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istory to have used lime in building construction was much long without distinctionoftheEastortheWest.Theancientnationsofkoreanpeninsulahadused limeasconstructionmaterial.Thewitnesswasdiscoveredinthekings'tombsoffif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15〜19c), what applied several developed lime compoundsto thekings'tombshavebeen recorded in 'Sanleong-Uigwe(山陵儀軌)'& 'Yeonggeon-Uigwe(營建儀軌)' ofthose days documents.Therefore,this paper is to examinethewholeproceduresfrom theproductandprovisionoflimetoitsapplication throughthosedaysdocuments. Following conclusionshavebeen reached through thestudy.Threelimecompounds tobedevelopedforthekings'tombswasextendedlyappliedtoresidentialgovernment buildingsstepby stepwithinthecurrentoftime.Thesecompoundstobeusedinthe kings'tombsoftheJoseondynastyhadbeencorrelatedtothoseoftheancientnations, whichwerenationsofkoreanpeninsulainnarrow range,chineseandorientnationsin broad range. These compounds have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as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 material. And these compounds should provide a standard specification for conservation &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and cultural properties.Icould confirm thatthe whole procedures had notbeen developed within limited space-time ofthe specified nation & period,butwithin interactions of the nations & periods.In the periods which disturb its interaction,the expansion of productivityinbuildingconstructionwasinterfered.
Since the 1970's, UNESCO and ICOMOS have adopted or emphasized on the principles of historic preservation. One of them is what to require a repair have not to be repaired beyond the limits of the features and techniques to have been born in those days of establishment. On the premise,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terials and technique of lime plaster work in order for roof ridge, and for bond paste of stones and bricks in government construction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17〜19c).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will come up with a basic conformity in the case of repairing the building established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is paper is carried out for the proper repair and restoration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Construction reports and other documents in those days are examined for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The components of old plaster mixtures which agglutinate stones each other were quicklime, perilla oil, and paper fiber. The components of old plaster mixtures which point joint of black bricks consisted of slaked lime, perilla oil, paper fiber, and cereal starch. These components were the same as coat surface of roof ridges. In the case of times, one of the following sand, white clay, sap of boiled elm bark was added to these components for the purpose of high efficiency. These materials and techniques which applied to plaster work of those buildings had developed in the process of making royal tombs. But these materials and technique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present.
소리는 포유류, 새, 개구리, 및 메뚜기목의 곤충들이 많이 사용하는 통신 매체이다. 동물의 소리신호는 개체의 정체, 상태, 하고자하는 의도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많은 동물에서 소리신호는 종인식, 짝짓기, 성선택, 영역방어, 먹이탐색, 경고와 같은 행동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하다. 소리신호는 다른 형질과 마찬가지로 환경에 대한 적응의 산물이다. 특히 포식자 탐지, 잡음이 많은 환경에서의 의사소통 및 신호의 효율성은 개체의 생존에 매주 중요하다. 그러므로 소리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이해하면 개체, 개체군, 심지어 종에게 작용하는 자연선택의 힘을 이해할 수 있다. 동물의 소리신호는 각 종마다 독특하여 분류 형질로 이용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유연관계가 가까운 종들은 종종 형태적으로 분별하기 어렵지만 소리신호는 종종 아주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소리신호에 대한 형질 수준이 야외에서 보다 더 분류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또한 소리신호는 보통 멀리서도 쉽게 들을 수 있다. 심지어 소리를 발생하는 개체가 보이지 않더라고 근처에 숨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런 점은 멸종위기종과 같이 흔하지 않은 종의 서식 유무 및 개체군 크기 등의 정보를 조사하는데 소리신호 형질을 이용한 조사가 효율적이고 보존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동물들이 사용하는 소리신호를 분류군별로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이들 소리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해하면 성선택에 의한 소리신호의 진화, 소리신호의 지역변이, 종분화에서 소리신호의 역할, 소리신호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소리신호를 이용한 개체군 크기 조사와 같은 기초학문의 발전뿐만 아니라 학습교재, 체험학습 및 생태문화와 같은 생물자원으로도 개발할 수 있다.
종래의 게임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논의는 게임아이템 등의 현금거래를 허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입법정책적 논의에 치우쳐 있었고, 게임 디지털콘텐츠를 단순한 게임 프로그램 이용권이라는 채권으로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였다. 게임 디지털콘텐츠는 현실의 물건과 유사한 가상의 이미지로 구현되어 있고 적어도 게임 내에서는 현실의 물건처럼 독립하여 특정되거나 양도가 가능하다. 이러한 게임 디지털콘텐츠의 특성 및 게임 디지털콘테츠 거래 시장 규모가 1조원에 이른다는 현실을 고려할 때 게임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디지털콘텐츠의 법적 성격을 물권법적, 채권법적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관리가능성이 있다면 무체물도 물건으로 인정하는 민법 제98조의 해석상 게임 디지털콘텐츠도 물건으로 인정될 여지가 있다고 하겠다. 관리가능성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당시 사회통념에 의하여 판단되어야 하고, 과학기술의 발달로 관리가능성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게임 디지털콘텐츠가 실제 세계에서 현실적인 물건으로 존재하지 않을 뿐 특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므로, 게임 디지털콘텐츠를 관리가능성 있는 무체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게임 디지털콘텐츠가 실제로는 게임 프로그램의 일부라고 하더라도, 게임 이용자나 게임 회사 모두에게 게임 프로그램 자체와는 별개의 단위로 인식되어 개별 물건으로서 취득, 변경, 양도되고 많게는 수백만원의 경제적 가치를 가진다는 점에서 독립성이 인정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보인다. 다만, 게임 디지털콘텐츠가 물건으로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민법 제259조 제1항 단서 소정의 가공의 법리에 의하여 게임 이용자가 권리를 취득하였다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게임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은 게임 회사에 있다고 할 것이다. 한편 채권법적 접근 방법에 따르면, 게임 디지털콘텐츠를 게임 이용권의 일부로 파악하고 있고, 판례도 형법상 재물이 아닌 단순한 재산적 이익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채권법적 접근방법에 따른다면 기존의 민법 법리를 이용하여 게임 아이템의 성질 및 이용관계에 대한 명징한 법적 설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용자들이 투여한 노력과 시간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하기 어렵고, 게임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현실적인 인식과 법리구성 사이에 괴리가 초래된다는 문제점을 간과하기 어렵다. 따라서 구체적인 물리적 대상이 아닌 디지털 이미지도 가치 부여라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통해 적극적인 재산권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바탕으로 가상 공간에서의 새로운 물권적 지배관계 혹은 권리관계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Since the 17th century, the society of Joseon dynasty belongs to a period of rapid transition in many fields. As the building is a result to be produced on the basis of a society and economy, the general transition in a society is to be reflected into a process of building construction. Especially, a study on the material supply system of economic base in a process of building construction is one of very important factors in an understanding or estimate of a building. On the premise,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upply system of iron materials and the tools in the construction of the government managed building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on a viewpoint of productivity. Construction reports and other documents in those days are examined for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1) The general supply method of iron materials for a large-scale government construction was based on 'byulgong', that is, a kind of tribute. 2) Various methods were selected in the supply method of iron materials for government use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e priority order of choice in its government policy was put on an easiness of amount security, on a minimum of expenditure, and on an efficiency of construction execution. 3)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weaponry was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of iron materials and the tools for government use. The cooperation of the official, the army, and the merchant had improved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building construction.
선박 횡동요는 물적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승선자의 거주성, 안전성 및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 된다. 횡동요억제를 위한 많은 연구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개발이라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상당한 효과를 얻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 된 대부분의 장치는 그 성능을 고려하지 야더라도 특수한 목적의 선박을 대상으로 설치·운영되고 있으며, 고가이고 복잡하여 설치 상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박의 선미측에 설치한 플랩을 이용하여 운항중인 선박의 횡동요 억제에 관해 고찰하고 있다. 본 장치는 중·소형의 선박에도 쉽게 설치하여 운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적절한 제어시스템 구축으로 피칭운동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장치를 설치한 선박에 대해 실험적 기법을 이용하여 모델링을 행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장치의 횡동요 억제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자동차 경량화를 지향하는 초경량차체 기술 중에서 합체박판기술을 이용한 수 있는 일련의 최적설계 기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자동차 도어 내판에 적용하여 경량화를 수행하였다. 먼저, 내판에 부착되는 보강재를 제거한 후 취약해진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파트 선정을 위해 위상 최적설계를 수행하여 대략적인 파트 분포를 결정하였다. 그 다음 상세설계 단계로서 각 파트의 두께는 치수 최적설계를 이용하여 정하고, 형상 최적설계로 최종 용접선을 결정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최적화를 위해 상용 소프트웨어인 GENESIS가 사용되었다.
Broadly speaking, this paper is concentrated on the trimming of the wood demanded for the palace, constructed in the 2nd half of the Choseon Dynasty. To be concrete, this is the study on the craftman and craftmanship corncerned with the trimming of the wood, its system, and terms of payment of his wages, Construction reports, financial reports, job slips, written estimates, bills for payment, and other documents in those days are examined for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1) The operation system of whole construction office and its suboffice was very specialized and systematized from the early 19th century. 2) The craftman engaged in trimming of the wood was subdivided by work function. 3) The craftman for its first trimming, i.e. 'keojang' or 'seonjang' had been treated as a speacial labor recruited to the mid-l8th century, after that, was enrolled into the craftman. 4) A unit cost of its first trimming was firstly appropriated into the reconstruction of the Kyongwoon Palace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it was very subdivided for a personnel management. 5) Contract works were widely applied to all workers engaged in the reconstruction for an efficiency of the accomplish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