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077

        8021.
        198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pirin이 위점막(胃粘膜)에 손상(損傷)을 일으키는 기전(機轉)을 해명(解明)하고 침해(侵害)받는 세포(細胞)의 종류(種類) 및 형태(形態)를 구명(究明)하고자 rat에 체중(體重) 1kg당(當) 60mg을 경구(經口) 및 피하(皮下)로 투여(投與)한 후(後) 경시적(經時的)으로 임상소견(臨床所見)을 관찰(觀察)함과 동시(同時)에 위점막세포(胃粘膜細胞)의 형태적변화(形態的變化)를 광학(光學) 및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으로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aspirin의 경구(經口) 및 피하투여(皮下投與)에 의(衣)하여 특별(特別)한 임상소견(臨床所見)이나 위점막(胃粘膜)의 육안적(肉眼的) 및 광학현미경적(光學顯微鏡的) 소견(所見)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미세형태학적(微細形態學的)으로는 투여경로(投與經路)에 관계(關係)없이 명백(明白)한 변화(變化)를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즉(卽) 위점막세포중(胃粘膜細胞中) 가장 심하게 손상(損傷)받는 세포(細胞)는 벽세포(壁細胞)와 주세포(主細胞)로서 벽세포(壁細胞)에서는 SER과 intracellular canaliculi의 증식(增殖)이, 그리고 주세포(主細胞)에서는 RER의 단열(斷裂), 확장(擴張) 및 효소원과립(酵素原顆粒)의 수적감소(數的減少)와 구조적이상(構造的異常)과 같은 가역적(可逆的) 변성변화(變性變化)가 인정(認定)되었으며 점액세포(粘液細胞), 점액경세포(粘液頸細胞), 기저과립세포(基底顆粒細胞)는 비교적(比較的) 경(經)한 변화(變化)를 보였다. 경구투여군(經口投與群)보다는 경미(輕微)하지만 피하주입군(皮下注入群)에서도 경구투여군(經口投與群)에 상응(相應)하는 변화(變化)를 나타낸 점(点)은 aspirin에 의한 위점막(胃粘膜) 손상(損傷)이 aspirin의 직접적영향외(直接的影響外)에 혈중(血中) aspirin 농도(濃度)에 의(依)한 간접적손상(間接的損傷)도 가미(加味)된다는 것을 시사(示唆)하는 형태적소견(形態的所見)이라고 생각(生覺)되었다.
        4,600원
        8022.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冠岳山의 억새 草地A와 B 및 새草地에 있어서 落葉의 生産, 堆積 및 分解를 硏究하였다. 1. 억새草地A와 B 및 새草地 落葉의 生産量은 各各 2,267.12, 943.44 및 1,228.48g/m2였다. 2. 억새草地A와 B 및 새草地 落葉有機物의 分解常數는 各各 0.732, 0.411 및 0.877 이였다. 3. 草地落葉의 有機物이 억새草地A와 B 및 새草地에서 半減하는데 要하는 年數는 各各 0.9年 1.7年 및 0.8年이었고 95% 減少하
        4,000원
        8023.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 硏究는 土壞含水量이 바른 2個의 억새草地를 對象으로 하여 억새가 生産한 物質을 어떻게 植物의 各 器管에 分配하는가를 硏究하였다.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土壤含水量이 22.54%인 억새 草地 A와 9.22%인 억새草地 B間에 現存量의 極大値는 各名 2,267. 12g/m2와 943.44g/m2로 大端히 有意한 差가 있었으며 物質生産力의 peak는 9月로 鍾型曲線을 나타내었다. 2 억새가 合成한 養分은 地下莖에 저장하여
        4,000원
        8024.
        198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기계(農機械)의 포장작업시(圃場作業時) 주행성능(走行性能)에 크게 영향(影響)을 미치는 토양경도(土壤硬度)를 깊이별로 측정(測定)하기 위한 토양경도계(土壤硬度計) 개발(開發)을 목적(目的)으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利用)한 토양경도계(土壤硬度計)를 제작(製作)하여 경도(硬度)를 측정(測定)한 실험(實驗)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Strain gage를 이용(利用)한 토양경도계(土壤硬度計)의 Calibration곡선(曲線)이 상관계수(相關係數)가 0.99876, Dial gage를 이용(利用)한 기존(旣存) 시험기(試驗器)의 Calibration 곡선(曲線)이 상관계수(相關係數)가 0.97150으로 나타나 Strain gage를 이용(利用)하는 쪽이 더욱 정밀(情密)한 측정(測定)이 가능(可能)하였다. 동일(同一) 토양(土壤)에 대(對)한 측정치(測定置)의 표준편차(標準偏差)는 모래, 논흙 2종(種)의 토양(土壤)에 대(對)하여 각각(各各) Strain gage를 이용(利用)한 토양경도계(土壤硬度計)가 6.794, 8.271, Dial gag를 이용(利用)한 기존(旣存) 시험기(試驗器)가 7.490, 9.161로 나타나 Strain gage를 이용(利用)하는 쪽이 측정오차(測定誤差)가 작았다.
        4,000원
        8025.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래의 thyristor chopper는 reactor가 필수 불가결하여, reactor의 내부저항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피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main thyristor를 commutation하기 위해, commutation capacitor에 충전된 전압을 main thyristor에 역으로 가하여 main thyristor을 commutation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i) 종래의 thyristor chopper에 필수불가결한 모든 reactor를 제거하여 chopping 작용을 가능케 할 수 있었다. ii) Commutation capacitor에 의해 부하를 통과하지 않고 허비되는 에너지의 67%를 회수할 수 있었다. iii) 본 thyristor chopper의 turn off time은 T=RC ln2에 의해 계산된다
        4,000원
        8026.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발생예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1976년부터 1981년까지 진흥과 유신을 공시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성숙기의 잎집무늬마름병 피해도는 7월중의 병반높이와 병반고율, 9월 11일의 병반지수에 의하여 추정할 수 있었다. 유신품종에 있어서 7월 11일의 최상위병반 높이와 성숙기의 피해도와는 관계는 이었다. 한편 약제방제시기와 회수시험결과는 잎집무늬마름병의 발병주율과 발병경율이 7월 11일에서 8월 1일 사이에 급격히 높아지는 사실과 7월중의 병반높이와 성숙기의 피해도와는 상관이 높은 것을 감안할 때 7월 15일과 7월 25일 또는 7월 25일과 8월 5일의 10일간격 2회방제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4,000원
        8027.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흑, 적, 녹색의 그물무늬의 시각막을 15.0, 37.4, 62.9cm/sec의 속도로 회전시켰을 때의 송사리 Orizias latipes의 방어 Seriola quinqueradiata의 시각운동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각운동반응율은 송사리가 95%, 방어가 94%였다. 2. 송사리가 잘 반응하는 시각막의 색상은 흑, 적, 녹색의 순이며, 흑색에 대한 적, 녹색의 차이는 뚜렷했으나 적색과 녹색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3. 방어가 잘 반응하는 시각막의 색상은 흑, 적, 녹색의 순이며, 색상에 따른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4. 시어가 잘 반응하는 시각막의 속도는 62.9, 37.4, 15.0cm/sec의 순이며, 속도에 따른 차이는 뚜렷했다
        4,000원
        8029.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한요소법에 의한 고체내부 사각열원 주위 열전도특성은 실험에서 구한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열전도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각열원의 중심거리 이동에 따른 열전도에 미치는 중심방향의 영향은 열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낮은 온도분포를 보이며 x=16cm 일 때 model 4에서 θ=0.698 model 3에서는 θ=0.401이다. 그리고 내부로 감에 따라 그 차는 감소한다. x=40cm에서 model 4은 θ=0.907이고 model 6은 θ=0.895이다. 2. 높이방향의 영향은 공기와 접하므로 대류현상이 일어나므로 열원의 크기를 벗어나는 구역은 model 1~3에서는 y=8~12cm model 4~6에서는 y=4~8cm이다. 그리고 두 곳의 온도의 차는 θ≒0.009이다. 3. 열전도도의 변화에 따른 열전도의 영향은 그 값이 클수록 강하게 나타나며 model 2에 대해서 높이 방향의 전 경계에 대한 무차원온도의 변동은 k=7 일 때 θ=0.079~0.054 k=0.3일 때 θ=0.0036~0.0025의 값을 나타낸다
        4,000원
        8030.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0년 9월 1일부터 1981년 2월 28일까지와 1981년 9월 20일부터 1982년 2월 28일까지 부산수산대학(350˚ 07'.9N, 129˚ 06'.3E)에서 A-C pair 및 A-E pair의 오메가 전파의 위상차를 연속적으로 관속하여 년별, 월별, 일별의 재현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오메가전파의 이상전파로 인한 전후기의 실측 PPC 간의 차가 큰 10월을 제외하고는 양 pair 모두 같은 주기적인 변동을 하므로 년별의 재현성은 좋았다. 일별의 재현성에 있어서는 표준편차의 변동이 심한 일몰과도기는 재현성이 없었으며 주야간은 양호한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측 PPC 간의 차의 월별변화가 컷으므로 양 pair 모두 월별의 재현성은 희박하였다
        3,000원
        8032.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8033.
        198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rcospora kikuchii에 의해서 발병된 대두종자의 부패균에 대한 획득저항성기작을 구명코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 대두의 건전종자, 자연열개종자, 인위적 상처종자 및 자반병 감염종자재의 전단백질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peroxidase활성도는 감염종자에서 월등히 높았다. 2. 대두의 건전종자와 자반병 감염종자의 종피 및 자엽내의 단백질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peroxidase활성도는 자엽에서는 차이 가 없었으나 종피에서 건전한 종피보다 자반병에 감염된 종자가 2.5배 정도 높은 활성도를 보였다. 3. Polyphenol oxidase는 대두의 건전종자의 자반병 감염종자 모두 활성도가 너무 낮아 측정할 수 없었다. 4. 전기영동에 의한 peroxidase isozyme pattern은 건전종자와 감염종자간에 차이가 없었다. 5. 자반병에 대한 저항성기작은 자반병균에 의하여 대주종피 자체내에서 생화학적 방어기작이 더욱 활성화 하였으며 peroxidase활성도의 증가는 병원균에 대한 반응으로 사료된다.
        3,000원
        8034.
        198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도열병의 발생은 잎도열병병반수조사 4일전까지의 2개반순의 분생포자비산수와 고도의 정의 상관이 있었고 이삭도열병발생은 진흥품종에서 출수기 분생포자비산수와 정의 상관관계였다. 수잉기에 있어서 잎도열병의 병엽수와 이삭도열병발생은 고도의 정의 상관, 지엽의 규화도와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I-KI법은 30분이내에 도열병균 침입에 의한 감염부위를 알 수 있어 잎도열병의 초발은 4일전에 예찰이 가능하였으며 I-KI법과 잎도열병발생과의 양적인 관계를 구명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3,000원
        8035.
        198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논 토양면적의 약 에 해당하는 409, 901.9ha가 사질토양으로 그중 약 인 303,683.3ha는 객토를 요하는 면적이다. 현재 정부에서는 쌀의 증산을 위하여 농토배양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데 농토배양은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개양하여 증수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도열병의 발생억제에도 큰 효과가 있다. 본 시험에서는 농토배양을 했을 때 목도열병의 발생은 품종에 따라 객토하지 않은 논에 비하여 까지 적게 걸렸으며 목도열병의 발생경감효과는 일반계품종보다 통일계품종에서 더욱 컸다. 한편 농토 배양구에서 11개 공시품종의 토장은 평균 6.4cm 길었고 이삭수는 2.3개가 많았으며 현미중에 있어서도 평균 의 증수효과가 있었다.
        3,000원
        8036.
        198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키다리병에 감염된 농백과 운봉산종자를 물못자리에서 육묘하여 못자리도장묘와 건전묘를 구분, 이앙하였다. 못자리도장묘는 대부분의 잎이 단시일안에 고사하였으나 남은 줄기에서는 분생포자의 형성이 많았다. 이보다 먼저 실시한 실내시험에 운봉산종자는 농백은 의 종자감염율을 나타냈다. 한편, 못자리에서 건전하게 보였던 묘에서는 이앙후 약 2주되는 6월중순부터 전형적인 병징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1주일후에는 포자형성과 동시에 고사하기 시작하였다. 도장묘의 상태를 완전고사주와 부분고사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완전고사주는 시일이 경과하면서 증가하지만 부분고사주는 줄어 들었다. 또한 완전고사주에서는 흠주수가 증가하고 분생포자형성주는 큰 변동이 없으나 무형성주는 초기에만 존재하였다. 도장묘에서의 분생포자형성높이는 점차 높아지는데 8월초순 운봉산은 포자형성높이가 초장의 약 , 평균높이는 약 , 농백에서는 최고높이 약 , 평균 높이는 전경였다. 결론적으로 못자리에서 도장한 묘는 이앙후 대부분이 곧 고사하지만 육안으로 식별불능의 보균묘가 문제시되며 포장에서 도장하면 1주일 후 에는 분생포자형성이 시작되고 벼알감염의 주전염원은 7월순의 도장묘로 관찰되었다.
        4,000원
        8037.
        1981.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700원
        8038.
        198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6연, 1977년 및 1980연의 3개년간 진흥과 유신을 공시, 질소질보비구와 배비구로 나누어 6월 21일부터 9월 21일까지 생유 및 잎집무늬마름병의 발병조사를 실시한 결과, 1, 생육상황에 있어서는 진흥이 유신보다 초장이 길었으며 8월 1일 이후에는 질소시비수준에 관계없이 길었다. 그러나 분얼수에 있어서는 유신에서 많았다. 2. 초발은 6월하순 또는 7월상순으로 7월중순8월상순사이에 발병주율과 경율이 급속히 증가하였다. 3. 초장에 대한 병반높이의 백분율을 나타낸 병반고율에 있어서는 9월초순에 내외였으며 유신배비구에서는 8월 11일이후에 를 넘었다. 4.조사주에서 제일 높이에 병반이 위치한 엽립 또는 엽초위를 조사하여 병반지수로 나타낸 결과 성숙기에 가까운 9월 21일 조사에서 진흥배비구는 차엽의 중간, 유신배비구는 상엽의 엽초에까지 도달되어 있었다. 5. 상위 제1절부터 제5절까지의 절간장을 비교한 결과, 제 3,4,5절의 길이는 두 품종간에 별차이가 없었으나 제1절과 제2절에서는 진흥이 각각 길었다. 결론적으로 병반고율에 있어서는 같은 질소시비수준내에서 유신이 진흥보다 높았으며 같은 높이에서 발병이 시작되고 병반진전속도가 같아도 상위 제1, 제2절간장의 길이가 짧은 유신에서 피해가 많았다.
        4,000원
        8039.
        198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남해안에 있어서의 오메가신호의 지역적인 변화와 측정위치의 정도를 알기 위하여 제주(33˚31'.0N, 126˚31.9E)와 부산(35˚7'.9 N, 129˚6'. 3 E)에서 1980년 12월 1일부터 1981년 2월 28일까지 A-C pair 및 A-E pair에 대하여 동시 관측하여 오메가신호의 일변화, 두 지역 간의 실측PPC의 상관관계 및 차의 분포, 차등오메가 이용할 경우의 측위의 정도를 검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주와 부산 두 지역 간의 오메가전파의 위상차는 정의 상관관계의 평균치는 A-C pair는 0.7, A-E pair는 0.75이었다. 2. 「제주실측 PPC-부산실측 PPC」의 반달마다의 평균치의 범위는 A-C pair는 17.7~21.3 cels이었으며, A-E pair는 -2.9~2.0cels이었다. 3. 두 지역에서 차등오메가로 이용할 경우의 측정위치의 오차의 범위는 1.0~2.2 miles이었으며, 오차권의 평균치는 1.52mile, 표준편차는 0.21mile이었다.
        4,000원
        8040.
        198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curacy of the position fix obtained by navigation with Omega in the capacity of worldwide navigation depends on the predicted propagation correction. The authors observe continuously the phase differences of the A-C pair and the A-E pair from April 17 to October 14, 1980, at Busan(35\ulcorner07'. 9N, 129\ulcorner06'. 3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daily varia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theoretical PPC and the measu red PPC to study the accuracy of the position fix.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fourier's analysis for the theoretical PPC and the measured PPC are positive correlation in the coefficients ao, a2, a3 with A-C pair and in the coefficients aO-a3 with A-E pair, and those PPC are apparent to daily periodicity during all measured time. The initial phase is around to 280\ulcorner with A-C pair and 1800 with A-E pair. 2. Daily variatons of the phase difference tend to decrease and the time width to narrow from April toward July, but these variations are opposed to those from July toward October. 3. Mean value of total errors of the position fix by theoretical PPC is 2.67 miles and its standard deviationis O.90miles. 4. Mean value of total errors of the position fix by the measured PPC is 0.63 miles and its standard deviation is 0.217 mil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