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

        2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stract The cascade refrigeration cycle system has been used mainly to obtain the ultra-low temperatur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nternal and outdoor temperatures at chamber on the heat capacity of fin-tube heat exchangers were examined. In addition, refrigerant line patterns as well as refrigerant type for cascade cycle were optimized.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 that the refrigerant line patterns have greater effect on the sensible capacity than the total capacity. Also, the condenser heat release rate for R717-R744 cycle varies the ratio of 46 % with outdoor temperature by comparing with that of 24% for R134a-R410a cycle.
        4,000원
        22.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alolith is a common disease of salivary glands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salivary stones, resulting in the salivary ductal obstruction. The chief complaints of patients with sialoliths are pain and swelling of the involved gland during meals. Most sialoliths are found in the submandibular gland of middle-aged patients. The size of the salivary stones can vary, but most of them are less than 10mm in size, giant sialoliths(larger than 15mm) are very rare. In this case, we report a 68-years old female patient who had removal of a giant sialolith located in left proximal Wharton’s duct by less invasive intraoral surgical technique successfully. We also review related literature.
        4,000원
        2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ixed tumor is a tumor that derives from multiple tissue types. This lesion appears to be mostly Mixed Radiolucent and Radiopaque aspect and typical examples are odontoma, ameloblastic fibroodontoma, ameloblastic fibroma etc. A odontogenic tumor is a neoplasm of the cells or tissues that initiate Odontogenic processes. Typical example is a odontoma. The odontoma is a hamartoma of odontogenic origin. There are two types: compound and complex. A compound odontoma still has the three separate dental tissues (enamel, dentin and cementum), but may present a lobulated appearance where there is no definitive demarcation of separate tissues between the individual "toothlets". It usually appears in the anterior maxilla. The complex type is unrecognizable as dental tissues, usually presenting as a radioopaque area with varying densities. It usually appears in the posterior maxilla or in the mandible. We reported 20-years old male patient who had an atypical mixed radiolucent and radiopaque lesion on right mandibule body tentative diagnosed as complex odontoma and excised.
        3,000원
        2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이용되었던 디자인 프로세스의 실증적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소비자 지향적인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즉, 기존의 디자이너 직관에 의한 디자인 속성 도출 방법과는 다르게, 디자인 속성을 규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제품의 중요 디자인 속성을 추출해 내는 소비자 관점의 디자인 속성 도출방법을 제시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구체적인 속성 규명을 요구하지 않는 PRETREE 모형을 활용하여 유무선 전화기를 대상으로 소비자 선호 기반 중요 디자인 속성을 도출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RETREE 모형은 심리학, 소비자학, 경영학분야에서 널리 활용되어 왔던 소비자 선택모형으로, 디자인분야에서도 주관적으로 치우칠 수 있는 디자인 평가를 계량화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nfection includes an allergic bronchial reaction, an aspergilloma, and an invasive aspergillosis, which is more common in immunosuppressed patients and presents as multiorgan disease. The maxillary sinus is a relatively common site for formation of an aspergilloma where it forms around a nexus of foreign body. It has been indicated that the foreign body containing zinc extruded into the maxillary sinus has the potential to become infected and form an aspergilloma. The treatment of this disease is radical surgery and adjunctive systemic antifungal therapy. This is a case report of solitary aspergillosis of the right maxillary sinus. We experienced a case of right maxillary sinus aspergillosis in a 37 years old male who has dull pain on right temporal and zygoma area. We reported a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
        3,000원
        26.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nign fibrous histiocytomas that is also known asDermatofibroma,Fibrous dermatofibroma, andFibrous histiocytoma are benign skin growths. They are composed of disordered collagen laid down by fibroblasts. In rare cases, basal cell carcinoma may develop in that. Benign fibrous histiocytomas of bone are unusual neoplasms that often are confused with metaphyseal fibrous defects. It is an uncommon neoplasm of the Head and Neck region. It is a rare and usually painless oral tumor. Several cases were reported in mandible, but few in maxilla, especially in maxillary gingiva. We are reporting a case of Maxillay gingival.
        3,000원
        2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디자인요소의 변화과정을 통해 제품디자인요소(product design factors)의 지배력 정도(dominant degree)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지배적 디자인에 대한 측정방법은 구체적으로 제시되었지만 장기간에 걸쳐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한 한계점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배적 디자인(dominant design)의 실증연구가 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도별 디자인 변화 데이터를 확보한 후 휴대폰의 디자인 지배력(dominance)과 지배구조(structure change)가 어떻게 변했는지를 측정해 보았다. 측정결과, 휴대폰 디자인요소 중 바디형태(body form)와 모서리(edge)는 지배력(dominance)이 점점 증가하여 각각 직사각형으로 라운드 모서리로 집중화(convergence)되는 경향인 지배적 디자인요소를 가지고 있었고, 버튼방식(button type), 개폐방식(open type), DMB여부, 영상통화여부, 컬러조합, 바디컬러는 지배력이 높았다가 감소되면서 디자인수준(design levels)이 분산화(divergence) 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이렇게 제품디자인요소의 지배력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마케팅 관리자나 디자이너들에게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서 제품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지배적 디자인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해 신제품 개발시 지배적 디자인 등장에 대비한 성공적인 제품 개발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4,300원
        28.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lasma cell myeloma is malignant disease of plasma cell in the bone marrow. Myeloma accounts for about 1% of all cancers. The solitary plasma cellmyeloma is rare tumors and account for less than 10% of plasma cell neoplasm. It is often progress to multiple myeloma at 30~40% despite successful local treatment with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We are reporting a case of solitary plasma cell myeloma on anterior Maxillary region that developed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and immunosuppressive therapy.
        4,000원
        29.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부 아르헨티나 후후이주 동부에 위치하는 살리나스그란데스 붕산염(borate) 광상은 플라야 주변부에 배태되는 플라야(playa)형 증발광상이다. 이 광상에서 산출되는 붕산염광물은 주로 울렉사이트(ulexite, NaCaB5O9·H2O)로 붕소의 주공급원은 주변 화산암일 것으로 추정된다. 아르헨티나 후후이주 동부는 아건조 기후의 알티플라노-푸나 고평원에 위치한다. 중생대 및 신생대 화산암체는 붕소의 주요 공급원으로 생각되며, 플라야는 이들 붕소가 침전되는 주요분지 역할을 하여 이 지역은 붕소의 이동과 침전을 위한 좋은 지형적 지구조적 조건을 보인다. 따라서 향후 이 지역의 붕산염 광체에 대한 지속적인 탐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0.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ck coupling 반응을 이용해서 poly{2-[2-(2,5-bis-dodecyloxy-4-propenyl-phenyl)-vinyl]- 7-methyl-fluoren-9-one(PFone), poly{2-[2-(2,5-bis-dodecyloxy-4-propenyl-phenyl)-vinyl]-7-methyl-fluoren-9-ylidene}-malonitrile(PF2CN)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중합체의 광학적, 전기화학적 특성을 흡수, 형광분광법 및 cyclic voltammetry(CV)를 통해 확인하였다. PFone과 PF2CN 필름의 흡수 극대치는 410 nm과 410.5 nm에서 나타났다. PFone 및 PF2CN의 최대 발광파장은 각각 633과 635nm로 나타났다. PFone과 PF2CN의 band gap은 각각 2.06eV 과 2.36eV이고 CV를 통해 측정한 LUMO 에너지 준위는 -3.36eV 와 -3.46eV로 나타났다.
        4,000원
        31.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Q(poly-2-[2-(2,5-Bis-dodecyloxy-4-vinyl-phenyl)-vinyl]-anthraquinone)과 PAN4CN(poly- 2-{2-[2-(2,5-Bis-dodecyloxy-4-vinyl-phenyl)vinyl]-10-dicyanomethylene-10H-anthracen-9-ylidene}-malononitrile)을 Heck coupling reaction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합성한 중합체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은 UV-visible spectra, photoluminescence (PL) spectra 및 cyclic voltammetry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흡수 스펙트라 측정 결과, thin film에서의 흡수극대치는 PAQ 와 PAN4CN은 334nm에서 나타났고, 용액에서는 PAQ 338nm, PAN4CN은 336nm 나타났다. 발광 극대치의 측정결과 PAQ는 thin film에서 420nm와 용액상에서는 416nm, PAN4CN은 thin film에서 395nm와 용액에서는 550nm로 각각 나타났다. PAQ과 PAN4CN의 band gap은 각각 2.16 eV, 2.04 eV이고 CV를 통해 LUMO 준위는 -3.64eV, -3.52eV로 나타났다.
        4,000원
        32.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비자 선호의 만족은 제품의 성공의 중요한 열쇠이다. 그렇기 때문에 디자인 관리자들은 소비자선호에 대해 면밀한 검토를 통해 수익성 있는 제품 디자인을 개발하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선호 디자인제품과 디자인 요소간의 영향에 관련한 연구들이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나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다수의 연구에서는 개별제품에 대한 선호되는 디자인요소만을 다루고 있어 선호되는 디자인에 있어서 제품군별 연관성 및 차별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러 제품군들 간의 디자인요소와 소비자 선호와의 관계를 살펴 공통적인 선호 디자인요소와 개별 제품군에서만 선호되는 차별적인 선호 디자인 요소를 찾아 이를 통해 디자이너나 디자인 관리자에게 성공적인 제품 개발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전자기기 중 전자사전, 노트북, 휴대폰, MP3플레이어를 대상으로 4개 제품에 대한 공통의 선호 디자인요소와 각각 제품별 선호 디자인요소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한 분석 방법으로, 4개의 개별 제품군에서 공통적으로 디자인요소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은 계층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개별 제품군에서 디자인 요소가 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서, 이 4가지 제품군의 공통 선호 디자인요소 분석에서는, 전체바디타입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체 바디 컬러가 흰색일 경우 재질은 금속재질일 경우 광택이 경우 선호했고, 개별 제품군별 선호디자인요소의 경우, 전자사전의 경우, 바디형태가 타원형일수록, 컬러가 블랙일 경우, 노트북의 경우 개별선호 디자인요소와 공통 선호 디자인요소가 같으며, 휴대폰의 경우 재질이 플라스틱일 경우, MP3 플레이어의 경우 바디형태가 직사각형이고, 재질이 플라스틱이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제품군에 있어서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디자인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제품군별 공통의 선호 디자인요소와 개별 제품별 선호 디자인요소를 파악하여 디자이너에게 제품 개발시 좀 더 명확하고 합리적인 디자인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4,300원
        33.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부분의 경영분석가들은 뷰티산업이 미래의 주요산업의 하나가 될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뷰티산업은 뷰티에 관련된 서비스와 상품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시장에서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뷰티 서비스와 뷰티 상품을 마케팅하기 위해서는 뷰티가 측정될 수 있어야 하지만, 실제적으로 뷰티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은 사실상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Langmeyer and Shank(1994)의 연구를 바탕으로 인물의 매력을 단일의 차원이 아닌 다차원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258명의 대학생 응답자를 대상으로 인물의 매력에 관련된 뷰티의 차원에 관련된 설문을 실시했고, 이를 바탕으로 인물의 매력에 관련된 뷰티의 차원을 도출하고, 뷰티 측정에 대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행된 정량적 분석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인물 매력에 관련된 4가지 뷰티 차원을 도출하였는데, 2개 차원은 인물의 내면의 아름다움에 관련된 것(역동적 성격, 배려)이었고, 나머지 2개 차원은 인물의 외면의 아름다움에 관련된 것(형상, 스타일)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응답자 특성에 따라 아름다움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응답자 특성으로는 성별, 외적 아름다움의 인식 차이, 자신의 외모 만족도가 고려되었다. 분석결과는 자신의 외모 만족도와 아름다움의 인식 가치가 본 연구에서 도출된 아름다움 차원에 있어서 아름다움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자신의 외모 만족도가 높은 경우 전반적으로 외모차원과 심성차원의 아름다움을 모두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아름다움의 인식 가치가 높은 경우 외면의 아름다움 차원을 내면의 아름다움 차원보다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600원
        34.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범주화는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범주화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이 다르고 감성의 차이에 따라 디자인 컨셉이 다르며 이에 따라 디자인요소가 다르게 배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제품라인이 확대되어 제품의 차별화가 모호한 경우에는 범주화과정이 필요하다. 즉 감성의 유사성 정도를 바탕으로 정확한 범주를 정하고 컨셉화하여 소비자 지향적인 디자인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의 제품범주(장류) 안에 유사한 하위범주(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를 구성하고 있는 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이미지를 추출하고 그 유사성정도를 바탕으로 범주를 결정하여 디자인방향을 어떻게 결정해야 할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장류는 선호하는 이미지로부터 차별화되어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류에 대한 감성 이미지 조사에서, "웰빙의", "감칠맛나는"의 감성 이미지는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저분한", "냄새나는"의 감성 이미지는 선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는 장류제품을 개발할 때 "감칠맛 나는"과 같은 긍정적인 감성이미지는 부각시키고, "지저분한" 이미지와 같은 부정적인 감성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는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에서 제품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4,300원
        35.
        200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tain wall design process of Korea can be mainly divided into Basic DWG phase performed in architectural design phase and Shop DWG phase performed in the curtain wall design phase. The designing in such process (the process of going over to Shop from Basic) is being performed mainly by the outcome. So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between subjects because the decision making or flow of information gets accomplished as one-way. Especially, because the curtain wall designing accomplished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gets performed without reflecting the engineering technology, it causes many problems in the design phasesuch as change of design or delay of decision making. In order to make an improvement on such problem, it is estimated that the existing one-way designing can be improved into the one based on cooperation by enabling the exchange of decision making details between concerned parties in the curtain wall design phase in this study and ultimately proposes a curtain wall design management system which enables generation and alteration of information on curtain wall products, information gathering and sharing of information, etc by materializing a design system of simultaneous engineering concept.
        4,000원
        38.
        200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umer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he traditional project management tools do not adequately support the coordination efforts required to successfully deliver projects. because they were not developed to control uncertainty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of construction project. In traditional construction process control, supervisor usually measures the quantity of production for the project schedule. Flow production has suggested that better productivity, like that labor and cost performance can be achieved by reducing work flows variability. Thi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1) the circular concept of productivity with work flows variation. 2) the indicators that quantitatively measure work flows variation using productivity data which is obtained from the document of construction field. 3) measurement of productivity-based work flows variation for analyzing correlation with variation of productivity and verifies.
        4,000원
        40.
        200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olve existing old building was reconstruction whose regulation has been stronger than before. On the other side, Remodeling project become active. In spite of Remodeling project activation policy of a government, relaxation of some regulation and Remodeling technology development, etc, but Domestic Remodeling market place did nor yet vitalize. This is application of existing resources on condition which has working place, restriction of method and unreliable existing building’s career management, so difficulty of getting information has many risk factors. The more serious problem is lack of understanding about Remodeling, limit of communication and lack of systematic process about complexity of project, etc. of Remodeling project operator and each participant, happening construction term delay, waste of budget, a fall of quality. This study suggests each process work scope of project execution and various kinds analysis tools for decision making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building of project system and builds project execution process system. identification.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