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21.
        201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F4-ZnPc 광활성층 기반의 저분자 유기태양전지의 성능을 최적화 하기 위해서 다 양한 조건의 홀이동층과 전자이동층을 조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BF-DPB 호스트 유기물에 C60F36 또 는 NDP9 도펀트를 도핑한 조합을 홀이동층으로 사용하였고, 전자이동층으로는 W2(hpp)4가 도핑된 C60 또는 순수 C60/Bphen 물질을 사용하였다. 다양한 홀/전자이동층의 조합은 유기태양전지의 단락전류밀도와 fill factor, 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4,000원
        2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tent management activities are considered to play a key role for technology-based firms under the recent knowledge-based economies. This is because intellectual property, including patents, can act as a system for continuous profit generation by protecting firms’ products, processes and services. In Korea, healthcare industry is now regarded as one of the promising next generation industries. Despite the promise of healthcare industry, Korean healthcare product manufacturers are faced with turbulent business changes, such as market opening.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industrial studies on the effect of patent management activities on firm outcome, previous studies have hardly paid attention to Korean healthcare product manufacturing firms. For this reason,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 of patent management activities, such as patenting activeness, technical excellence and cooperation degree, on firm outcomes, including financial profitability and firm growth, with respect to the Korean healthcare product manufacturers. In this study, we located 86 Korean healthcare manufacturing firms from KORCHAMBIZ and DART, and then collected the data of their patenting activities and outcomes between 2001 and 2013. By applying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ur empirical study found that firms’ patenting activeness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on firms’ financial profitability, and firms’ patenting activeness and technical excellence have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on firms’ financial growth. Our study is an initial attempt to identify the effect of patent management activities on firm outcome within Korean healthcare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us its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is to formulate national policies for Korean healthcare product industry.
        4,000원
        23.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성능 투명 전극의 개발은 유기 태양 전지,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저가형 유연 유기 광전자 소자의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투명전극인 indium tin oxide (ITO)는 비싼 가격과 잘 깨어지는 특성 을 가지고 있어서 저가형 유연 전자 소자의 개발에 많은 제한을 주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체 투명 전극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AgNW)는 우수한 전기 전도도와 광 투과 도를 가지고 저렴하며 뛰어난 유연성 때문에 ITO의 대체 투명전극으로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AgNW의 거 친 표면은 유기 광전자 소자의 누설전류를 크게 증가시켜서 소자의 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UV 광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AgNW를 PET기판으로 transfer 시키는 방법으로 AgNW가 매몰된 유연 전도성 투명 기판을 제작하였으며, 이 기판은 낮은 표면 거칠기, 낮은 면저항과 높은 광투과도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AgNW가 매몰된 유연 전도성 투명 기판은 유기전자소자의 대체투명전극 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4,000원
        24.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차세대 조명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디스플레이로서의 상용화에 이미 성공하였고, 대체 조명 시장에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OLED의 급격한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OLED의 유 기층/투명전극과 기판에서 발생하는 내부 전반사에 의해서 일반적인 OLED의 외부 광자 효율은 현재 20~30% 정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고효율의 OLED의 구현을 위해서는 고성능의 광추출 구조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 다. 내부 광추출 구조를 소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소자의 누설전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광추출 구조의 표면 거칠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ZnO 나노파티클-투명 고분자 복합 구 조의 광추출 구조를 쉬운 제작 방법으로 구현하였으며, 나노파티클의 분산에 따른 광추출 구조의 광학적 특성 및 표 면 구조의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4,000원
        25.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태양전지의 투명전극으로서 기존의 값비싸고 깨지기 쉬운 Indium Tin Oxide (ITO) 전극을 대체하고자, 전도성 고분자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PEDOT:PSS)를 적용하였다. 솔벤트의 도핑 농도에 따른 PEDOT:PSS 박막의 전기 전도도와 표면 거칠기의 특성 변화를 관찰하고, 그 결과가 PEDOT:PSS를 투명전극으로 사용한 유기태양전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PEDOT:PSS의 솔벤트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박막의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고, 이는 유기태양전지의 단락전류의 변화를 야기했다. 또한, 소자의 홀 이동층이 얇아짐에 따라 광활성층의 단파장영역의 광흡수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4,000원
        2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물공장용으로 방전램프로서 메탈할라이드 램프(MH), 고압나트륨램프(HPS), 제논램프(XE)를 사용하고, 냉백색형광등(FL)을 대조구로 사용한 가운데 상추 (Lactuca sativa L. cv. Jeokchima)의 생육 및 파이토케미컬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식물공장 내부의 환경 조건은 광주기 16/8h, 광합성유효광양자속(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200μmol · m−2 · s−1, 기온 22/18oC, 습도 70%, CO2 농도 400μmol · mol−1로 조절하였다. 각 램프의 분광 특성을 이용하여 PPF에 대한 청색광 영역 (400~500nm), 녹색광 영역(500~600nm), 적색광 영역 (600~700nm)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MH램프의 청색광 영역은 23.0%로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HPS램프의 청색광 영역은 4.7%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적색광 영역은 38.0%로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정식 후 11일째와 21일째에 측정된 상추의 엽장, 엽폭, 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은 방전램프의 광질에 따른 유의차가 나타날 정도로 다르게 나타났다. HPS 처리구의 엽면적은 143,486mm2 로서 대조구의 98,474mm2에 비해서 45.7% 크게 나타났으며, MH와 XE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서 각각 16.3%, 9.5%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상부 생체중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적색광 영역의 비율이 높은 HPS 처리구에서는 상추의 잎 관련 생장 특성에서 최대치가 나타났으나, 청색광 영역의 비율이 높은 MH와 XE 처리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방전등 처리구에 따라 상추 잎에 축적된 아스코르빈산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서 작게 나타났으며, 처리구 사이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상추 잎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MH 처리구에서 0.70mg/100g으로 최대치가 나타났으며, XE와 HPS 처리 구는 대조구의 0.58mg/100g에 비해서 각각 79.3%, 8.6% 수준이었다. 결과적으로 방전램프의 종류에 따라 상추의 생장 특성, 아스코르빈산 및 안토시아닌 함량이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물공장용 인공광원으로서 방전램프 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상추의 생장 및 파이토케미컬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분광 특성이 상이한 방전램프의 병용 또는 단색광 LED의 추가 설치 등과 같은 방전램프의 광질 개선이 요구된다.
        4,000원
        2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경대기 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채취할 때 사용하는 샘플링 방법은 백을 이용한 샘 플링 방법과 흡착관을 이용한 샘플링이 대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대기시료를 이 용하여 두 샘플링 방법을 동시에 진행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료의 채취방법에 따른 회수율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청국장을 조리하면서 발생하는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기산의 회수율이 백 샘플링보다 흡착관을 이용한 샘플링 에서 평균적으로 98.6 %의 percent difference (PD)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카보닐 계열과 방향족은 19.2와 34.3 %로 비교적 적은 차이를 나타냈다. 각 성분 중에서 butyl acetate는 0.50 %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고, TMA도 마찬가지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기록하였다(2.13 %). 이러한 결과는 현장 조건에서 채취방식의 중요성을 확인해 주었다
        4,200원
        2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being performed to confirm the container effect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es of kimchi. Kimchi fermentation was prepared in the laboratory with four different types of containers; namely, a traditional Onggi vessel (Korean traditional clay pot, TOV), plastic airtight covered Onggi vessel (PAOV), plastic covered vessel (PCV) and plastic airtight covered vessel (PACV). The kimchi fermentation in the different containers was followed by taking samples at 48 hour intervals for 10 days. In all fermentation containers, the pH changes of kimchi were decreased with fermentation days, while salt content was the same for all types of containers.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in kimchi were 1.09×108 CFU/㎖ at first. But the TOV, PAOV, PCV, and PACV after fermentation for 10 days were 1.42×1010, 9.13×109, 4.93× 109 and 7.46×109 CFU/㎖, respectively. The kimchi fermented in the TOV with the most dominant bacterial species were the following 5 strains: Bacillus subtilis, B. licheniformis, B. safensis, Lactobacillus brevis and B. pumilus.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containers therefore influenced the number of L. brevis and the four Bacillus species. in kimchi, and may influe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ed kimchi products. The TOV offered the greatest L. brevis numbers and suggested that it could be the best suited for preparing traditional kimchi fermentation.
        4,000원
        29.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wo different experimental approaches (direct injection (DI) vs.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PME)) based on effective carbon number (ECN) theory. To this end, the calibration data obtained by both methods were evaluated in association with split ratio (such as 1:1 (splitless), 1:5, 1:10, and 1:20) The calibration results of eight different target VOCs were examined in terms of relative sensitivity at a given split ratio. If slope values are derived between ECN and Response Factor (RF) values of each compound, the DI-based data obtained at 1:5 split ratio yielded slightly positive bias of +3.6% relative to theoretic values of 20%. Likewise, the results at 1:10 split condition showed +1.2% bias. In contrast, the SPME-based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large biases. The result of this comparativ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more deliberate QA procedure to obtain quantitative data for the SPME method.
        4,000원
        30.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hosphor powders were synthesized using a seed (average particle size: 5 ) by the polymer solution route. PVA solution was added to the sol precursors consisting of the seed powder and metal nitrate salts for homogeneous mixing in atomic scale. All dried precursor gels were calcined at and then heated at in atmosphere. The final powder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XRD, SEM, PSA, PL and PKG test. All synthesized powders were crystallized to YAG phase without intermediate phases of YAM or YAP. The phosphor properties and morphologies of the synthesized powders were strongly dependent on the PVA content. Finally, the synthesized phosphor powder heated at , which is prepared from 12:1 PVA content and has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5 , showed similar phosphor properties to a commercial phosphor powder.
        4,000원
        3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폐쇄형 묘생산 시스템에서 청색LED, 적색LED, 백색형광등을 인공광원으로 이용한 가운데 파프리카의 육묘시 생장 특성과 정식 후 생장 및 초기 수량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폐쇄형 시스템에서 파프리카 육묘용 환경조건은 광주기 16/8h, 평균 PPF 204μmol·m-2·s-1, 기온 26/20℃, 상대습도 70%이었다. 육묘 후 21일째에 백색형광등과 LED 하에서 생장된 파프리카 묘의 엽장, 엽폭, 엽면적 등 잎 관련지표뿐만 아니라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엽록소함량 등이 자연광 처리구에 비해서 크게 나타났다. 청색 LED, 적색LED 및 자연광 처리구에서의 엽면적은 대조구인 형광등 처리구와 비교할 때 각각 63%, 63%, 28%에 해당하였다. 또한 청색LED, 적색LED 및 자연광 처리구의 지상부 건물중은 각각 대조구의 64%, 50%, 22%로 나타났다. 정식 후 18일째에 엽수는 대조구에서 44매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적색LED, 청색LED 및 자연광 처리구의 엽수는 대조구에 비해서 각각 86%, 81%, 48%로서 정식 시기와 비교할 때 엽수의 차이가 줄어들었다. 정식 후 114일째에 초장은 청색LED와 적색LED 처리구에서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색LED 하에서 육묘된 파프리카의 줄기 신장이 정식 후에 억제된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 4주 동안 수확된 파프리카는 청색LED 3.5개/plant, 적색LED 3.3개/plant, 자연광 1.0개/plant으로서 대조구 2.2개/plant에 비해서 각각 159%, 150%, 45%로 나타났다. 초기수량은 적색LED 453g/plant, 청색LED 403g/plant, 자연광 101g/plant으로서 대조구 273g/plant와 비교할 때 각각 166%, 148%, 37%로 나타났다. 한편 적색LED 처리구에서의 평균 중량은 136g으로서 다른 처리구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큰 과실이 생산되었다. 한편 정식 후 온실에서의 재배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인공광 처리구와 자연광 처리구에서 수량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LED 또는 형광등을 인공광원으로 이용한 조건에서 육묘된 파프리카의 정식 후 초기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초기 수확이 자연광 처리구에 비해서 1주 정도 빠르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LED 또는 형광등과 같은 인공광원이 파프리카 육묘에 이용될 경우 묘소질의 향상, 조기 수확 및 초기 수량의 증대가 기대된다.
        4,000원
        3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ants from boiled egg samples were measured through time between fresh and decayed status. Air samples released from boiled eg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ive different periods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set for 9 days. The concentrations of reduced sulfur compounds (RSC), carbonyl compounds (CC), and NH₃ were generally higher than others like volatile organic compounds over the entire period. Among target compounds, the concentration of H₂S recorded the maximum value of 3.65 ppm immediately after boiling which indicates its maximum contribution as odorant in fresh stage. In addition, some odorants (i.e. CH₃SH, AA, PA, BA, and VA) were detected in the range of 7.52 to 50.8 ppb. Emission of most odorants generally decreased after 1 day of boiling, although their concentrations increased again after 3 days to reach the peak values after 6 days. The dilution-to-threshold (D/T) ratio measured by air dilution sensory test samples between fresh and decayed egg showed patterns similar to H2S. In addition,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p<0.01) between complex odor and H₂S.
        4,800원
        33.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measure temporal stability of trimethylamine (TMA) in two different bag sampler types (polyvinyl fluoride bag (PVF) and polyester aluminum bag (PEA)) as a function of storage time. To this end, temporal variability of TMA was measured using its standard gas samples up to 4 days.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storability of TMA was tested between PVF and PEA. To this end, standard gas samples were prepared at two concentration levels of 1 and 10 pp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reduction of TMA levels generally increased with the extension of the storage time. Although both bag types showed moderate losses of TMA, differences between bag types (PVF and PEA) were likely to be less significant than those of concentration levels.
        4,000원
        34.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ifola frondosa has been used as an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diabetes mellitus and high blood pressure. In this study, functional polysaccharide was obtained from Grifola frondosa using four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hot water(HwFP), homogenize(HgFP), acid(AcFP), and alkali(AlFP) extraction methods. The effects of these extracts on KB and HepG2 cell lines were then examined for any anti-cancer activity. Alkaline extraction produced a yield of 0.175% and the total sugar content of the extract was 54.97%.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polysaccharide extracts from the mushroom produce an anti-cancer effect. The cytotoxicity of AlFP and AcFP against HepG2 cells were 22.86% and 28.88%, respectively, and the cytotoxicity of AlFP against the KB cell lines was 47.76% at a concentration of 1, 000 ㎍/㎖.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um method for extracting functional polysaccharides from G. frondosa is the alkali extraction method.
        4,000원
        3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calibration characteristics of odorous amine compounds were investigated by gas chromatography (GC)-nitrogen phosphorous detector (NPD). To this end, three different amine compounds (methyl amine (MTA), dimethyl amine (DMA), and trimethyl amine (TMA)) were analyzed in a series of calibration experiments. As the first step, the liquid phase standards of these amines were calibrated at 5 concentration levels with the fixed standard volume (FSV)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se factors of three amines were in the order of TMA > DMA > MTA with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r) above 0.97. The results of FSV calibration also indicated that the analytical sensitivity of amines increased with reducing injection volume due to the decrease in matrix effect. However, when these compounds were calibrated by the fixed standard concentration (FSC) method, the results were not stable under most circumstances.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internal calibration approach was also tested using pyridine, nitrobenzene, and nicotine. When pyridine was used as internal standard of these amines, analytical reproducibility of amines was improved greatly compared to external calibration results (e.g., an improvement of 75% for DMA).
        4,000원
        36.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지역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08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43목 118과 443속 903종 6아종 125변종 18품종 3교잡종으로 총 1,05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37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35분류군 이었고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에는 6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또한 환경부 지정 법정 보호식물은 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224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45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4.3%, 도시화지수는 16.1%로 나타났다. 조사된 1,055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이 359분류군(34%), 약용 293분류군(27.7%), 목초용 166분류군(15.7%), 관상용 143분류군(13.5%), 목재용 41분류군(3.9%), 섬유용 25분류군(2.3%) 그리고 공업용이 3분류군(0.2%)으로 나타났다.
        7,800원
        3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저압 조건에서 작물의 생장 가능성을 검토하고, 작물 생장에 미치는 압력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공시작물인 적치마상추종자(Lactuca sativa L.)를 일반 대기압조건에서 발아시켜 인공혼합 배지를 채운 50공 플러그트레이 절반에 정식하였다. 정식된 상추묘는 3수준의 압력조건(25, 50, 101.3 kPa)에서 처리 되었다. 모든 처리조건에서 광주기 16/8 h, 기온 26/18℃, 광합성유효광양자속 240μmol·m-2·s-1으로 유지하였다. 3수준의 압력 조건에서 생장된 상추의 생장조사는 처리 후 7일과 14일째에 이루어졌다. 7일째 생장조사 결과 25, 50, 101.3 kPa 처리조건에서 엽수, 뿌리길이, 지상부 건물율, 엽색의 hue값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엽장, 엽폭, 엽면적, 지하부 건물중은 101.3 kPa의 처리조건보다 25, 50 kPa의 처리조건에서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4일째 생장조사 결과 엽장, 지상부 건물율, 지하부 건물율은 25, 50 kPa의 처리 조건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7일째 생장조사 결과와는 다르게 25, 50, 101.3 kPa의 처리조건에서 엽수, 엽폭, 엽면적, 뿌리길이, 지상부 생체중, 지상부 건물율, 엽색의 saturation 값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25, 50 kPa의 저압조건에서도 상추의 재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작물로부터의 증산과 배양액으로부터의 증발로 말미암아 저압 챔버내의 상대습도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고, 이로 인하여 저압 챔버 내부 표면에 응축수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응축수는 저압 챔버 내부로 투과되는 광양을 저하 시키므로 작물의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저압 챔버 내의 높은 상대습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청된다.
        4,000원
        39.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variations of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pressure in a low pressure chamber for plant growth. The low pressure chamber was composed of an acrylic cylinder, a stainless plate, a mass flow controller, an elastomer pressure controller, a read-out-box, a vacuum pump, and sensors of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pressure. The pressure leakage in the low pressure chamber was greatly affected by the material and connection method of tubes. The leakage rate in the low pressure chamber with the welding of the stainless tubes and a plate decreased by 0.21kPa·h-1, whereas the leakage in the low pressure chamber with teflon tube and rubber O-ring was given by 1.03kPa·h-1. Pressure in the low pressure chamber was sensitively fluctuated by the air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An elastomer pressure controller was installed to keep the pressure in the low pressure chamber at a setting value. However, inside relative humidity at dark period increased to saturation level.. Two levels (25 and 50kPa) of pressure and two levels (500 and 1,000sccm) of mass flow rate were provi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w pressure and mass flow rate on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chamber. It was concluded that low setting value of pressure and high mass flow rate of mixed gas were the effective methods to control the pressure and to suppress the excessive rise of relative humidity inside the chamber.
        4,000원
        40.
        2009.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multi-step texturing process on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hydrogenated Al-doped zinc oxide (HAZO) thin films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AZO films on glass were prepared by changing the H2/(Ar+H2) ratio at a low temperature of 150˚C. The prepared HAZO films showed lower resistivity and higher carrier concentration and mobility than those of non-hydrogenated AZO films. After deposition, the surface of the HAZO films was multi-step textured in diluted HCl (0.5%)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change in the optical properties and the surface morphology due to etching. As a result, the HAZO film fabricated under the type III condition showed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with a haze value of 52.3%.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