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amage aspects of soybean by common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Lepidoptera: Noctuidae) at different larval density and different growth stage of soybean were studied in soybean field. The percent yield reduction(Y) of soybean infes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S. litura (X, no. of larvae/plant) under outdoor conditions for a three week period were estim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1) Y = 1.655X - 6.025 (R² = 0.952) for the R1 (flowering stage), (2) Y = 0.725X - 0.475 (R² = 0.986) for the R3 (beginning pod stage), and (3) Y=0.635X - 1.325 (R² = 0.986) for the R5 (beginning seed stage).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nsities of S. litura larvae and the yield index of soybean, the number of larvae (2nd-3rd instar) which caused 5% loss of yield (Tolerable injury level) was estimated to as approximately 6.7 for the R1, 7.5 for the R3, and 10.0 per plant for the R5, respectively. Average soybean leaf areas consumed by 1st, 2nd, 3rd, 4th, 5th and 6th larvae of Spodoptera litura during 24 hr at 28℃ was 0.3, 0.7, 2.6, 4.0, 20.1, and 55.8 ㎠, respectively.
망사시험관을 이용하여 20, 24, 28 및 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난 및 약충발육과 성충수명 및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부화율은 에서 100%였으며, 이 온도에서 멀어질수록 부화율은 낮아졌다. 난기간은 에서 7일 이었으며, 온도가 낮아질수록 날기간이 길어져 에서 16.7일이었다. 영기별 발육기간은 1령에서 일로 가장 짧았으며, 영기가 증가할수록 발육기간이 점점 길어져 5령에서 일로 가장 길었다. 약충기간은 20, 24, 28 및 에서 각각 38, 30, 23 및 18일 이었다. 우화율은 20, 24, 28 및 32에서 16, 41, 72 및 68% 이었다. 암컷 및 수컷성충의 수명은 에서 각각 63 및 60일로 가장 길었고, 에서 각각 20 및 19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전기간은 에서 11일로 가장 길었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현저하게 짧아져 에서 5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수는 에서 67개로 가장 많았고, 에서 21개로 가장 적었다. 발육임계온도는 알의 경우 였고, 1, 2, 3, 4 및 5령충은 각각 9.3, 12.7, 10.0, 11.0 및 였다.
규격이 다른 5가지 사육용기, A용기 (원통형, 직경 10 cm, 높이 4 cm), B용기 (원통형, 지름 14.5 cm, 높이 2.8 cm), C용기 (사각통, 가로세로 : , 높이 10 cm), D용기 (원통형, 밑지름 9 cm, 밑지름 11.5 cm,높이 10.8 cm), E용기 (원통형, 직경 15 cm, 높이 7.5 cm)에 두류종자 (대두+땅 콩종자) 및 스폰지급수물을 제공하여 , 16L:8D 실내조건에서 가로줄노린재의 부화율, 우화율 및 산란수를 조사하여 증식율을 구하였다. 난기간은 사육용기에 관계없이 6일 이었다. 부화율은 로 B용기에서 가장 높았다. 영기별 발육기간은 1령에서 5일, 5령에서 11일로 영기가 증가할수록 현저히 증가하였다. 약충기간은 일로 사육용기에 따른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우화을은 로 B용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A용기 였다. 성충수명은 수컷에서 일, 암컷에서 일 이었고, 성별에 관계없이 B용기에서 가장 길었다. 암컷의 산란수는 개로 사육용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B용기에서 가장 많았고, E용기에서 가장 적었다. 따라서 가로줄노린재의 1세대 증식율은 약 배로 사육용기에 따른 현저한 차이와 함께 B용기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실내에서 가로줄노린재를 가장 안정적으로 사육하기 위해선 B용기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뽕나무버섯균(Armillaria mellea)의 배양적 특징 및 부후특성을 구명하고자 최적 (액체, 한천)배지 선발, 최적 온도 선정, 최적 pH 선정, 최적 톱밥배지를 선발하고, 세포벽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최적온도는 20~27℃, 최적 pH는 고체 배지에서는 pH 5.0~6.5의 약산성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최적 고체배지로는 ME와 PDA로 선발되었고, 최적 액체배 지로는 Glucose peptone이 선발되었다. 첨가제로는 탄소원인 Lactose, Mannitol, 질소원인 Glutamic acid가 효과적인 것 으로 나타났다. 뽕나무버섯균의 최적 톱밥배지 선발에 있어서 잣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소나무에서 균사생육이 양호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삼나무에서 생장이 저조하였다. 뽕나무버섯균에 의해 부후된 침엽수재와 활엽수재 모두 전형적인 백색부후의 부후 형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삼나무와 아카시나무의 부후는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소나 무류(Pinus sp.)의 톱밥이 뽕나무 버섯균의 재배기질로 적합함을 보여주며 일반적으로 흔히 구할 수 있는 저가의 제재부 산물인 경송류의 톱밥을 재배기질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뽕나무버섯균의 배양적 특징 및 부후특성을 구명하고자 최적 (액체, 한천)배지 선발, 최적 온도 선정, 최적 pH 선정, 최적 톱밥배지를 선발하고, 세포벽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최적온도는 20∼27℃, 최적 pH는 고체 배지에서는 pH 5.0∼6.5의 약산성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최적 고체배지로는 ME와 PDA로 선발되었고, 최적 액체배지로는 glucose peptone이 선발되었다. 첨가제로는 탄소원인 lactose, mannitol, 질소원인 glutamic acid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뽕나무버섯균의 최적 톱밥배지 선발에 있어서 잣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소나무에서 균사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삼나무에서 생장이 저조하였다. 뽕나무버섯균에 의해 부후된 침엽수재와 활엽수재 모두 전형적인 백색부후의 부후 형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삼나무와 아카시나무의 부후는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소나무류(Pinus sp.)의 톱밥이 뽕나무 버섯균의 재배기질로 적합함을 보여주며 일반적으로 흔히 구할 수 있는 저가의 제재부산물인 경송류의 톱밥을 재배기질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망사시험관 및 유리시험관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약충발육, 성충수명 및 산란수를 비교하였다. 약충기간은 유리시험관(20일)보다 망사시험관(약 21일)에서 약 1일 길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주로 5령충의 발육기간에 기인되었다. 우화율은 유리시험관()보다 망사시험관()에서 높았다. 성충수명은 유리시험관보다 망사시험관에서 암컷이 약 4.1배, 수컷이 약 6배 길었다. 산란전기간은 유리시험관보다 망사시험관에서 약 1일 길었으며, 산란수는 유리시험관보다 망사시험관에서 약 3.5배 많았다. 산란지속기간은 망사 시험관에서 약 30일, 유리시험관에서 약 8일 이었다. 따라서 톱다리개미허리 노린재의 발육특성을 정확하게 구명하기 위해선 공기유통이 원활한 망사시험관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