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9

        45.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전자감시 장치를 부착한 범죄자의 거주 특성이 재범 가능 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 사회에서 현재 1인 가구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인바, 범죄자가 누구와 어떤 주거지에 생활하느 냐를 살펴보는 것은 지역사회 교정 차원에서 범죄자의 사회복귀 방향을 판가름 짓는 중요한 일이라고 하겠다. 피해자학 입장이 아닌, 가해자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는 위치 추적 전자장치를 부착하고 있는 고위험 범죄자 6,544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1인 가구 비율을 검토하고, 1인 가구와 집단 가구를 혼인관계 및 재범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2008년 10월 이후부터 2017년 10월까지 우리나라에서 전자장치 부착을 경험한 전체 범죄자이다. 빈도분석 결과, 전체 6,544명 중의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자 중 37.8%가 혼자 살림살이를 하고 있는 1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한 것은 전체 범죄자 중 21.2% 가 매우 불안정한 주거 상황에서 노숙을 하거나 숙박업소에서 불규칙한 생활을 하는 주거부정자라는 점이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미혼집단 모델에서는 재범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연령(-), 경제상태(-), 법 준수 순응도(-), 성범죄, 신상정보 공개고지, 1인 가구(집단 가구) 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혼집단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경제상태(-)와 법 준수 순응도(-), 신상정보 공개고지 세 변인 만 재범발생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혼집단 모델과 달리 “1 인 가구” 상황이 기혼집단에서는 재범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교정 실무자 및 범죄학자들은 전자장치 부착 범죄자들의 혼인 관계와 1인 가구 주 거 상황을 초기 개입 단계에서 면밀히 조사하여 맞춤형 지도, 감독 전략을 수립하고, 지역사회 내 재범 방지 및 범죄자 사회복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범죄자의 혼인 상태 및 1인 가구 여부를 재범억제 활동에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6,300원
        46.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년층 1인가구를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1차 자료(2016년)를 이용하여 50-64세 1인가구 26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취업 여부,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가 우울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장년층 1인가구가 여성일 경우, 비취업자일 경우 우울 가능성이 높은 반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년층 1인가구의 우울 예방과 감소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5,400원
        48.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door fungal concentration and fungal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in single-person households. A total of 22 houses occupied by one person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19 VOCs detected in the field were estimated as fungi-derived VOCs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11 VOCs were confirmed as fungal VOCs by laboratory experiments. Exposure to fungal VOCs in the indoor environment has been confirmed to be highly influenced by airborne fungal concentration and indoor humidity. 3-octanone was characterized by a clear generation profile in Aspergilus versiocolor, and n-decane in Pencillum chrysogenum. ntetradecane emitted by Stachybotrys chartarum exhibited a tendency to occur consistently. The observations made i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can easily be exposed to fungi, and MVOCs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fungal exposure in indoor environments.
        4,000원
        49.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는 –2.00D 이하의 난시를 가진 사람에게 콘택트렌즈 처방 시 구면등가대등법에 의한 구면 콘택트렌즈가 토릭 콘택트렌즈와 비교하여 시력, 자각적 만족도의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신질환 및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고 실험의 취지를 이해하고 동의한 교정시력 1.0 이상의 남녀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면과 토릭콘택트렌즈는 동일한 재질과 베이스커브의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였으며, 콘택트렌즈 피팅을 위해 문진, 전안부검사, 각막곡률검사, 굴절검사, 피팅 평가 등을 실시한 후 교정시력과 착용 후 자각적 만족도(건조감, 이물감, 흐림, 눈부심, 두통, 가려움증, 충혈 등)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난시도수에 따라 그룹A(-1.00D 미만), 그룹B(-1.00D ~ -2.00D)으로 나누어 등가구 면콘택트렌즈 처방결과 착용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시력교정에 대한 만족도 낮았으나,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경우 착용 시간에 상관없이 만족도가 매우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등가 구면 콘택트렌즈의 처방 교정시력은 그룹 A(난시도수 -1.00D미만)의 경우 교정시력의 만족 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그룹 B(난시도수 -1.00D~-2.00D)의 처방 교정시력에서는 등가구 면 처방된 콘택트렌즈에 비해 시력 향상과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결론: 두 그룹 모두 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와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에서 시력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자각적 만족도를 함께 비교한 결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처방할 경우 시력 향상과 안정피로 개선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난시 콘택트렌즈처방에서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처방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50.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53.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spatial recognition structure is emerging through the case of rectangular plan combined with a combination of Dang-Sil(堂室) and Gong(工) shape roof, and identifies a type of architec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at has never been reveal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ang and the Si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pillars, frame, and windows are distinguished and appear as separate buildings. Second, the distinction between Dang and Sil is evident by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idges and the shape of the roof. In addition, the roof and roof framework of the independent rooms and the rooms were common in the right angled architecture where the direction and the expandability of each structure were maintained. Third, the construction of the Dang-Sil combined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structure frameworks were combined with the rectangular combined flat roof structure, gradually changed into a single structure with a single ridge. Fourth, this change means that peopl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recognized the Dang and Sil as separate architecture, but the strict sense of spatial separation has disappeared over time.
        4,300원
        54.
        2017.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began the studies to develop a general-purpose expression furniture flap damper module set to prevent that noise and caught in through as a result,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using the same study procedure. First, to develop a damper bracket and hardware. Second, we want to create the design drawings for the furniture flap type damper module three. Third, we want to create a mock-up sample and mold in progress. Fourth, the tester will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produce a universal formula Furniture flap dampers module. Fifth, to conduct a test for the successful production of furniture damper module set. Study the sixth oil impregnation technology and to develop a general-purpose expression furniture damper flap. Finally, the set of all of the modules are to the development of molds followed successfully.
        4,000원
        55.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fitability of farmers has decreased mainly owing to low price while the gross amount of mushroom production has increased continuously in South Korea. In this regard, analyzing patterns of mushroom consumption is believed to be meaningful. We used a panel data set consisting of 667 families, from 2010 to 2015. Based on the panel data, mushroom consumption patterns of people living in city areas were examined. Multiple descriptive analysis methods and frequency analysis approaches were adopted in this study in terms of time and space dimensions, demographic properties, and purchase behavi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show that mushroom purchase is highly dependent on seasonal events, which implies that the product consumption timing is predictable. In addition, yearly purchase amount patterns reflect that superstores have become the major mushroomtrading venues. This directly supports the need to establish supply chain capabilities for mushroom farmers so that they gain more bargaining power against enterprise-type groceries. Finally, functional features of mushroom can be linked with marketing promotion because purchase patterns demonstrate potential needs for healthcare food in mushroom categories. Based on the analyzed patterns, this paper provides insightful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who want to promote mushroom consumption.
        4,000원
        56.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년층(50~64세) 1인가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수준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인가구와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 4차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있어서 장년층 1인가구는 성별, 연령, 혼인상태, 자녀유무, 신체적 건강상태 심리적 건강상태, 우울감, 외로움, 교육수준, 가구 소득, 공적연금보유여부에서 다인가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장년층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를 생활전반 만족도와 10개 하위영역별 만족도(주거, 경제적 상태, 일, 건강, 여가활동, 가족관계, 자녀관계, 형제․자매관계, 친구관계, 이웃관계)로 살펴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1인가구는 다인가구보다 만족도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4,500원
        5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ramework schema of early Jusimpo-style Buddhist halls (Geungnakjeon Hall of Bongjeongsa Temple,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and Daeungjeon Hall of Sudeoksa Temple ). Though the halls are known as built in the late Goryeo Period, they show the influence of the architectural style of the early Unified Silla Period. To find the adopted modules and proportions of these halls, this study conceived a schematic diagram based on the whole frame structure taking reference from the Cai-Fen system in Yingzao Fashi . In these three halls, the heights of each cross-beam (Dori ) are made up by the layers of member and member units. This study computes the values of Cai, Zhi, and Fen which can apply to both the section and the plan. The vertical section structure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standard member heights (Cai ) and the standard unit heights (CaiZhi ). The bays of columns are made by multiples of the standard member width (Fen).
        4,000원
        5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핀홀의 크기를 변경하면서 피검자의 소수시력을 측정하였으며, 핀홀의 크기가 시력, 등가구면 굴 절이상, 난시도에 주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 법: 성인 118명, 평균나이 22.7±5.9세를 대상으로 핀홀의 크기를 0.5 ~ 3.0 mm로 하고, 굴절이상에 따른 소수시력을 측정하였다. 동공크기에 따른 시력을 계산하여, 측정된 소수시력과 비교하였다. 결 과: 핀홀의 크기가 감소하면, 소수시력이 고도근시(-6.96±0.83 D)와 중등도근시(-4.30±0.83 D)에 서는 크게 증가했으며, 약도근시(-1.63±0.64 D)는 핀홀크기 1.0 mm에서 정점을 나타냈다. 정시 (-0.11±0.37 D)와 원시(1.88±1.63 D)는 약간 감소하였다. 동공의 크기가 감소하면 종구면수차와 종색수차 가 서서히 감소하고, 피사체심도가 소수시력에 주는 영향은 일정하였으나, 회절이 급격히 증가하여 정시에 대해 계산한 시력은 동공크기 1.5 mm 이하에서 감소했다. 근시는 회절과 수차보다 등가구면 굴절이상의 영 향이 커서, 동공크기 1.0 mm까지 계산한 시력이 직선적으로 증가했다. 근시성 고도난시(C= -2.73±0.63 D), 근시성 약도난시(C= -1.93±0.39 D), 원시성 난시(C= 1.29±0.72 D)에서는 시력의 변화가 등가구면 굴절이상의 크기가 유사한 근시 또는 원시와 같았다. 결 론: 핀홀의 크기가 감소할 때, 정시와 원시는 수차가 감소하지만, 회절이 증가하여 소수시력이 약간 감소하였다. 피사체심도가 소수시력에 미치는 영향은 핀홀크기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근시는 등가구면 굴 절이상의 영향이 커서 소수시력이 크게 증가하였다. 난시의 소수시력은 난시도보다 등가구면 굴절이상의 영 향을 주로 받기 때문에, 핀홀이 난시도를 개선했다고 할 수 없다.
        4,000원
        60.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thesis mainly deals with how ‘count of Ryang’ was used in the Daehan Empire. Count of Ryang means how many purlins were used in the building with longitudinal section. As a result, the notion of Ryang in the Daehan Empire does not differ from now one. But the usages of that are different from the Joseon Dynasty, and from the present. In the Daehan Empire, count of Ryang mainly was appeared with another word, count of Kan. In the Joseon Dynasty, they used the count of Ryang combined with Kan. Count of Kan had the meaning of purlin-directional length. By doing that, count of Ryang indicates the size of flank, count of Kan indicates the length of front. But in the Daehan Empire, count of Kan, especially the beam-directional length was considered at first, and then count of Ryang. Separately they used another count of Kan meaning the area of building. By using the combined words, count of Kan and Ryang in the beam direction, they got focused on the frame of wooden structure than before.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