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을 감소 시키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 방법에는 Stern flap, Stern wedge, 미소한 공기방울을 분사시키는 방법 등등 이 있다. 본 선미형상이 선미유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PIV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메가요트의 선미형상 변화에 따른 선 미후류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저속보다 고속 항해시 경계층 영역이 감소 하였고, 트랜섬 각이 클수록 조파저항 감소로 인한 저항감소 효과 를 얻을 수 있었다.
레저선박의 발달로 인하여 고속화, 대형화에 따라 더불어 레저선박 운항에 있어 안정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로 인하 여 선박의 거동을 제어할 수 있는 부가장치인 핀킬 및 핀안정기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핀킬 주위 유동과 끝단에 서 발생되는 와거동을 추적해보고자 하였다. 실험조건은 Re=2.0×104이며, 영각변화에 따른 유동변화를 계측하고자 하였다. 실험모 델의 경우 핀 안정기의 단면형상을 실험조건에 적합한 NACA0012로 선정 하였으며, PIV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영각이 증가함에 따라 후류에 발생하는 와류의 규모가 확대되고, 외측에서 발생한 와가 내측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해양의 심미적 가치는 해양자원의 하나로 넓은 영역에 파생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나 그 개념과 정의가 추상적이고 가치 평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해양의 심미적 가치의 개념을 정의하고 인지되고 있는 가치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평가하고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의 심미적 가치의 특성을 분석하고 심미적 가치의 보존방안을 고찰하였다. 해양의 심미적 가치를 보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사례와 유형별 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얕은 연약지반에서 구조물-지반 상호작용의 영향을 받는 구조물의 비탄성거동을 정확히 나타낼 수 있는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지반특성을 반영한 얕은 연약지반과 단자유도 구조물로 2차원 유한요소모델을 구성하고, 다양한 지진파와 지반에 대해 OpenSees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연약지반의 비선형거동을 반영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등가선형 주파수영역 해석 결과와 비선형 시간이력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그 비교결과는 등가선형강성을 사용하고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는 주파수영역해석은 단주기영역의 구조물의 응답스펙트럼을 과대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응답스펙트럼에 대한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의 영향은 기초크기와 구조물의 질량의 변화와 큰 관계 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water content in high omega-3 fatty acid Saury nuggets for the desirable texture. The approach was made with adding water and onion at various levels (0~20%). The main ingredients of the nuggets included saury mince, mild pizza cheese, and hydrated textured soy protein concentrate. The formulated products were molded (dia. 4.5, thickness 1.5 cm, 20 g), lightly battered, and flash fried for 4 min. at 160℃, and then frozen until tested. The frozen nuggets were cooked at 165℃ and subjected to sensory evaluations, texture analysis, and water content analysis during warming (0~60 min), as well as assessments of acid, peroxide, and TBA values (during 10 days of storage at 24℃). In the sensory evaluation, preference for texture was highest in the nuggets made with a 15% onion level. The hardness of the nuggets increased with increasing onion level. Moisture content was highest in the nuggets made with a 20% water level. Changes in hardness during warming (0~60 min) of Saury nuggets containing various water and onion levels increased in nuggets made with the 20% water level. The acid, peroxide, and TBA values of the Saury nuggets made with herbs and oriental herbal extracts decreased up to 10 days of storage.
In the present work, bismuth nanopowders with various particle size distributions were synthesized by controlling argon (Ar) gas flow rate and chamber pressure of a gas condensation (GC) apparatus. From the analyses of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images and nitrogen gas adsorption results, it was found that as Ar gas flow rate increased,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bismuth increased and the average particles siz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as the chamber pressure increased,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bismuth decreased and the average particles size increased. The optimum gas flow rate and chamber pressure for the maximized electrochemical active surface area were determined to be 8 L/min and 50 torr, respectively. The bismuth nanopowders synthesized at the above condition exhibit 13.47 of specific surface area and 45.6 nm of average particles diameter.
이 논문에서는 20대와 60대를 얼굴의 측정치와 시각적 분석을 통해 얼굴의 비율과 불균형을 분석하였다. 얼굴폭과 얼굴길이의 비율이 20대는 1 : 1.34, 60대는 1 : 1.39로 나타나 60대 여성의 얼굴길이가 길며, 상안 부길이, 중안부길이, 하안부길이의 비율에서 20대는 0.85 : 1 : 1로 중안부길이와 하안부의 길이가 같은 반면, 60대는 0.84 : 1 : 1.06으로 하안부길이가 길고 상안부길이가 짧다. 얼굴의 균형감은 2˚이상의 심한 불균형인 경우 눈초리각도가 20대에서 8%, 60대에서 13%, 코각도가 20대에서 11%, 60대에서 29%, 구각각도에서 20대가11%, 60대에서 40%로 나타나, 60대의 불균형이 심각하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20대에 비해 60대의 얼굴이 전체적으로 길며, 그중에서도 하안부가 길게 나타난 것은 노화로 인해 얼굴이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얼굴의 불균형이 20대에 비해 60대에서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