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86

        3069.
        2015.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3년 기준 대구광역시의 정수슬러지 발생량은 104.5 톤/일로 나타났으며, 이들 정수슬러지 중 약 23.2%가 대구소재 성서・서대구산업단지에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J 정수사업소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발생되는 정수슬러지는 하수처리 과정에 발생되는 슬러지에 비하면 많은 양이라고 볼 수 없지만, 정수장이 대형화 되고, 하천유량의 감소와 환경규제의 강화 등으로 하천이나 토양으로의 직접배출이 규제되면서 정수슬러지의 처리가 현안으로 부각되었다. 발생되는 모든 정수슬러지는 비용을 지불하고 시멘트의 원료로 처분되고 있어 처리비에 대한 부담이 큰 실정이다. 정수슬러지부터 유효한 알루미늄 자원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매립・해양투기에 의해 처리되거나 시멘트의 원료와 같이 제한된 산업 분야에서만 재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정수슬러지 처리비용은 2013년 기준으로 톤당 35,000원으로 년간 약 15억원에 이르고 있으며, 처리 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단순 매립처분의 한계점이나 처리비용의 상승을 고려한다면, 정수슬러지의 다양한 활용 방안의 모색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매립, 소각에 의해 처리되었던 정수슬러지로부터 알루미늄을 회수하는 방법들을 연구하여 기존 응집제와 총인 제거효율이 유사한 재생응집제로 제조하여 공공하폐수처리장과 산업단지 소재 기업들에 적용하고자 한다.
        3070.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의 홍수예보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비슬산 강우레이더 100 km 반경 내 AWS(Automatic Weather System) 123개 관측소를 대상으로 레이더 추정강우의 오차를 레이더 반경 및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가 단일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에 비해 오차가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의 홍수예보 활용성 평가 및 적용을 위해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가 단일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에 비해 관측치에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강우형태에 관계없이 강우 강도가 강한 부분에서 이중편파 레이더의 정확도가 향상됨을 보였다. 그러나 차등반사도를 통해 산정된 강우는 과대추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속형 저류함수모형인 SURR 모형에 적용하여 남강댐 유역에 대한 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를 통한 유출량이 단일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에 비해 유출용적오차는 약 12∼63%, 첨두유량오차는 약 30∼42% 감소하였으며, 평균제곱근오차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편파 레이더에 의해 산정된 유역평균강우량을 유출모형에 적용할 경우 AWS 강우로부터 추정된 유출결과보다 더 우수한 경우가 있어 향후 홍수예보 활용 시 예보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3071.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fresh state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ow slump modified sulfur concrete have been evaluated in order to utilize the test results as baseline data for usability analysis of modified sulfur concrete which can be applied to slip-form method. As results, holding time of slump test was delayed under 5.0% of modified sulfur addition ratio. Also,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f modified sulfur concrete were equivalent with that of plain concrete.
        3073.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hydration heat analysis of ternary blended concrete using mock-up structure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temperature rise and crack index.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hydration heat, it was found that it was convenient to obtain the minimum crack index and temperature rise of 3:5:2 mixing.
        3074.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ock wave caused by the high-velocity impact causing the tensile strain and stress on the rear side. When the tensile strain and stress exceed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ncrete, crack and fracture were occurred. The strain on the rear side was reduced due to Improvement of the tensile strength by fiber reinforcement and increasing the specimen thickness.
        3075.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fresh state proper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ow slump modified sulfur concrete have been evaluated in order to utilize the test results as baseline data for usability analysis of modified sulfur concrete which can be applied to slip-form method. As results, holding time of slump test was delayed under 5.0% of modified sulfur addition ratio. Also,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of modified sulfur concrete were equivalent with that of plain concrete.
        3076.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otective cover system is needed for the safety and bearing capacity of underground cable pipe. This study evaluates the flexural capacity through the experimental study according to the several design variables for the protective covers.
        3077.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improving insulation of concrete, we developed insulated concrete and applied it in the field to reduce amount of energy. As a result, we could get the physical and performance similar to normal concrete's performance and the amount of energy is expected to decrease for improving insulation performance.
        3078.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 novel bolt-loosening detection technique using image information of bolted connections in the steel bridge. The technique consists of 5 steps: (1) taking a picture for a bolted joint, (2) converting to binary image, (3) extracting individual nuts, (4) extracting outlines of the nuts, and (5) identifying rotation angles of the nuts and detecting bolt-loosening.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evaluated by experimental tests with several bolt-loosening scenarios.
        3079.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in tropical cyclone (TC) activity according to the fluctuation in July-to-September average North Pacific Oscillation index (NPOI) and its underlying large-scale environment during the last 37 years from 1977 to 2013. For this purpose, seven years with highest index NPOI value (positive NPOI phase) and another seven years with lowest NPOI index value (negative NPOI phase) among the 37 years were selected as sample after excluding the ENSO years. During the positive NPOI phase, TCs were created in the east of tropical and subtropical western North Pacific and moved to the west from the Philippines toward the southern region in China or toward far eastern sea of Japan. Meanwhile, during the negative NPOI phase, TCs tended to proceed to the north toward Korea or Japan passing East China Sea from the eastern sea of the Philippines. As a result, also in the TC recurvature, TCs in positive NPOI phase showed a tendency of recurving toward more eastern direction compared to TCs in negative NPOI phase. Hence, TC intensity was stronger in negative NPOI phase which allowed more time for obtaining energy from the ocean.
        3080.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평옥은 다수성 종실용 옥수수 품종 개발을 위하여 2010 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자식계통 KS158과 KS155를 교잡하여 육성한 다수성 단교잡종이다. 다평옥의 종피색은 황색이며 입질은 마치종이다. 2006~2007년까지 2 년 동안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8~2010년까지 3년 동안 수원 등 3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수 성이 인정되어 2010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었고 다평옥으로 명명하였다. 다평옥의 출사일수는 장다옥과 같다. 간장은 장다옥과 비슷하며 착수고율은 장다옥과 같다. 도복은 장다옥 정도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삭길이는 장다옥보다 다소 작으며 100립중은 장다옥보다 가볍다. 깨씨무늬병과 그 을음무늬병에는 강한 편이다. 검은줄오갈병, 이삭썩음병 및 조명나방 저항성은 중 정도를 보인다. 다평옥의 종실수량은 8.6 톤/ha로 장다옥보다 8% 많았다. 4 : 1(모본 : 부본) 재식 비율로 동시 파종하여 채종 시험한 결과 모본 출사기와 부본 화분비산기간이 일치하였으며 채종수량은 2.8 톤/ha이었다. 다평옥은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품종출원등록번호: 제 496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