중 필수아미노산인 leucine의 함량 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eucine은 음식섭취를 하지 않을 때 glucose 대신 에너지를 생성하 는 유일한 amino acid이며, 혈당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꽃송이버섯의 무기성분 함 량은 칼륨(K)이 2,283.56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마그네슘(Mg), 나트 륨(Na), 그리고 칼슘(Ca)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꽃송이버섯의 ergothioneine 함량은 17.91 mg%로 나타났으며, 베타글루칸 함량은 45.43%로 높게 나타났다. 꽃송이버섯은 β-glucan 함 량이 높아 기억력 향상, 노화지연 등의 효력이 있는 것으로 보여져, 노인건강 유지식품으로 활용도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사 사 : 본 연구는 산업통산자원부 지역특화기술융복합연구지원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검은비늘버섯 재배에 적합한 최적 배지를 개발하고자 시험균주는 ‘금봉이’를 사용하였고, 톱 밥, 쌀겨, 면실박, 비트펄트, 콘코브의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톱밥 배지를 제조하여 시험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배지의 총질소 함량은 참나무톱밥이 포함된 배지조성에서 월등히 높은 반 면, 인산 함량은 상반된 경향을 보였다. 시험후의 화학적 성분 함량은 대부분 시험전에 비해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참나무톱밥에 비트펄프와 면실박이 첨가된 처리에서 총 질소 함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균사 배양기간 중 톱밥 배지 오염율은 포플러톱밥과 미송 톱밥에 쌀겨를 혼합한 처리에서 10~12%, 참나무톱밥에 비트펄프, 면식박 등을 혼합한 처리 에서 21.3~26.0%로 높았다. 배지조성별 총재배기간은 톱밥과 쌀겨를 혼합한 단순배지에서 49~52일, 참나무톱밥에 비트펄프, 면실박 등을 혼합한 처리에서 56~59일로 다소 길었다. 오 염율과 병당 수량을 감안하여 산출된 자실체 수확량은 참나무톱밥에 비트펄프, 면실박 등을 혼합한 처리에서 오염율이 다소 높은 반면 유효경수와 병당 수량이 높아 대조구인 참나무톱 밥과 쌀겨 혼합처리에 비해 49~83% 증수되었다.
대중화된 백색 팽이버섯 틈새시장을 겨냥하여 우리원에서 육성한 유색 팽이버섯 신품종을 소량 다품 목 재배를 희망하는 느타리버섯 봉지재배 농가에 접목하여 시범재배를 실시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시험품종은 ‘금향’, ‘흑향’ 및 대조품종으로 ‘갈뫼’ 3품종을 사용하였으며, 봉지 재배용 톱밥 배지는 포플러톱밥, 면실피펠렛, 면실박, 비트펄프 혼합배지를, 생육 온도는 15~ 16℃로 느타리버섯 봉지재배 조건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총재배기간은 금향과 흑향은 46~47 일로 팽이버섯 병재배 조건과 유사하였으나, 갈뫼는 3일 단축되었다. 수량은 230~315g으로 팽이버섯 병재배 조건에 비해 2배 정도 많았다. 유색 팽이버섯 병재배 시 생육온도는 7℃로 매우 낮으나, 본 시험 결과 15~16℃인 느타리버섯 재배사에서 유색 팽이버섯 재배가 가능하 여 에너지 절감 효과가 매우 컸다. 또한 팽이버섯 모양이 꽃송이 형태로 수확되어 콩나물형태 의 기존 팽이버섯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버섯으로 인식되었다.
꿀풀과에 속한 다년생 식물인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뿌리를 약용 및 식품으로 활 용하는데, 한방에서 해열·이뇨·지사·이담 및 소염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고버 섯균사체 또한 건강기능성 식품 개별인정형 중 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원료로 등록 되 어있다. 황금의 정장작용을 활용한 건강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해 곡물배지에 황금 추출물과 황 금 부산물을 첨가하여 표고버섯 균사체의 배양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현미, 적미, 흑미 3가지 쌀을 곡물원료로 사용하였다. 추출물 농도에 따른 표고 균사체 생장은 황금 추출물 10%를 첨가한 조건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으며, 모든 시험구에서 부산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표교균사의 생장이 감 소하였다. 곡물 원료별로는 적미에 황금을 첨가한 조건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으며, 적미, 흑미 순으로 생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황금추출물 보다는 부산물을 첨가한 배지들에서 더 좋은 균사 생장을 보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해 볼 때, 황금 부산물을 첨가한 곡물 배지에서 표고 균사의 생장이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사 사 : 본 연구는 산업통산자원부 지역특화기술융복합연구지원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황금은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의 뿌 리로 약효성분은 Baicalein, Baicalin, Wogonin 등이 알려져 있다. 영지는 항종양 효과 및 성 인병예방에 효과가 뛰어나 약재로 사용되는 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 증대와 더불어 생약초 및 버섯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두가지 소재의 유용성분 활용의 극대화를 위해 곡물배지에 황금 추출물과 황금 부산물을 첨가하여 영지버섯 균사체의 배양 특 성을 확인하였다. 모든 시험구에서 황금 추출물 10%를 첨가 하였을 때 가장 좋은 영지 균사 생장을 보였으 며, 최적 부산물 농도는 부산물 20% 첨가한 조건으로 나타났다. 추출물 및 부산물 농도에 비 례하여 영지버섯 균사체의 생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흑미에 황금 추출물을 첨가한 조건에서 가장 좋은 영지균사 생장이 관찰되었으며, 부산물은 적미에 황금부산물을 첨가한 조 건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보였다. 균사체의 생장은 추출물 보다는 부산물을 첨가한 곡물배지 에서 더 좋은 생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황금 부산물 20%첨가가 영지균사 배양에 가장 적 합한 조건임을 확인하여, 향후 생약초영지균사 배양에는 황금 20%첨가가 가장 바람직 할 것 으로 보인다. 사 사 : 본 연구는 산업통산자원부 지역특화기술융복합연구지원사업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Structures in a nuclear power system are designed to be elastic even under an earthquake excitation. However a structural component such as an isolator shows inelastic behavior inherently. For the seismic assessment of nonlinear structures, response history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In this study, the response of base isolation system was analyzed by response history analysis for the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Firstly, several seismic assessment criteria for a nuclear power plant structure were reviewed for the nonlinear response history analysis. Based on these criteria, the spectrum matched ground motion generation method modifying a seed earthquake ground motion time history was adjusted. Using these spectrum matched accelerograms, the distribution of displacement responses of the simplified base isolation system was evaluated. The resulting seismic responses excited by the modified ground motion time histories and the synthesized time history generated by stochastic approach were compared. And the response analysis of the base isolation system considering the different intensities in each orthogonal direction was performed.
The uniform hazard spectra for seven major cities in Korea, Seoul, Daejeon, Daegu, Busan, Gwangju, Ulsan, and Inchon are suggested.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attenuation equations derived from seismology research in Korea since 2000 and the seismotectonic models selected by expert assessment. For the estimation of the uniform hazard spectra, the seismic hazard curves for several frequencies and PGA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spectral attenuation equations. The seismic hazards (annual exceedance probability) calculated for the 7 metropolises ranged from about 1.4305×0-4/yr to 1.7523×10-4/yr and averaged out at about 1.5902×10-4/yr with a log standard deviation of about 0.085 at 0.2 g. The uniform hazard spectra with recurrence intervals of 500, 1000, and 2500 years estimated by using the calculated mean seismic hazard on the frequencies presented peak values at 10.0 Hz, and the log standard deviations of the difference between metropolises ranged from about 0.013 to 0.209. In view of the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uniform hazard spectra obtained for the considered metropolises, the mean uniform hazard spectrum was estimated. This mean uniform hazard spectrum is expected to be used as input seismic response spectrum for rock sites in Korea.
Several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to enhance the seismic performance of nuclear power plants (NPPs) by application of seismic isolation. If a seismic base isolation system is applied to NPPs, seismic performance of nuclear power plants should be reevaluated considering the soil-structure interaction effect. The seismic fragility analysis method has been used as a quantitative seismic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the NPP structures and equipment. In this study, the seismic performance of an isolated NPP is evaluated by seismic fragility curves considering the soil-structure interaction effect. The designed seismic isolation is introduced to a containment building of Shin-Kori NPP which is KSNP (Korean Standard Nuclear Power Plant), to improve its seismic performance. The seismic analysis is performed considering the soil-structure interaction effect by using the linearized model of seismic isolation with SASSI (System for Analysis of Soil-Structure Interaction) program. Finally, the seismic fragility is evaluated based on soil-isolation-structure interaction analysis results.
울산광역시 울주군 정족산에 위치하고 있는 무제치늪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 래된 산지습지 중 하나이다. 오랜 세월에 걸친 화강암의 풍화작용과 홍수에 의한 침 식작용 등으로 형성된 분지형태의 습지로 이탄층이며 약산성의 수질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환경을 바탕으로 식충식물 등 희귀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곤충으로는 멸 종위기종Ⅱ급인 꼬마잠자리가 확인되는 등 생태적으로도 중요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양한 무제치늪의 생태계 구성원 중 육상곤충의 전체적인 서식 분포와 밀도를 조사하였으며, 시기에 따른 변화양상을 비교하였다. 조사는 2012년 6~10월에 걸쳐 5회 실시하였으며, 4개로 이루어진 무제치늪 및 주변지역 중 곤충 서식에 적합한 지점을 선택하여 정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방 법으로는 임의채집법(관찰, 목격, 돌들기 등), 스위핑법, 털어잡기법, 라이트트랩 법을 사용하였다. 채집한 모든 곤충을 실험실로 운반 후 동정 및 종수를 계수하였으 며 상대적 우점도지수를 구하였다. 조사결과 총 10목 67과 218종이 발견되었다. 조사된 분류군들의 군집구조를 살 펴보면 나비목이 15과 107종(R.D 49.08)으로 구성비가 가장 높았고, 그 외 노린재 목과 딱정벌레목이 14/13과 25종(R.D 11.47), 메뚜기목이 4과 16종(R.D 7.34), 파 리목이 7과 15종(R.D 6.88), 잠자리목이 4과 14종(R.D 6.42), 벌목이 5과 11종(R.D 5.05), 풀잠자리목이 3과 3종(R.D 1.38), 사마귀목과 집게레목이 1과 1종(R.D 0.46)으로 구성되었다. 주요종으로는 멸종위기종Ⅱ급인 꼬마잠자리, 국외반출승 인대상생물종인 노랑띠들명나방, 봄처녀나비가 확인되었다.
영흥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에 위치한 면적 23.46㎢의 섬이다. 영흥면 외 일 일원에 소재한 영흥화력발전소는 2004년 1호기 건설을 시작하여 2009년에 3, 4 호기의 건설이 완료되었으며 2014년에 추가로 5, 6호기의 발전소가 증설될 예정이 다. 본 연구는 영흥도와 인근 지역인 선재도와 대부도의 육상곤충상을 조사하여 발 전소 인근지역의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조사를 수 행하였다. 계절별로 실시한 2차례 조사는 2012년 5월, 7월에 수행하였으며 조사지점은 영 흥도의 6지점, 선재도의 1지점과 대부도의 1지점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육상곤충 류의 조사는 주로 포충망을 이용한 쓸어잡기(Sweeping), 채어잡기(Brandishing), 털어잡기(Beating), Scooping 등의 방법으로 채집하였다. 총 2차례 조사수행결과 동정된 육상곤충 12목 80과 251종을 조사되었으며, 2011년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출현구성종의 미약한 변화와 함께 출현 종수에 있어서는 14종 감소한 것으로 나타 났다. 구성종 대부분은 전국 내륙지방에서 일반적으로 흔히 관찰되는 평지초원성 곤충류가 대부분이었으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 또는 문화재청지정 천연 기념물 등 법적보호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조사된 분류군들의 군집구조를 살펴보 면, 나비목이 67종으로 구성비가 가장 높았고, 그 외 노린재목 37종, 파리목 36종, 딱정벌레목 32종, 벌목 30종, 메뚜기목 22종, 잠자리목 10종이 출현하였으며 기타, 사마귀목, 바퀴목, 집게벌레목, 매미목, 풀잠자리목 등은 소수종만이 출현하였다.
남한강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수원지로서 수질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역이다. 최근 국가사업으로 수행된 4대강 공사는 하천구조에 많은 변화를 가져 왔고 이에 대해 생태환경적으로 많은 의견과 우려를 낳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수환 경의 지표생물로 가치가 높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의 조사를 통해 서식 양상 과 변화를 확인한다면 현재 남한강 지역의 생태환경 분석에 간접적인 지표가 될 것 이라 판단하여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경기도 여주부터 북한강과 만나는 지점까지 남한강 구간에 총 12개의 조사지점 을 선정하고 2012년 분기별로 1회씩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Surber-net(30cm×30cm), scoop-net 등의 Collector를 이용하여 정성채집을 실시 한 다음, 1mm 체로 선별된 시료는 현장에서 70% 알콜 용액에 고정하였다. 조사결과 총 3문 19목 56과 101종이 확인되었다. 조사시기별로는 1/4분기 34과 51종이 조사되었고, 2/4분기 38과 57종, 3/4분기 35과 49종, 4/4분기 37과 53종이 확인되었다
한국산 가는나방과는 가는나방아과, 민가는나방아과, 귤굴나방아과를 포함하 며, 국내에 각각 17종, 28종, 1종이 기록되어 총 46종이 있다. 그러나 지리적으로 가 까운 일본의 경우 2011년 기준으로 가는나방과 79종, 민가는나방아과 144종, 귤굴 나방아과 15종이 각각 확인되어 있어, 향후 국내에도 가는나방과의 종이 추가적으 로 기록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 본 연구를 진행한 결과 울산시 울주군 고 헌산 일대에서 가는나방과에 속하는 3종을 확인하였다. 유충에 의해 식해된 식물 을 채집하여 실내 사육한 결과 가는나방아과의 붉나무가는나방(Acrocercops deversa Meyrick), 굴피가는나방(Acrocercops transecta Meyrick)이 확인되었고, 야간 등화 채집을 통하여 귤굴나방아과에 속하는 미기록 1종(Phyllocnstis toparcha Meyrick)이 확인되었다. 현재까지 국내에 분포하는 귤굴나방아과에는 귤굴나방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1종 만이 알려져 있었다. 본래 귤굴나방아과는 독 립적인 귤굴나방과였으나, Van Nieukerken et al. (2011) 이 새롭게 정리한 나비목 분류체계에 의하여 귤굴나방아과로 가는나방과에 포함되었다.
온실재배조건에서 큰 피해를 끼치는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를 예찰하기위해 농가에서는 황색점착트랩을 이용하고 있다. 두 가지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천적이 사용되고 있는데, 가루이의 천적으로 사용되는 좀벌류도 점착트랩에 유인이 되는 경향이 있어 이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아크릴케이지내에서 온실가루이와 온실가루이좀벌 성충을 담배가루이와 담배가루이좀벌 성충을 같이 동일한 수를 방사하고 황색트랩에 유인된 수를 조사하였을 때 두 좀벌 모두 가루이 와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가루이 약충이 접종된 토마토를 케이지에 넣고 점착트 랩에 유인율을 조사하였을 경우 온실가루이좀벌 성충은 20.0%로 온실가루이 성충 38.7%보다 현저히 떨어졌으며 담배가루이좀벌 성충의 경우도 28.7%로 담배가루 이 성충 42.0%보다 유인수가 낮았다. 담배가루이좀벌은 흰색이나 청색보다 황색 점착트랩에 훨씬 높게 유인되었다.
온실내에서 작물을 재배할 때 외부해충의 유입을 막기 위해 또는 화분매개충의 유출을 막기 위해 다양한 방충망을 사용하고 있다. 과채류 작물에 큰 피해를 끼치는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입을 막기 위한 방충망 선별을 위한 시험을 실시 하였다. 망으로는 농가에서 조류망(1.5×1.5cm), 벌망(0.75×0.6cm) 풍망(0.58×0.4cm) 으로 불리우는 자재를 사용하였다. 30×30×30cm크기의 아크릴케이지에 종이격막 을 만들고 가운데 20×20cm크기로 망으로 가로막은 후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 방을 한쪽에 방사한 뒤 이동율을 조사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은 풍망에서 전혀 이 동하지 않았으며 조류망과 벌망은 통과를 하였다. 파밤나방은 풍망에서 이동이 현 저히 줄어들었으나 일부 성충이 통과를 하였다. 온실에서 100*100*150cm 크기의 콤비락을 이용하여 담배거세미나방 성충의 망 통과 시험을 하였는데, 풍망에서는 성 충이 거의 통과를 하지 못했으며 벌망에서도 이동이 일부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