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utzia paniculata is an endemic species to the Korean Peninsula. Despite of importance for conservation,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D. paniculata have not been determined yet. We analyz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Field survey was conducted on May to October 2014 during which 11 quadrats of size 15×15 m were studied in six regions. Each of the quadrats were further divided into 5×5 m small quadrats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were recorded. The popula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cluding species abundance (density and coverage), demographic attributes (flowering rates and fruiting plants), vegetation (structure, species composition), light availability (transmitted light and canopy openness) and soil characteristics (temperature and humidity). We found that D. paniculata mainly distributed in Gyeongsangdo (including Taebaek in Gangwondo) along a broad elevational range of 290~959 m (mean: 493 m) above sea level. In preferred habitat the species grows within the slope range of 7° and 35° with the average of 16°. D. paniculata was generally distributed on talus deposits and low adjacent slopes.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 plants per small quadrat was 12.5 with the mean density 0.5 stems m-2. The vegetative reproduction was frequent in D. paniculata and mean flowering rate was as low as 15%. Altogether 138 taxa were found in whole observation area with the dominant tree species mainly spring ephemerals, such as Cornus controversa (importance value: 25.5%) and Fraxinus rhynchophylla (importance value: 15.8%). Although, C. controversa usually grows on steep slopes and F. rhynchophylla mostly distributed at high-altitudes, however, both species distributed in disturbed environments and among talus deposits. Thus based on our results, we concluded that D. paniculata is a disturbance-prone species, primarily existing in habitats subjected to natural disturbances, such as floods. The species occurs less at anthropogenically disturbed sites, thus there is no apparent threat to the populations and habitat of D. paniculata.
Cymbidium kanran Makino is being threatened in its own habitats due illegal collecting and habitat changes by vegetation growth along historical landuse change.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habitat restoration model for conservation of C. kanran based on ecological diagnosis. Through exploration to Jeju Island in 2014 and 2015, we identified 27 unknown habitats of C. kanran and in there, abiotic variables and vegetation structure and composition were quantified. Altitudinal distribution of C. kanran was between 200 m ~700 m a.s.l. and compared to distribution in 2004, Area of Occupation (AOO) decreased at 82%. Specific habitat affinity was not observed by evenly found in mountain slope and valley and summergreen and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but likely more abundant in valley habitats with higher soil and ambient moisture. Total of 96 individual of C. kanran was observed with an average density of 942.6 individuals ha-1. The plants showed relatively short leaf length (average=10.7 cm±1.1 cm) and small number of pseudo bulbs (1.2±0.2). Flowering and fruiting individuals were not observed in field. C. kanran was classified into endangered plant species as CR (Critically Endangered) category by IUCN criteria. Phenotypic plasticity of C. kanran was likely support to sustain in more shaded habitat environment and recent habatat changes to closed canopy and low light availability may exhibit negatively effects to C. kanran’s life history. Restoring C. kanran habitat should create open environment as grassland and low woody species density.
The sustainability of Cypripedium japonicum, a rare plant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is threatened due to artificial factors such as habitat loss and climate change etc.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changes in biological properties of the habitat etc. but conservation research has not been performed in South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pecies conservation strategi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habitats, including: 1)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2) habitat analysis of the vegetation and abiotic environments. From April to September, 2014, population characteristics [density (stems m-2), flowering rate (%), and leaf area (cm2)] in Cypripedium japonicum habitats such as Chuncheon (CC), Hwacheon (HC), Muju (MJ), and Gwangyang (GY)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plant sociological research and ordination analysis), and abiotic environments [temperature (℃), relative humidity (%), transmitted light (mol·m-2·d-1) and canopy openness (%)] were measured. Cypripedium japonicum was mainly distributed at elevation 450 to 990 m and 5 to 30° slope. Slope direction was shown as 0 to 110°. Habitats temperature (mean 18.94℃) was well matched to seasonal changes. Differences among sites showed greater level according to latitude difference. It showed the highest in habitat, GY located in the South. On the other hand, relative humidity (77.38%) didn’t show much difference among sites. The average degree of canopy openness was 18.17%. It showed the highest at HC (22.1%) and the lowest at MJ (16.1%). The average degree of transmitted light was 9.1 mol·m-2·d-1. It showed the highest at CC (10.6 mol·m-2·d-1) and the lowest at GY (6.87 mol·m-2·d-1). Chlorophyll content showed average 26.12 SPAD. It showed the highest at MJ (30.64 SPAD value) and the lowest at HC (23.69 SPAD value). Leaf area was average 253.35 cm2. It showed the highest at CC (281.51 cm2) and the lowest at HC (238.23 cm2).
목적: 일반적으로 콘택즈렌즈 착용으로 인하여 건성안 증상이 더욱 심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나 함수율이 높을수록 이런 증상이 악화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들어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의 사용빈도가 높아지면서, 건성안 증상의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이론적 주장이 있다. 건 성안과 관련하여 눈물막의 질적 그리고 양적인 측정에 대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고 있 다. 하지만 아직 특정한 한가지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하이드로겔재질의 렌즈와 실리콘하이드로겔재질의 렌즈를 착 용하였을 때, 눈물띠의 높이 그리고 눈물막의 파괴시간에 미치는 단기간의 영향을 측정하고자 하며, 이에 측정요소에 대한 상관관계를 측정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는 23명(평균나이 22.84±2.88세)이 참여하였으며, 연구동의 절차를 거치고, 연 구참여에 타당한지에 대한 안구검사(눈질환이나 전신질환이 없으며, 각막교정수술을 받은적이 없는자)를 실시하여 부합되는 참여자를 포함하였다. 먼저 각 참여자들은 나안상태에서 Keratophotograpy 5M(Oculus, Germany)를 이용하여 눈물띠의 높이와 눈물막의 파괴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이후 각각 우안과 좌안에 다른 종류의 렌즈(일회용하이드로겔렌즈, 일회용실리 콘하이드로겔렌즈)를 무작위 순서로 착용하도록 하였으며, 착용 후 5분, 10분, 15분 경과시에 각각 눈물띠 높이와 눈물막 파괴시간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반복측정분산분석 (Repeated Measure ANOVA)을 이용하여, 눈물띠와 눈물막 파괴시간에 대한 시간별 분석과 하 이드로겔렌즈 착용과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 착용에 따른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각각의 렌즈를 착용한후 시간대별로 측정한 눈물띠 높이 변화에 있어서는 두 재질 모두 에서 렌즈를 착용하기전과 비교하여 시간이 경과할수록 눈물띠 높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 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리콘하이로겔렌즈의 경우 착용후 15분이 경과했 을 때 눈물띠 높이가 착용전과 비교하여 0.046mm 감소하였으며(p=0.039), 하이드로겔렌즈의 경우 0.082mm 감소하여 실리콘하이로겔렌즈보다 더 많은 감소량을 나타내었다(p=0.022). 눈 물막 파괴시간 분석은 첫파괴 시간과 Keratophotograpy 5M 화면상에 구분되어 있는 구역들의 눈물막 파괴시간 평균을 비교 분석하였다. 두 재질 모두 첫파괴 시간과 평균 파괴시간 각각에 서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첫 착용후 10분이 경과할 때 까지는 첫파괴 시간과 평균 파괴시간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15분 경과시에는 눈물막 파괴시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이드로겔렌즈 착용후 시간대별로 측정된 평균파괴시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 였다(p=0.046).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와 하이드로겔렌즈의 비교분석에서는 눈물띠 감소량 비 교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가 하이드로겔 렌즈보다 재질의 특성상 각막생리 안정성에 있어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건성안 증상 을 호소하는 경우 함수율이 높은 일반적인 하이드로겔렌즈 보다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를 착용 하는 것이 건성안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해상풍력발전의 건설이 여러 가지 환경 및 가설공법 등의 설치환경 등의 원인에 의하여 건설지점이 천해에서 심해로 이동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향 속에 해상풍력발전 지지구조물의 심해화에 따른 지지구조물에 대한 연구는 중요성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Jacket 구조물에 대하여 Precast Concrete Block 및 Suction pile을 적용한 Jacket 구조물을 제안하고 이에 대하여 구조해석 및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제안된 구조물에 동조액체감쇠기를 적용하여 구조물 진동성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신형식 Jacket 구조물은 충분한 안전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동조액체감쇠기를 적용하였을 경우, 약 5%의 진동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최근 환경보존 및 안전한 먹거리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화학비료 및 농약 사용을 기피하는 대신에 수목으로부터 추출 분리된 항균력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활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수행 되고 있다. 식물정유는 terpene, alcohol, aldehyd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복합화합물로 식물의 이차 대사산물이며 외부환경에 대한 자체 방어기작으로 합성되는 생리활성물질로 항균, 살균 등 방부효과가 뛰어나고, 향이 후각을 통해 기억, 감정 등을 관장하는 대뇌변연계에 자극을 주기 때문에 스트레스나 긴장을 완화시키고 기억력과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따라서 수목으로부터 분리된 수용성정유를 이용하여 버섯에 병해를 일으키는 푸른곰팡이 병의 원인 미생물인 Trichoderma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는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MA배지에 편백 수용성 정유와 시판화학약품을 농도별로 혼합하고 그린몰드 5종(T. aggressivum, T. atroviride, T. harzianum, T. koningii, T. viride)을 각각 접종한 후 생장시 켜 그린몰드 억제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편백나무 수용성정유의 항균활성은 T. aggressivum, T. atroviride 및 T. harzianum을 제외 하고 625 ppm - 5000 ppm의 농도에서 나타났으며, 5000 ppm의 농도에서 T. aggressivum 51.3%, T. atroviride 68.8%, T. harzianum 53.8%, T. koningii 51.7% 및 T. viride 53.0%의 항균활성이 확인되었다. 시판 화학약품은 T. aggressivum에 대하여 모든 농도에서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1000 ppm의 농도에서 T. atroviride, T. harzianum, T. koningii, T. virided에 대하여 60% 이상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편백나무 수용성정유의 휘발성 화합물 분석 결과, 15가지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주요 성분 으로는 Terpinen-4-ol 및 α-Terpineol이 각각 73.3% 및 7.23%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있었으 며, 전체적으로 momoterpen류 약 93.3%, sesquiterpene류가은 약 6.7%를 차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조사는 내장산 국립공원내 굴거리나무 군락지를 대상으로 시설양묘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명하고자 광환경이 다른 조건에서 자라고 있는 치수의 생장특성을 조사하였다. 굴거리나무 군락지의 생육 환경은 전형적인 하계 다우형 기후를 보였고, 토양은 미사질양토로, 유기물 함량 11.42~15.61%, 전질소 함량 0.50~0.76%, 양이온 치환용량(C.E.C) 18.92~23.32cmol/kg, pH 4.85~5.58 범위를 나타내었다. 조사구별 전광대비 광 환경의 차이는 상대 투광율이 조사구 A가 71~76%, 조사구 B는 37~42%, 조사구 C는 65~70%, 조사구 D는 28~33%로 나타났다. 굴거리나무의 치수는 모수의 수관 밑과 경사진 곳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고, 광환경 조건이 상대적으로 높은 조사구 A와 C가 1,550본/ha, 1,250본/ha이었으며, 총 물질 생산량도 조사구 A가 5.37g, 조사구 C가 5.29g로 광환경 조건이 낮은 조사구 B와 D의 4.42~4.51보다 높게 나타났다. T/R율은 1~2, 엽면적비는 139.71~183.50cm2·g-1, 엽면적비는 39.68~60.66cm2·g-1, 엽건중비는 0.28~0.33cm2·g-1 범위 내에서 광량이 적어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굴거리나무 치수의 발생과 생장은 토양내 유기물 함량보다 광량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시설양묘 적용시 전광대비 65~70% 이상의 광환경의 관리가 굴거리나무의 초기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인체내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 ROS)의 축적은 산화적 스트레스가 발생하게 됨으로서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Reiter, 1995; Halliwell et al., 1992; 조 등, 2008). 활성산소종이 정상적으로 소거되지 않았을 때는 자유라디칼에 의해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식품의 산패와 독성물질의 생성 등으로 인체에 유해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alliwell,1996; Ayranci et al., 2008). 이에 따라 활성산소종의 제거 및 생체 내 항산화 방어 시스템의 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활성 산소를 억제시킬 수 있는 안전한 대체 물질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데(이등, 2010; Ody, 1995; Choe & Yang, 1982), 합성약물이 아닌 천연물에서 그 효능을 찾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식품에는 자연적으로 발생되어있는 여러 가지 항산화 능력을 가진 화합물이 함유되어있으며, 특히 페놀성 화합물은 식품 속에 널리 분포하는 2차 대사산물로 Phenolic acids (C6-C1), Coumarins (C6-C3), Flavonoids (C6-C3-C6), Tannins로 크게 4가지 그룹으로 나누어진다(Lee & Lee, 1994). Tannins 중에서 Gallic acid 및 Methyl gallate, Ethyl gallate, Acertannin, Polygagallin, Ginnalin B,C, gallicin 등의 화합물은 강력한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 및 항암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2005). 최근 in situ 수준에서 생산된 폴리페놀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버섯류에서 생산 가능한 폴리페놀 화합물의 구조 결정 및 기능성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PDB배지에 Gallic acid (GA) 및 Methyl gallate (MG)를 0.1~0.5%의 농도로 첨가하여 배지를 조제하고, PDA에서 배양된 표고균주(저온성, 산조 502호)를 접종하여 일정기간 배양 후 균사체와 배양여액을 분리하였다. 이로부터 제조된 균사체와 배양여액은 냉동건조 한 다음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Estimating optimum hardware capacity of an e-learning system is very important process to grasp reasonable size of designing technique architecture and budget during step of ISP(information strategic planning) and development. It hugely influences cost an
본 연구는 국내산 침엽수로부터 천연 항균화합물 개발을 목표로 미송 및 편백으로부터 추출물을 확보 하여 푸른곰팡이병의 원인균인 Trichoderma spp. 5종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테스트하고 GC/MS를 이 용하여 항균화합물을 탐색하였다. 미송 추출물은 Trichoderma spp.에 대해 1,000 ppm에서 저해 활성을 나타냈으며, 4,000 pp에서는 T. viride>T. harzianum>T. aggressivum 순으로 70.1, 67.3, 64.7% 의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편백 추출물도 1,000 ppm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4,000 ppm에서 T. viride>T. harzianum>T. aggressivum 순으로 63.2, 59.3, 59.1%의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1,000 ppm의 미송추출물과 1,000 ppm의 편백추출물을 각각 9:1, 8:2, 6:4, 2:8 (w/w) 비율의 혼합제 제로 만들어 Trichoderma spp.에 처리하였을 때 미송추출물 1,000 ppm 및 편백추출물 1,000 ppm 각 각의 단일추출물보다 낮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richoderma spp. 5종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 내는 미송추출물에서는 2-Isopropoxy-ethylamine 46.5%, epifluorohydrin 8.6%, trans-2,3-Dimethyloxirane 7.6%, (IR)-(-)-Myrtenal 6.0%, 2-Methoxy-4-Vinylphenol 3.9%, benzaldehyde 2.8%가 함유되어 있었고, 편백추출물에서는 α-Terpinenyl acetate 14.9%, Sabinene 10.9%, dl-Limonene 9.6%, α-Terpinolene 7.5%, α-Pinene 7.1%가 함유된 것이 확인되었다.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은 담자균과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잣버섯속에 속하는 식용버섯으로 국내에서는 주로 원목 또는 톱밥배지에 의한 인공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당질, 단백질, 비타민, 아미노산 및 무기질 등과 같이 인체에 중요한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고 항암활성, 면역증강, 항바이러스, 항콜레스테롤, 동맥경화증 및 성인병에 대한 예방과 개선효과등 광범위한 약리작용도 나타냄으로 인해 예로부터 전통식품 및 민간약의 제제로서 널리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표고균사의 생장에 있어서 폴리페놀을 균사체내에 흡수(소화)시킴으로 서 새로운 화합물의 생산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0.1 % - 0.5 % gallic acid 또는 methyl gallate 를 첨가한 PDA고체배지 및 PDB 액체배지에서 균사체를 배양하여 표고균사 생장에 따른 polyphenol 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PDA 고체배지에서는 gallic acid 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표고균사생장이 저해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0.4 % 이상의 gallic acid 가 함유된 조건에서 표고균사생장저해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12일째 균사생장 결과를 확인 한 결과 gallic acid 를 0.1 %, 0.2 %, 0.3 %, 0.4 % 및 0.5 % 함유한 배지에서 생장한 표고균사에 있어서 각각 0.6 %, 2.0 %, 15.1 %, 26.3 % 및 45.0 %의 생장저해가 나타났다. 표고균사생장과정 중 폴리페놀과의 반응으로 인해 PDA 고체배지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색의 변화가 나타났고, 이는 새로운 화합물의 생산에 대한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Gallic acid 및 methyl gallate가 첨가된 PDB 액체배지에서의 표고균사생장은 대조구에 비해 생장저해 및 배지의 색변화를 육안적으로 확인하였으며, 12일째 배양액에서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최초에 첨가된 gallic acid 및 methyl gallate 함량보다 낮아진 수치를 나타내었고 TLC 측정결과 대조구에 비해 새로운 1종의 물질이 단리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PDA 고체배지 및 PDB 액체배지에서 나타난 배지색상 변화와 PDB 액체배지의 polyphenol 함량 저하 그리고 TLC에서 새로운 물질이 단리 되었음을 확인한 결과 표고균사가 생장 하면서 폴리페놀을 흡수, 분해 또는 새로운 화합물을 생산하였다는 가능성을 추측하게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ve effect of participative and assigned goal-setting on team performance quantity and trend. Participants were 30 college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15 pairs considering individual typing speed. Members in each pair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wo experimental conditions. Participants were asked to type materials for 19 day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number of words typ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quantity between the two conditions. However, the average percentage of goal accomplishment under participative goal-setting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under assigned goal-setting condition.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rend between two conditio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푸른 곰팡이병은 그린몰드(green mold)가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버섯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생하 며 균사 생장 시 균상에 발생하여 버섯균의 균사생장을 방해 하거나 기생하여 사멸시키며, 버섯 수확기에 병 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버섯 병해의 주범인 그린몰드(green mold)의 생장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 기계 화합물이 첨가된 수목추출물과 시판 항균제품에 위한 그린몰드 생장 억제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T. aggressivum에 대한 유기계혼합제제는 1000 ppm에서 125 ppm과 비교하였을 때 5배 높은 53%의 항균력이 나타났고 시판 항균 제품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 atroviride에 대하여 유기계혼 합제제는 250 ppm 농도에서 30%이상의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났고, 1000 ppm에서 66%의 항균활성을 나타냈 으며 시판 항균제품은 63 ppm에서 80%, 125 ppm에서 83%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 harzianum에 대하여 유기계혼합제제는 1000 ppm 농도에서 56%이상의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났고 63 ppm 과 125 ppm 농도에서 19%로 최소저해농도는 63 ppm이라고 판단되었으며 시판 항균제품의 항균활성은 250 ppm부터 1000 ppm 까지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지만 125 ppm에서는 항균활성이 81%으로 나타났다. T. koningii에 대하여 유기계혼합제제는 500 ppm 농도에서 Trichoderma 5종 균주 중 가장 높은 43%의 항균활 성을 나타냈으며 1000 ppm에서 68%의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시판 항균제품의 항균활성은 T. harzianum과 마 찬가지로 250 ppm부터 1000 ppm 까지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지만 63 ppm에서 항균활성이 90% 로 나타 났다. T. viride에 대하여 유기계혼합제제는 63 ppm 농도에서 13.0%, 1000 ppm농도에서 82%의 항균활성이 나타났 고 250 ppm에서부터 항균활성이 30%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시판 항균제품의 항균활성은 모든 농도에서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richoderma 5종 균주에 대하여 시판 항균 제품은 모든 농도에서 10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유기계혼합제 제의 항균활성은 1000 ppm에서 53% - 82%로 가장 효과가 좋다고 판단되며 항균제제로서 산업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ve effect of participative and assigned goal setting on team performance. Participants were 30 college students and their typing speed was tested. They were ordered on the basis of the typing speed and were divided into 15 pairs, with the members of each pair having similar typing speed. Members in each pair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wo experimental conditions. Participants were asked to type materials provided by the experimenter for 20 day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number of words typ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two condition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rend between two condi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버섯의 병해 중에서 가장 방제가 어렵고 버섯의 발생 및 수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푸른 곰팡이병은 그린몰드 (green mold)가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표고, 느 타리, 양송이, 팽이 등 버섯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생된다. 현재 버섯 재배농가에서는 버섯균사생장 기간 동안에 푸 른 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버섯배지 살균 전에 균상표면에 벤레이트, 판마쉬, 스포르곤수화제를 1000 ppm 농도로 살포하는 것이 최대의 방제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버섯 병해의 주범인 그린몰드(green mold)의 생장을 제어하 기 위하여 1000 ppm 농도로 조제된수목추출물과 시판 유기 계 화합물에 의한 그린몰드 생장 억제력을 비교 평가 하였다. Trichoderma 5종 균주에 대한 유기계혼합제제의 항균활 성은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높 게 나타났고, 열수추출물보다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첨가량 이 높을수록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T. aggressivum 에서는 수목추출물의 항균활성이 34.7% 로 나타났지만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 에 따라 항균활성은 46% - 53% 수준으로 높아졌다. T. atroviride 에서는 수목추출물의 항균활성이 35.7%로 나타 났으며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항 균활성은 55% - 66%로 나타났다. T. harzianum 에서 수목추출물의 항균활성이 34.9%로 나타났고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43% - 56%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 koningii 는 열수추출물에서 31%의 항균활성을 나타냈 으며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항균 활성은 63% - 68%로 나타냈다. T. viride는 시판유기계 화합물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 라 30% - 82%의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Trichoderma 5종 균주 중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침엽수재 목분으로부터 유래된 열수추출물로부터 그린 몰드(Trichoderma 류)의 생장을 억제하는 화합물을 탐색하 기 위하여 낙엽송 및 미송톱밥의 열수추출물을 획득하고 이 들을 다시 n-hexane 용해부, methylene chloride 용해부, ethyl acetate 용해부, water 용해부로 분리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용해부의 그린몰드 항균활성을 검토하고 자 Malt agar 배지에 용해부를 혼합하고, 그린몰드 5종(T. aggressivum, T. atroviride, T. harzianum, T. koningii, T. viride )을 각각 접종하여 생장시켜 그린몰드 억제 성능을 평 가하였다. 낙엽송 열수추출물의 각 용해부를 Trichoderma 5종 균주 에 대하여 적용 하였을 때 균사의 생장은 각각 다르게 나타 났다. 특히 water 용해부는 T. atroviride 및 T. viride 에 대 하여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n-Hexane 용해부는 Trichoderma 5종 균주 모두에 대하 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이때 항균활성은 70% - 80%였다. T. viride를 제외하고는 ethyl acetate 용해부가 n-hexane 용해부 다음으로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미송 열수추출물로부터의 각 용해부를 Trichoderma 5 종 균주에 대하여 적용 하였을 때 균사의 생장은 각각 다르 게 나타났다. 특히 water 용해부는 T. atroviride 및 T. viride 에 대하여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못 하였다. n-Hexane 용해부는 Trichoderma 5종 균주 모두 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이때 항균활 성은 T. aggressivum 에서 69%, T. atroviride 에서 71%, T. harzianum 에서 62%, T. koningii 에서 76%, T. viride에서 82%의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Ethyl acetate 용해부가 n-hexane 용해부 다음으로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산 침엽수 톱밥추출물을 이용하여 버섯의 푸른곰팡이병 방제약제 원료를 개발하고자 시도 되었으며, 푸른곰팡이병의 원인균의 하나인 Trichoderma 속 곰팡이를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시험하였다. 1,000 ppm 농도의 낙엽송 열수추출물은 Trichoderma 속 균주에 대하여 최고 20.6%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1,000 ppm 농도의 미송 열수추출물은 T. aggressivum에 대하여 60.3%, T. harzianum 52.2%, T. atroviride 46.8%, T. viride 46.1%의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 koningii에서는 36.2%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미송 열수추출물이 낙엽송 열수추출물보다 Trichoderma 속 균주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인 항균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낙엽송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된 n-hexane 분획물은 Trichoderma 속에 대하여 68.5% ~ 79.9%의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미송의 n-hexane 분획물은 T. aggressivum에 대하여 68.5%, T. atroviride에 대하여 71.4%, T. harzianum에 대하여 71.9%, T. koningii에 대하여 75.7%, T. viride에 대하여 82.3%의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ethyl acetate 분획물이 n-hexane 분획물 다음으로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내었다. Trichoderma 속 균주에 대한 낙엽송 및 미송 열수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미송 추출물이 낙엽송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낙엽송과 미송의 열수추출물로부터 분리된 n-hexane 분획물에 의한 항균활성 차이는 거의 없었다. 미송 열수추출물과 낙엽송 및 미송의 열수추출물로부터 획득된 n-hexane 분획물은 Trichoderma 속에 대한 항균원료로서 사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푸른 곰팡이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매우 다양하며, 현 재까지 밝혀진 병원균은 Trichoderma spp., Gliocladium spp., Penicillium spp. 그리고 Aspergillus spp.로 이 중에서 Trichoderma spp.는 자낭균류에 속하는 Hypocrea spp.의 무성세대로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버섯의 병해 중에서 가장 방제가 어렵고 버섯의 발생 및 수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병의 하나인 푸른 곰팡이병은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하며 발생초 기에는 버섯균과 비슷한 백색을 띄다가 포자가 형성되면 서 황록색 내지 진녹색으로 변하고, 골목의 표면에 부정형 의 병반을 형성하면서 버섯균의 생장을 억제하여 결국에 는 버섯균을 죽게 한다. 현재 버섯 재배농가에서는 버섯균 사생장 기간동안에 푸른 곰팡이병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 하여 버섯배지 살균 전에 균상표면에 벤레이트, 판마쉬, 스포르곤수화제를 살포하는 것이 최대의 방제법이다. 따 라서 본 연구는 버섯 병해의 주범인 그린몰드(green mold)의 생장을 제어하기 위하여 수목추출물 및 nhexane 용해부의 효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수목추출물의 그린몰드에 대한 항균활성은 T. aggressivum 34.7%, T. atroviride 35.7%, T. harzianum 34.9%, T. koningii 31.0%, T. viride 30.7%로, 평균 33.4%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T. atroviride에서 수목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n-Hexane 용해부의 그린몰드에 대한 항균활성은 T. aggressivum 52.3%, T. atroviride 65.6%, T. harzianum 47.1%, T. koningii 48.5%, T. viride 51.1%로, 평균 52.9%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T. atroviride에서 nhexane 용해부가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수목추출물과 n-hexane 용해부의 그린몰드에 대한 항 균활성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서 5% 수준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수목추출물과 n-hexane 용해부의 항균활성을 비교하 였을 때 수목추출물보다 수목 n-hexane 용해부에서 더 높은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표고, 느타리, 양송이, 팽이등 버섯의 종류에 관계없이 발생되고 있는 푸른곰팡이병은 그린몰드(green mold)가 그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피해는 심각하다. 푸른 곰팡이병을 일으키는 곰팡이로는 Trichoderma, Gliocladium, Aspergillus, Penicillum 등이 현재 알려져 있다. 푸른곰팡 이 병원균은 균사생장 시 균상에 발생하여 버섯균의 균사 생장을 방해하거나 기생하여 버섯균사를 사멸시키며, 버 섯수확기에 병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버 섯의 수확을 저하시키는 Trichoderma를 억제하기 위하 여 수목추출물 2종을 혼합한 다음 그 효능을 평가하였다. Trichoderma에 대하여 항균력을 나타내는 유효 화합 물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GC/MS를 이용하여 편백 휘발성 추출물을 분석한 결과, 50개의 테르펜계 화합물이 존재한 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부분의 물질이 동정되었다. 편백 휘발성 추출물의 주요 화학적 조성은 모노테르펜류인 sabinene 11.62%, limonene 4.31%, isobornyl acetate 6.23%, α-terpinyl acetate 11.75%였으며, 세스퀴테르 펜류로 elemol 11.08%, β-eudesmol 4.02%, epibicyclosesquiphellandrene 4.18%가 나타났다. 소나무와 편백 추출물의 혼합비율 10 : 1(g/g) 제제는 T. aggressivum에서 20.4%, T. atroviride에서 14.0%, T. harzianum에서 32.0%, T. koningii에서 26.8%, T. viride에서 19.0%의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Trichoderma 균주는 편백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균활성 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Trichoderma 균주는 편백 추출물보다는 소나무 열수추출물에 대하여 영향을 받았다.
산업적으로 이용 되지 못하고 폐기되거나 임지에 버려지 는 수목으로부터 추출물을 분리하고 이들 추출물을 버섯 산업에 이용하게 된다면 그 경제적인 중요성 및 가치는 무한 하다고 판단된다. 천연물을 이용한 그린몰드 방제제의 제 조 및 사용은 해외로부터 무분별하게 유입되는 방제제 및 화학약품의 수입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섯소비 자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 균상에 침입하는 그린몰드의 생육 을 억제하는 유효화합물을 침엽수재 톱밥으로부터 획득하 기 위하여 최적의 추출방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수목 추출 물로부터 그린몰드 생장 억제 화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추출 조건에 따른 그린몰드 생장 억제에 유효한 수목 원료 의 추출 조건을 규명하였다. 미송 및 낙엽송 톱밥으로부터 분리한 추출물은 그린몰드 생장을 약 40% 수준에서 억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