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

        41.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예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식품공 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록된 국내 산림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갈참나무 잎을 본 연구 에서 사용하였다.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갈참나무 잎을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 25, 50 및 100 μg/mL의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는 세포를 보호하여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100 μ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50 μM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 하기위해 사용한 H2-DCFDA assay에서는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 저감 활성을 확인하였고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100 μ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는 50 μM ascorbic acid와 비슷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A- β-galactosidase assay를 이용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항노화활성은 ROS 생성 억제 효과 와 유사한 경향으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 노화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 합하여 볼 때 갈참나무 잎 추출물이 hydrogen peroxide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세포 보호효과, 항산화 효 과 및 항노화 효과가 관찰되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MRI는 부분 영역을 자세히 영상화하는 검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체에 위해 한 RF를 전신에 주고 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부분 촬영 시 RF를 차단할 수 있는 방호복을 자체 제작하여 적용함으로써, 전신에 인가되는 RF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온도 상승으로 인한 인체의 위해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 방법은, RF 차단 섬유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원통형 fluid phantom을 이용하여 phantom 실험을 시 행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방호복을 제작하여 무릎에 임상실험을 시행하였다. 영상 획득은,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 치와 32 channel anterior 코일을 사용하여, T1 WI, T2 WI, T2 FS 영상을 획득하였고, 영상 측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의 소거 정도와 aliasing artifact 발생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응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적용 전, 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평가하였다. 결 과 : 실험 결과, phantom 실험의 경우, 영상의 소거 정도와 aliasing artifact 발생 정도 모두 적용 전보다 후가 평균 98.94% 감소하였다. 이는, RF 차단 섬유가 RF를 완벽히 차단한다는 것으로, RF가 인체와 반응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 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임상실험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임상실험 또한, phantom 실험과 마찬가지로 영상의 소거 정도와 aliasing artifact 발생 정도 모두 적용 전보다 후가 평균 95.89% 감소하였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의 방호복이 RF를 완벽히 차단하여 인체에 유해한 온도 상승을 제어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개선 방안이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제시한 RF 방호복은, RF와 인체와의 상호작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규정된 SAR의 초과 우려가 없으며, 이는 곧 온도 상승으로 인해 인체에 발생할 수 있는 위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주자장이 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가 제시한 RF 방호복이, 부분 촬영 시 전신에 인가되는 RF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인체의 위해를 줄일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이라고 생각한다.
        4,500원
        4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식품공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 록된 국내 산림지역 자생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국내 자생식물 45종을 선별하였고, 본 연구팀의 선행연구 에서 45종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다른 종들과 비 교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밤나무 잎을 본 연구 에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 밤나무 잎 추출물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관찰 하였다. 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밤나무 잎 추출물 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특히 100 μg/mL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항산화 물질인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H2-DCFDA 염색을 통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밤나무 잎 추출물이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를 저감을 확인하였고, 세포 보호효과와 마찬가지로 농도 100 μg/mL 에서는 ascorbic acid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SA-β- galactosidase 염색을 통하여 관찰한 세포노화 억제 효과는 ROS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밤나무 잎 추출 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노화 억제를 관찰되었다. 이상 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밤나무 잎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노화를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으며, 이는 천연물에서 유래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 첨가제로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산재의 확산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화산재의 확산을 예측하기 위한 수치 분석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초기 대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하기에는 부적절 하다. 이 연구에서는 시나리오 기반의 대상 기상장과 과거 기상장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화산재 확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유사기상장 모델을 제안한다. 동아시아 지역 기상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5-2014년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데이터를 k-means 클러스터링 방법을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기상장 데이터의 수에 따른 정밀도를 확 인하기 위하여 2010년 1년치 클러스터링과 2005-2014년 클러스터링 결과의 최종 클러스터와 내부 원소들 사이의 상관계수 (correlation coefficient)와 유클리드 거리 (Euclidean distance)를 측정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1년치 결과의 경우 178 m의 평균 거리와 10년치 결과에서는 52 m의 평균거리로 95% 신뢰수준에서 유의하게 차이를 보여주었다. 모델의 정밀도는 기상장 데이터의 크기와 클러스터링 단 계가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고 기상장의 표준편차는 줄어들어 화산재 확산의 변동성이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5.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생활수준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노년의 삶이 연장되고 있는 것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베이비 부모들의 은퇴와 빠른 인구 고령화 속도의 증가로 인하여 노인들의 수가 증가하 고 있고, 이로 인해 이러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산업이 발달하고 각종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전국 각지에 위치하고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노인복지관도 이러한 복지산업과 서비스제공 중 하나이다. 의 부분이다. 노인복지관의 효과적인 운영과 관련하여 인적자원관리의 관점에서 수행된 연구가 많지 않 은데,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시설의 교육서비스를 직접 전달하는 강사가 노인들을 진실하게 대하는지 여부가 그 노인들이 인식하는 대인공정성과 조직지원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노인들 이 평가하는 노인복지시설 서비스품질이 이러한 강사의 진실성여부가 미치는 영향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224명을 대상으로 2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사 비진실성이 증가할수록 노인들의 대인공정성 인 식수준이 낮아지고 나아가 노인들의 조직지원인식의 수준도 결과적으로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들이 복지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을수록 강사의 비진실성과 노인들의 조직 지원인식의 간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운영의 효과성을 평가함에 있어 중요한 지표라 할 수 있는 조직지원인식이 어떤 과정과 맥락을 바탕으로 형성되는지 알려 주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높였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4,600원
        4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인성교육에 관한 문제점을 미학적 차원에서 성찰하고 이상적인 목 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고대 서양철학자들, 즉 소크라테스, 플 라톤의 예술철학을 소개하고, 이를 계승한 일련의 서양철학자들, 즉 화이트헤 드, 야스퍼스, 로너간 등에서 제시된 인성교육과 미학의 연계성을 탐구한다. 그 리고 이어서 칸트의 숭고미학과 쉴러의 예술철학을 통해 인성교육에 끼치는 예 술의 역할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서 예술이 종교적 기능, 즉 치유와 자유와 구 원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 질문한다. 이를 위해서 동양철학/종교 를 소개, 대비하면서 주체와 타자와의 합일에 관한 깨달음이 구원에 이르는 길 을 제시한다는 것을 말한다. 도덕과 예술과 영성의 불가분의 연계성의 맥락 속 에서 진리와 선의 본질에 관한 ‘미적 직관’이 인간의 존엄성을 확인하고 자유로 운 존재로서의 인간의 가치와 의미를 창조하고 실현하는 인성교육의 근본임을 말한다.
        6,600원
        47.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재분석 자료(reanalysis data)를 이용하여 동아시아 계절별 평균 기상장을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 주요 화산체 분화 시 화산재 확산에 따른 피해 위험 지역을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FALL3D 모형으로 임의의 과거 6개월 간 가상의 백두산 분 화에 따른 화산재 확산 결과를 모의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화산재 확산 패턴을 클러스터로 유형화하였다. 마찬가지로 FALL3D에 이용된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 기상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상장 클러스터를 정의하였다. 화산재 클러스터와 기상장 클러스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화산 분화 당시의 기상장이 화산재 확산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000원
        4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ies from 11 forest plants, and determine their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proantocyanidins contents.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rrelated with antioxidant compounds. Among the samples, Cornus officinalis, Castanea crenata, Lindera erythrocarpa, Carpinus laxiflora and Pourthiaea villos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IC50=21.12~28.93 μg/m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 zoline-6-sulfonic acid) (ABTS) (IC50=28.18~52.55 μg/mL) radical scavenging ability with reducing power (IC50=59.91~93.64 μg/mL) than other plants; and C. crenata, L. erythrocarpa and Rubus coreanus showed strong nitric oxide (NO) inhibition activity (≥60%). In addition, L. erythrocarpa, C. laxiflora and P. villosa showed higher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values (≥1,100 μM TE/g sample) than other samples. High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observed in C. crenata (429.11 mg GAE/g), L. erythrocarpa (437.11 mg GAE/g), C. laxiflora (408.67 mg GAE/g) and P. villosa (404.11 mg GAE/g).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reducing powe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otal phenolic contents (R2=0.71~0.79), but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not correlated with NO inhibition and ORAC (R2=0.35~0.43).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 officinalis, C. crenata, L. erythrocarpa, C. laxiflora and P. villosa are potential natural antioxidative candidate ingredients.
        4,000원
        4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중국산 발효 보이차 잎을 고농축으로 추출하였다. 또한 이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항노화 효과를 평가하여, 화장품 산업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발효보이차 추출물의 수득율은 17.9%이었으며, 총 폴리페놀량은 37.5%, 탄닌 7.5%, 다당체류 25%, 기타 22%, 수분 8%가 함유되어 있었다. 발효보이차 추출물의 항산화 (in-vitro)활성은 30mg/mL에서는 33.7±1.8%, 50mg/mL에서는 39.4±2.2%의 소거효과를 보였다. 비교군인 초산토코페롤과 녹차추출물 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발효보이차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율(in-vitro)은 1 mg/mL에서는 102.9±9.9%, 5 mg/mL에서는 111.5±9.9%, 10 mg/mL에서는 122.7±12.2%, 30 mg/mL에서는 131.5±13.7%의 높은 합성능을 보였다 (*p-value?0.05, n=3). 8시간 후의 피부보습효과(in-vivo)는 비교군보다 38.5%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이 보습력은 도포전보다 32.7% 상승하였다. 발효보이차 추출물은 화장품산업에서 보습효과를 가진 원료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50.
        2012.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highly efficient nanoscale surface corrugated light emitting diodes (LEDs) for the enhancement of light extraction efficiency (LEE) of nitride semiconductor LEDs. Nanoscale indium tin oxide (ITO) surface corrugations are fabricated by using the conformal nanoimprint technique; it was possible to observe an enhancement of LEE for the ITO surface corrugated LEDs. By incorporating this novel method, we determined that the total output power of the surface corrugated LEDs were enhanced by 45.6% for patterned sapphire substrate LEDs and by 41.9% for flat c-plane substrate LEDs. The enhancement of LEE through nanoscale surface corrugations was studied using 3-dimensional Finite Different Time Domain (FDTD) calculation. From the FDTD calculations, we were able to separate the light extraction from the top and bottom sides of device. This process revealed that light extraction from the top and bottom sides of a device strongly depends on the substrate and the surface corrugation. We found that enhanced LEE c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mechanism of enhanced light transmission due to refractive index matching and the increase of light scattering from the corrugated surface. LEE calculations for the encapsulated LEDs devices also revealed that low LEE enhancement is expected after encapsulation due to the reduction of the refractive index contrast.
        4,000원
        53.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가교 분자를 사용하여 0.7 kPa에서 17.7 kPa까지 다양한 강도를 갖는 콜라겐 겔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가교된 콜라겐 겔에 다공성 기공을 도입하고 진피세포를 내부에 담지하여, 겔 강도에 따른 세포 성장 및 거동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겔에서 진피세포의 프로콜라겐 생합성이 47 ng에서 32 ng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인공피부 진피에 아데노신을 처리하였을 때, 특정 강도를 갖는 콜라겐 겔에서 프로콜라겐 생합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기능성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는 프로콜라겐 생합성이 콜라겐 겔의 강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강도가 제어된 인공피부 제조 및 응용, 나아가 다양한 조직공학 분야의 기반 기술로 활용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54.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생체재료인 콜라겐과 합성 단량체인 아크릴아마이드를 연속가교 하여, 하이드로젤 기반의 콜라겐 겔을 제조하였다. 아크릴아마이드의 함량 및 가교 정도에 따라, 1.5 kPa에서 3.0 kPa까지 다양한 강도 (E)를 갖는 콜라겐 겔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콜라겐 겔에 다공성 기공을 도입하고 진피세포를 내부에 담지하여, 겔 강도에 따른 세포 성장 및 거동을 확인하였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겔에서 세포의 성장은 느렸지만 GAG 합성 및 분비는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콜라겐 겔의 기계적 물성에 따라 세포의 성장 및 활성이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인공피부 제조 및 응용, 나아가 다양한 조직공학 분야의 기반 기술로 활용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55.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수용액상에서 자기조립 나노입자를 형성할 수 있는 레티노익산이 접목된 양친성 폴리아미 노산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양친성 폴리아미노산은 레티노익산의 접목도가 각각 5, 10, 30 mol%가 되도 록 조절하였다. 수용액 상에서 양친성 폴리아미노산은 소수성 레티노익산의 분자 결합에 의해 안정한 자기조립 나노입자를 형성하였다. 자기조립 나노입자는 레티노익산의 접목도가 증가할수록 크기는 작아지고 형태는 구형 에서 이중층 구조로 전이되었다. 또한 접목도가 10%일 때, 자기조립 입자의 구조 붕괴 없이 레티놀의 포집 및 전달이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접목도가 제어된 자기조립입자는 레티놀을 안정적으로 포집할 수 있기 때문에 주름개선제 및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 전달체로 활용될 수 있다
        56.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DWI 검사 시 자화율 차이로 인해 뇌줄기에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새로운 SS-TSE를 적용하 여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5년 7월부터 동년 9월까지 DWI 검사를 검사한 30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SS-EPI 기법과 새로운 SS-TSE를 적용하여 기법에 따른 뇌줄기의 왜곡과 오차율을 비교평가 하였 다. 연구결과, 새로운 SS-TSE 적용 시 왜곡이 감소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오차율 또한 b0 영상은 2.4%(11. 1%에서 8.7%), b1000 영상은 1.2%(11.4%에서 10.1%)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뇌줄기의 D WI 검사 시 본 연구의 SS-TSE를 이용하면 기존 기법 사용 시 발생하는 영상의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어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57.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낭콩(Phaseolus vulgaris, PV)의 종피 색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유전자원 에 따른 16가지의 강낭콩을 적색 3종, 황색 1종, 적색얼룩무늬 3종, 흰색 얼룩무늬 1종, 회갈색얼룩무늬 2종, 흰색 2종, 회갈색 2종, 흑색2종으로 총 8가지 색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16가지 강낭콩을 콩 전체, 콩 종피 그리고 종피을 제외한 콩으로 분리하여 각각 80% 메탄올에 48시간 추출하였다. 추출 후 원액을 필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강낭콩에서 종피가 차지하는 비율은 6.93 ~ 10.20%이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종피에서 7.05~180.33mg GAE/mL, 콩 전체에서 17.96 ~ 61.23mg GAE/mL, 그리고 콩 알맹이 16.58 ~ 22.24mg GAE/mL이었다. 종피 추출물에서 PV-151(적색얼룩무늬)이 180.33mg/mL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고, PV-132(회갈색)에 서 164.67mg/mL, PV-78(회갈색얼룩무늬)에서 158.36mg/mL, PV-133(회갈색얼룩무늬)에서 158.19mg/mL, PV-126(적색)에서 147.93mg/mL, PV-343(흑색)에서 121.49mg/mL으로 나타났다. 흰색 강낭콩은 폴리페놀 함량이 미비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종피 추출물 2.5배 희석 하였을 때, PV-151(적색얼룩무늬), PV-343(흑색), PV-78(회갈색얼룩무늬), PV-132(회갈색)에서 90%이상 소거능을 보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감소하는 것 을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종피 추출물을 10배 희석 하였을 때, PV-78(회갈색얼룩무늬)가 88.16%, PV-132(회갈색)가 81.29%, PV-151(적색얼룩무늬)가 95.26%, PV-343(흑색)이 80.11%의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색이 다른 강낭콩 종피마다 가지고 있는 폴리페놀 함량이 다르며 각각 다른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적색얼룩무늬, 회갈색얼룩무늬, 회갈색 그리고 흑색처럼 강낭콩 종피의 색이 진할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과 더불 어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8.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낭콩(Phaseolus vulgaris, PV)의 종피색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유전자원 에 따른 16가지의 강낭콩을 적색 3종, 황색 1종, 적색얼룩무늬 3종, 흰색 얼룩무늬 1종, 회갈색얼룩무늬 2종, 흰색 2종, 회갈색 2종, 흑색2종으로 총 8가지 색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16가지 강낭콩을 콩 전체, 콩 종피 그리고 종피을 제외한 콩으로 분리하여 각각 80% 메탄올에 48시간 추출하였다. 추출 후 원액을 필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강낭콩에서 종피가 차지하는 비율은 6.93~10.20%이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종피에서 7.05~180.33mg GAE/mL, 콩 전체에서 17.96~61.23mg GAE/mL, 그리고 콩 알맹이 16.58~22.24mg GAE/mL이었 다. 종피 추출물에서 PV-151(적색얼룩무늬)이 180.33mg/mL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고, PV-132(회갈 색)에서 164.67mg/mL, PV-78(회갈색얼룩무늬)에서 158.36mg/mL, PV-133(회갈색얼룩무늬)에서 158.19mg/mL, PV-126(적색)에서 147.93mg/mL, PV-343(흑색)에서 121.49mg/mL으로 나타났다. 흰색 강낭콩은 폴리페놀 함량이 미비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종피 추출물 2.5배 희석 하였을 때, PV-151(적색얼룩무늬), PV-343(흑색), PV-78(회갈색얼룩무늬), PV-132(회갈색)에서 90%이상 소거능을 보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감소하는 것 을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종피 추출물을 10배 희석 하였을 때, PV-78(회갈색얼룩무늬)가 88.16%, PV-132(회갈색)가 81.29%, PV-151(적색얼룩무늬)가 95.26%, PV-343(흑색)이 80.11%의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색이 다른 강낭콩 종피마다 가지고 있는 폴리페놀 함량이 다르며 각각 다른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적색얼룩무늬, 회갈색얼룩무늬, 회갈색 그리고 흑색처럼 강낭콩 종피의 색이 진할수록 총 폴리페놀 함량과 더불 어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9.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Hericium erinaceus (HE) and we investigated that HE extract contributes to cell proliferation and to anti-LPS-induced inflammation. HE extract showed high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owever, the reducing power activity slightly increased in compare with control.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like activity of HE were elevated in dose-dependent. The level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showed 30.06 mg/100 g and 33.86 mg/100 g, respectively. Linoleic acid oxidation inhibition had reached a maximum level on the fourth day and started to drop from the fifth day. HE extract contributes to cell proliferation on the RAW 264.7 cell. Our finding demonstrated that water extracts of HE possess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ies and may be suggested a new potential source of anti-inflammatory medicines.
        60.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멘트 대체 재료로서 플라이애쉬의 사용은 시멘트 생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창출하였다. 반면에 플라이애쉬 혼입콘크리트는 OPC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양생시간과 초기강도의 발현 저하를 들 수 있어 이의 해결을 위해 물리적 방법, 온도 및 화학적 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활성화 기술의 적용을 통하여 플라이애쉬 혼입 콘크리트의 수화를 가속시킬 수 있고, 콘크리트의 부식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40%의 치환률을 가진 활성화된 플라이애쉬 시편을 통해 개방 회로형 전위측정(Open circuit potential measurement)을 수행하였고, 투수시험, 급속염화물침투시험 및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촬영을 통해 OPC 콘크리트와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치환률의 임계범위 20~30%의 경우에 있어서 활성화된 플라이애쉬를 사용한 콘크리트가 열화저항성에 있어서 개선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플라이애쉬를 화학적으로 활성화시킨 경우가 본 연구에서 수행된 다른 활성화 방법들에 비해 더욱 좋은 결과를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