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 Turmeric (Curcuma longa L.) and black pepper (Piper nigrum L.)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as Asian medicinal and culinary herb. Curcumin, a major compound of turmeric, has been known to have antitumor activity. However, curcumin is bioavailable because it is rapidly metabolized and released from the body. Therefore, the addition of adjuvants such as piperine, a potent inhibitor of drug metabolism, is one of the ways to increase the bioavailability of curcumin.
Methods and Results : The yields of turmeric and black pepper ethanolic extracts (TM and BP) are 18.2 and 8.2% (w/w), respectively. The EC50 values of A549 and NCI-H292 cells exposed to TM were 77.8 ㎍/㎖ and 92.0 ㎍/㎖, respectively. No significant cytotoxicity was observed up to the 400 ㎍/㎖ in the A549 and NCI-H292 exposed to BP. Based on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the co-treatment of TM and BP enhanced the cytotoxicity of A549 and NCI-H292 cells. The optimal combination concentration (optimal EC50 value) of TM and BP calculated by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ssay were 48.5 and 241.7 ㎍/㎖. The conbination index assay confirmed that the cytotoxic effect at optimal combinatino concentration was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Conclusion : We hypothesized that co-treatment of TM and BP enhanced cytotoxicity more than single treatment of TM against lung cancer cells, and cell death at this time may synergetic cytotoxicity effects associated with curcumin metabolism.
Concrete structures are exposed to complex degradation environments depending on thei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concrete members of bridges are exposed to water and salt by rivers and oceans, and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of freezing and thawing damage in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bridge due to the continuous heat and heavy snow in summer and winter. In this study, a freeze-thaw test method which indirectly evaluates the strength reduction of concrete according to the repeated cycle of freezing and thawing was proposed, and the strength reduction rate was measured by using the concrete specimen. As a result, the concrete strength was reduced by 20% in freeze-thaw test method.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of the study on strength of each cycles.
The durability of the steel structure can be affected by atmospheric corrosion environments as temperature, humidity, airborne salt etc.. However, atmospheric corrosion environments can be locally changed depending on structural condition and shape. To estimate the local atmospheric corrosion environments depending on structural member exposed to the marine environment, corrosion level of structural member in steel bridge was examined from exposure tests.
Steel water gate can be vulnerable to corrosion problem, since it is generally contacted with water or maintained with relatively high humidity condition.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level of corrosion damage of water gate, corrosion exposure test was conducted using monitoring steel plate and monitoring sensor in actual steel water gate. From exposure test results, corrosion rate and corrosion environment were examined depending on the height or the structural type of water gate.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design of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ullout performance of an cast-in-place anchor. Then, an analytical examination of the planne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size of the specimen was determined by reference to the installation depth of the anchor. The test specimens were checked for bending cracks according to design standards. The numerical analysis model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inal test plan,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that the crack occurred at the center of the section. Therefore, the ultimate specimen which cone fracture of concrete was induced by modeling by reinforcing steel reinforcement on the outside of specimen was plann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sis of chemical constituent in Polygonum multiflorum root (PMR) by different dry methods (hot-air dry, shade dry, and freeze dr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major free sugar were detected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dried PMR based on various dry methods. The highest content of free sugars was found in freeze dried PMR. The four organic acids were detected in dried PMR by HPLC analysis. The content of oxalic acid in shade dried PMR was higher than the dried PMR by different dry methods. The content of total amino acid and essential amino acids were high in the orders of freeze drying > shade drying > hot-air drying. The potassium and magnesium levels of freeze dried PM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drying method of PMR. Whereas the calcium and sodium levels were higher in hot-air dried PMR. The major fatty acids were determined the linoleic acid in PMR by different dry methods.
While cities became bigger and bigger since 1990s, many indiscretely high buildings started to be built in the mountain areas inside a city and in the rural areas in the suburb of each city. To regulate such indiscrete developments, the government prepared for some relevant legal and institutional criteria by having enacted the “Landscape Act” and established a strong management means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by having introduced the natural landscape deliberation system and the landscape deliberation one into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However, since some uniform levels of absolute height and no. of stories are suggested legally and institutionally, it is hard to consider the effects of a real building structure onto the relevant landscape. Accordingly, this thesis is intended to grasp the contrast of the landscape elements in the allowable height section, which is presented through landscape sensitivity. As the results from the visual contrast rating on a small apartment complex located in Dangjin and a large scale of apartment complex in Seosan as the apartment complexes surrounded with natural landscapes that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finalized. First, there were deducted some factors, that is, forms, lines, colors, textures and sizes as the ones with which can measure and evaluate the contrasting properties when a structure gets into a natural landscape. Second, in case of a small scale of apartment complex (in the foreground) compared to a large one (in the foreground), it was found that the contrasting properties were bigger.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contrasting property of the landscape factor of the foreground compared to that of the middle one becomes bigger depending on a distance. Third, as the results from an evaluation on the contrasting properties of the landscape factor depending on the changes of each floor of a structure,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is, forms, lines, colors, textures and sizes are very significant. Among those factors, the factors, forms and lines in a small scale of apartment complex (in the foreground) showed each log regression. But in all of the other cases, they showed each line regression. Fourth, as the results from examin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landscape factor, the coefficients of the shapes and lines have similar coefficients and the colors and the textures have similar ones, too. In case of the sizes of apartment complexes, the colors and the textures of a large apartment complex (in the foreground) have similar coefficients, in case of that in the middle ground, the shapes and lines have similar coefficients. Fifth, as the results from estimating the contrasting properties of the landscape factor on the floors within the allowed scope of the landscape sensitivity, it was found that the contrasting property was 3.5 to 4.9 in case of a small scale of apartment complex (in the foreground), but 2.5to 3.7 in case of a small scale of one. In case of a large scale of apartment complex, the value was 3.5 to 5.3, but in case of a large one in the middle ground was 2.9 to 4.9. Sixth, it was comprehended that the contrasting properties of the landscape factor become different depending on each size of apartment complex and the distance of a view point.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find the meaning from the aspect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comprehending a proper range of heights of structures objectively during a natural landscape deliberation or a landscape deliberation.
A Cultivation method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high temperatures was studied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groundwater cooling treatment on the growth, yield, and quality of strawberries. In the groundwater cooling treatment, the daily average temperature of the rhizosphere was reduced from 26.9°C to 24.9°C . The root length increased by 0.3–9.2 cm, depending on the cultivar and growth period. The leaf number, leaf area, leaf length, leaf diameter, and plant height also increased, especially in the cultivars ‘Seolhyang’ and ‘Maehyang’, resulting in higher fresh and dry weights. The number of fruit per plant increased from 7.7 to 12.5 in ‘Seolhyang’, and the fruit weight increased by 0.3 g in ‘Seolhyang’ and 1.3 g in ‘Maehyang’. The fruit hardness increas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uit coloration was observed. The sugar content of the fruit was improved by 0.2–0.3 °Brix. Therefore, groundwater cooling of the rhizospher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strawberries under abnormally high temperature conditions and can be considered a cost-efficient cooling system.
해양사고를 야기한 선원들의 행동오류 식별은 해양사고 예방, 저감 또는 억제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SRKBB(Skill-, Rule-, and Knowledge Based Behavior) 이론을 이용하여 해양사고 종류별로 선원들의 행동오류를 식별하는데 있다. 행동오 류 식별을 위하여 9년간(2008∼2016)의 해양사고 재결서 1,744건에 기록된 사고내용을 수집한 후, 사고를 야기한 선원들의 행동오류를 SBBE(Skill-Based Behavioral Error), RBBE(Rule-Based Behavioral Error), KBBE(Knowledge-Based Behavioral Error) 세 가지 종류로 분류하였다. 행동오류 분류를 위하여 SRKBB 이론을 적용한 행동오류 분류용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이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행동오류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사고종류별 행동오류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충돌사고는 SBBE가 가장 높은 빈도로 관측되었고, 이어서 RBBE가 두 번째로 높은 빈도로 관측되었다. 이에 반하여 좌초, 전복 및 침몰 등의 사고는 KBBE 중에서 높은 빈도로 관측되었다. 연구결과, 해양사고 종류별로 선원들의 행동오류 식별이 가능하였고, 해양사고 종류별 사고 예방에 필요한 선원들의 행동오류 보정에 관한 단서를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해 어리연꽃으로부터 분리한 sweroside를 이용하여 섬유아세포 내에서의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CCD-986sk 세포를 이용하여 sweroside의 항노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UVB에 의해 증가된 ROS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pro-collagen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종합해보면, sweroside는 화장품 분야에서 신규 항노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o develop a new functional agent for cosmetics
4차 산업혁명에 힘입어 가상현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VR기기들의 많은 발전이 이루어 졌다. 이러한 기기들 중 모션 시뮬레이터는 가상현실의 실재감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션 시뮬레이터와 VR콘텐츠의 효율적인 연동을 위해 기존 시뮬레이터와 제어 방식의 사례에 대해 분석하고, VR콘텐츠 내의 모션 제어 요소를 추출하여 크게 4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사전 연구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VR콘텐츠 제작 시 보다 효율적으로 콘텐츠와 시뮬레이터를 연동할 수 있도록 돕는 모듈형 모션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As high-rise buildings came in, the landscape of rural areas and natural landscapes often got damag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vent this, grasp the extent of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to grasp the range of height that can be permitted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landscape management of agriculture and natural landscape. This study tried to grasp the range of height by using price sensitivity analysis method for two apartment and apartment complex which entered DangJin city and SeoSan city. First, in the case of a two apartment, the range of the height allowable section was from the 6th floor to the 11th floor in close range view, and it was a section from the 7th floor to the 12th floor in medium range view. In the case of the apartment complex, the range of the height allowable range was from the 10th floor to the 17th floor in close range view, the 9th floor to the 16th floor in medium range view. The stress index was found to be positive in a two apartment in close range view, and in the apartment complex case. therefore it was better to set it to a lower in the Range of Acceptable Height(RAH). Second, it showed no difference in the sensitivity of landscape to gender. Thirdly, the results of the landscape sensitivity analysis of major and non-major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medium range view picture of the apartment complex. Majors are lower than the point of minimum height(PMinH) than non-Majors. In the case of major, the stress index was 1.4. it turned out that it was better to make a decision closer to point of minimum height (PMinH). In the case of non-major, the stress index was –1.3. it was also able to accept decision close to the point of maximum height (PMaxH). Since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gave changes only in the variable of the height of the landscape, we can not grasp the point of interaction with other variables, and future research is considered necessary.
본 연구에서는 재고미의 사료가치 평가를 위해 무처리(Control)를 비롯한 Extruding, Roasting, Steam 처리구들의 영양소 성분분석, in vitro 소화율, in situ 소화율을 분석하였다. In vitro 실험에서 Extruding은 건물 소화율과 gas 발생량이 타 처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고, 가장 낮은 pH를 보였으며, 특히 배양 시간 초기에 소화가 신속히 발생하였다. NH3-N 함량은 배양 6 h 이후에서 Control이 Extruding, Roasting, Steam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고, 이는 가열처리된 단백질의 반추위 미생물의 이용성 저하에 따른 결과로 보이나,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해 건물 소화율 분석뿐 아니라 CP 소화율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VFA 발생량에서는 Extruding이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배양 6, 12 h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Extruding 처리구의 분해가 배양 초기에 주로 이어져 발생한 결과로 추정된다. 전분을 발효시키는 박테리아에 의해 높은 비율로 생산되는 propionate 증가 폭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In situ 소화율은 in vitro의 소화율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나, 이는 실험 방법에 대한 오차로 여겨질 수 있으며, ED(유효분해율)를 통해 in vitro 시험과 소화율의 경향성이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상대적으로 적합한 사료가공 처리방법은 무처리, Roasting 및 Steaming인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무처리(control)의 경우 가공처리에 따른 추가비용 발생이 없으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고미가 TMR의 원료로 이용될 수 있다면 국내에서 자급 가능한 사료원료로써 우수한 경제성을 지닐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미세조류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많은 관심을 받으면서 미세조류 고액분리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미세조류 분리 기술에는 미세조류의 밀도차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인 원심 분리법, 중력・응집 침전법, 부유선별법과 막 여과법이 있다. 그 중 막 여과법은 다른 공정에 비해 거의 모든 미세조류를 여과 할 뿐만 아니라 가장 간단한 구조로 초기비용이 적게 발생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밀도의 미세조류는 막오염(fouling)을 야기한다는 단점이 있다. 막 오염(fouling)은 처리수의 투과 수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2차 적인 수질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가 높은 유입수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처리수의 온도차이로부터 발생하는 증기압 차이를 사용하는 막 증발법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막 증발법은 압력을 구동력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분리막 공정에 비해 온도차를 구동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입수 중 입자성 물질의 막 표면으로의 물리적인 이송(convection)이 없으므로 막 오염(fouling)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한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공정인자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고액 분리에 따른 투과 성능 및 막 세정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정 주기와 세정 방법이 막 회복 및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Background :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antioxidative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of several plant resources (three varieties of Asimina triloba L., Momordica charantia L., Psidium guajava L. and Alium ampeloprasum L.)
Methods and Results :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ssayed by five methods based o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scavenging of DPPH, ABTS and reducing power analysis. Total polyphenol contents was the highest in Psidium guajava and Mango, the varieties of Asimina triloba as the contents of 95.85, 95.81 ㎎/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Psidium guajava (54.3 ㎎/g). DPPH free radical scavening activity of all extracts was ranged from 10.5 - 85.8%, and significantry great activities was found at Psidium guajava leaf. Methanol extracts of Psidium guajava and Asimina triloba showed showed greater ABTS scavening activities compared to others. Reducing power of all extracts was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Especially, the extracts of Psidium guajava and three varieties of Asimina triloba showed greater reducing power than that of other resource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were tested by paper disc assay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Antimicrobial activity of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was shown relatively high activity against all investigated strains.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be a new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with antioxidant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y.
가죽 제조 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가공에 사용되는 원료피의 50%가 폐기물로 발생되어 진다. 가죽 원료에서 많은 부분이 폐기물로 발생하기 때문에 해당 공정의 폐기물 처리와 함께 자원으로서의 활용적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한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피혁폐기물은 주로 매립과 소각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어 보다 지속가능하고 환경 친화적인 처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피혁폐기물은 가죽 제조 공정 중 탈모공정(Liming) 후에 발생하는 Pelt scrap으로, 주성분이 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어 혐기성 소화를 통한 처리 시 효율적인 메탄 생성 기질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피혁폐기물은 pH와 C/N 비가 높아 혐기성 소화 시 메탄 생성 과정에 저해를 줄 수 있어 이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피혁폐기물의 pH는 12 부근으로 알려져 있으며, 혐기성소화 공정에서 기질의 pH가 6이하 또는 8.5이상인 경우 메탄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효율적인 피혁폐기물 처리와 메탄가스 생산을 위해서는 기질의 pH 조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피혁폐기물의 높은 pH를 혐기성소화에 알맞은 중성으로 조절해주기 위해 pH가 낮으면서 생분해도가 높은 음폐수를 통합 기질로 사용해 혐기성소화를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피혁폐기물과 음폐수의 pH는 각각 12.4와 4.2였으며, 이를 VS기준 0.13:0.87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기질의 pH를 7.7로 만들었다. 250mL serum bottle에 하수슬러지 100mL를 식종하고 기질 1g VS를 주입하였고 35℃, 150rpm으로 유지되는 항온교반기에서 진행하였다. 기질 pH 조절에 의한 소화 성능 확인을 위해 피혁폐기물과 음폐수 단독소화를 실시하고, 이를 pH 7로 조절한 통합소화 조건과 비교하였다. 이때 소화성능은 유기물 감량과 바이오가스 생산량 및 메탄함량을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단독 소화와 비교해 기질의 pH를 조절해 통합소화에서 바이오가스 생산량과 메탄 함량이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혐기성소화 시 기질 혼합을 통한 중성 pH 조성은 바이오가스 생산량과 메탄 함량의 증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죽제품 제조 산업으로부터 발생되는 피혁폐기물의 양은 투입되는 원료 가죽의 약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피혁폐기물은 적절한 처리 방법이 개발되지 않아 대부분 매립이나 소각을 통해 처리되고 있다. 특히, 매립이나 소각을 통한 처리는 단가가 높아 관련 산업의 경제성을 악화시키고 고형폐기물의 친환경적 처리 관점에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신규에너지원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폐기물을 이용한 에너지화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피혁폐기물은 주로 단백질과 지질로 구성되어 있는 특성으로 인해 혐기성소화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혐기성소화 공정의 최적 C/N 비 (20-30)를 고려할 때, 피혁폐기물의 높은 C/N비 (약 35)는 공정의 제한요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혁폐기물과 음폐수를 통합하여 혐기성소화를 실시함으로써 기질의 C/N 비 조절이 혐기성소화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기질의 C/N 비 조절을 통한 혐기성소화 효율의 변화는 BMP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test를 약 40일간 진행하였으며, 바이오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경기도 동두천시에 위치한 가죽제품 제조업체로부터 수거된 pelt scrap과 양주시에 위치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시설에서 발생되는 음폐수를 각각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개별 기질의 C/N 비는 피혁폐기물이 34.1, 음폐수가 13.5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무게에 따른 혼합비를 조절하여 통합 혐기성소화 기질의 C/N 비를 20, 25, 30으로 맞춰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기질을 통합하여 C/N 비를 조절한 소화 조건에서 개별 기질의 단독소화 조건보다 많은 바이오가스 생산량이 관찰되었으며, C/N 비 20에서 바이오가스 생산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합 기질의 C/N 비 조절효과와 함께 피혁폐기물에 비해 생분해도가 높은 음폐수 함량이 기질의 C/N 비가 낮을수록 더 많이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바이오매스는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의 일종으로 다양한 공정에 따라 바이오 에탄올, 바이오 디젤, 바이오 가스 등으로 회수하여 석유자원의 대체제로 사용 가능하다. 그 중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주로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셀룰로오스는 바이오 에탄올 등의 연료화를 통해 이용되고 있으나, 리그닌의 경우 펄프 공정 내 부산물로 여겨져 단순 연소를 통한 열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리그닌은 자연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페놀성 고분자 화합물의 일종으로, 이를 이용한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접착제 등의 화학약품화 및 탄소섬유로 소재화하는 등의 리그닌 부가가치화 연구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 대상인 폐목재는 2015년 기준 연간 약 170만 톤이 발생하고 있으며 약 70%가 재활용되어지고 있으나, 3등급 폐목재의 경우 가공과정에서 페인트, 기름, 방부제, 접착제 등 다량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재활용 시 많은 제약을 두고 있다. 이러한 폐목재의 특성을 고려한 재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3등급 폐목재를 대상으로 organosolv 전처리법을 이용한 최적 리그닌 분해 조건 도출 및 UF/NF 멤브레인 시스템 적용을 통한 폐목재 내 목적으로 하는 분자량을 가진 리그닌의 고순도 분리 추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분리된 리그닌의 FT-IR, NMR, TGA 분석을 통해 폐목재 리그닌의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고도의 산업발달과 그에 따른 경제규모의 팽창은 방대한 양에 달하는 각종 유해물질의 발생을 가져왔으며 결국 이에 대한 처리능력의 한계와 함께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악취 및 VOC 등은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좀 더 엄격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중에서 폐기물 매립장, 석유화학공업, 바이오가스정제 시설, 암모니아공업, 하수처리장 등 광범위하고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황화수소(H2S)는 달걀 썩는 냄새가 나는 무색의 유독한 악취가스로 인체의 위장이나 폐에 흡수되어 질식, 폐 질환, 중추신경마비 등을 일으키는 위해성이 큰 기체로 분류되고 있어 이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모색이 당면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정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정수슬러지는 정수장의 증설 및 상수도 보급율의 증가, 고도정수처리시설의 도입 등으로 계속 증가되고 있다. 이들의 처리는 대부분 매립과 해양투기에 의존해 왔으나 기존 매립장의 포화에 따른 새로운 부지확보의 어려움, 침출수배출에 따른 민원발생등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런던협약에 따라 2007년부터 해양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새로운 정수슬러지처리의 필요성이 고조되면서 친환경적이고 경제성있는 정수슬러지 활용기술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수슬러지를 소재로 수열반응 및 약품을 첨가하여 슬러지흡착제를 제조하고, 이에 대한 물성분석과 재생특성을 평가하였다. 물성분석은 화학적인 성분 분석과 BET, SEM분석을 토대로 하였다. 슬러지흡착제의 재생은 활성처리를 통해 이뤄졌으며, 재생성능실험은 황화수소를 대상으로한 batch식 흡착평형실험을 통해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정수슬러지는 활성처리과정을 통해 기공의 확대와 함께 비표면적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슬러지흡착제를 활성처리하여 재생시킬 경우 악취(황화수소)에 대한 흡착능이 30~40% 범위에서 복원되는 것으로 나타나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Although the inhibitory effect of mistletoe on cancer cell growth has been reported, the underlying mechanisms to explain its anti-proliferative activity are not fully studied. Thus, we elucidated the potential molecular mechanism of the branch from taxillus yadoriki (TY) parasitic to Neolitsea sericea (NS) (TY-NS-B) for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Methods and Results : In comparison of anti-proliferative effect of TY from the host trees such as Cryptomeria japonica (CJ), Neolitsea sericea (NS), Prunus serrulata (PS), Cinnamomum camphora (CC) and Quercus acutissima (QA), TY-NS showed higher anti-cell proliferative effect than TY-CJ, TY-PS, TY-CC or TY-QA. In addition,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branch from TY from all host trees was better than leaves. Thus, we selected the branch from Taxillus yadoriki parasitic to Neolitsea sericea (TY-NS-B) for the further study. TY-NS-B inhibited the cell proliferation in the various cancer cells and downregulated cyclin D1 protein level. MG132 treatment attenuated cyclin D1 downregulation of cyclin D1 protein level by TY-NS-B. In addition, TY-NS-B increased threonine-286 (T286) phosphorylation of cyclin D1, and the mutation of T286 to alanine (T286A) blocked cyclin D1 proteasomal degradation by TY-NS-B. But the upstream factors related to cyclin D1 degradation such as ERK1/2, p38, JNK, GSK3β, PI3K, IκK or ROS did not affect cyclin D1 degradation by TY-NS-B. However, LMB treatment was observed to inhibit cyclin D1 degradation by TY-NS-B, and T286A blocked cyclin D1 degradation through suppressing cyclin D1 redistribution from nucleus to cytoplasm by TY-NS-B. In addition, TY-NS-B activated CRM1 expression.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TY-NS-B may suppress cell proliferation by downregulating cyclin D1 protein level through proteasomal degradation via T286 phosphorylation-dependent cyclin D1 nuclear export. These findings will provide the evidence that TY-NS-B has potential to be a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chemoprevention or therapeutic agents for human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