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65

        7241.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detection method for irradiated black and white pepper. Samples were packed in polyethylene bags and irradiated with 2.5, 5, 7.5, 10 and 15 kGy using a Co-60 irradiator. The samples were suspended in water, and alkalized with sodium hydroxide solution. Apparent viscosity was determined after heat gelatinization using a Brookfield DV-III rotation viscometer at 30 with 30, 60, 90, 120, 150, 180, and 210 rpm.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viscosities of all sample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stirring speeds. The viscosities increased in all samples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Regression expressions and coefficients of viscosity which decreased with increasing irradiation dose of 10% and 13% black pepper, and 7% and 10% white pepper were 0.9531 (y=-131.29x+1,769.0), 0.9725 (y=-351.33x+4,036.0), 0.9731 (y=2,208.0e^(-0.3546x)), and 0.9959 (y=5,116.0e^(0.2887x)), respectively, at 120 rpm. This trend was similar for all stirring spee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tection of irradiated black and white pepper at various doses is possible by the viscometric method.
        4,000원
        724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머리와 얼굴의 체질인류학적 특정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크게 달라지지 않으며 인 종과 민족올 구별할 수 있는 특정이다. 따라서 한국 대학생의 정면 얼굴형태를 분석 하기 위하여 외상 및 전신질환이 없는 17-30세 사이의 대학생 688명(남자 322 명, 여 자 366명)올 대상으로 머리높이, 얼굴높이, 미간얼굴높이, 이마높이, 눈썰최고점 glabella 직선거리, Glabella- 기준선 직선거리, 기준선 - subnasale 직선거리, subna잃le - gnathion 직선거리, 얼굴폭, 외안각사이거리, 내안각사이거리, Trichion- 눈캡최고정 직선거리, 눈캡최고점 - subnasale 직선거리를 계측하고 분석하였다. 한국 대학생의 정면얼굴은 얼굴높이가 다른 인종에 비해 길고 넓은 얼굴형태를 나타내며, glabella기준선 직선거리, 이마높이를 제외한 모든 계측항목에서 남자에서 여자보다 길게 계 측되었고 성별에 따라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 학생의 정면얼굴에서 상안, 중안 및 하안이 차지하는 비율은 하안, 상안, 중안의 순서 로 나타났으며, 상안과 하안의 길이는 얼굴높이에 영향율 주나 눈 주위 계측항목과 코높이는 얼굴높이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24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7250.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bscan Topography System 및 A - scan Ultrasonography로 전 방깊 이 훌 측정 하 여 두 기 기 의 신 뢰 도를 평 가하고, A - scan Ultrasonography률 gold standard로 간주 하여 Orbscan Topography System으로 측정한 전방깊이 값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20안올 대 상으로 Orbscan Topography System 및 A - scan Ultrasonography롤 이 용 하여 측정한 test 와 retest 차이에 대한 평균값은 각각 0.030 :t 0.150 mm와 0.016:t 0.065mm 였다. 또한 54안을 대상으로 Orbscan Topography System과 A - scan Ultrasonography로 측정한 전방깊이 값의 평균은 각각 3.200:t 0.302 mm와 2.999:t 0.239mm로, Orbscan Topography System 측정 값이 더 높았으며 (t = 10.α)3, p<O.αX)1), 두 기기의 측정값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r = 0.824, p<O.OOül). Orbscan Topography System 측정값을 A - scan Ultrasonography 측정값과 직접 비교하기 위해서는 환산공식이 필요하다.
        4,000원
        7254.
        200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