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2

        61.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러시아 연해주와 북한으로부터 도입하여 지리산국립공원에 방사한 1~2년생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ussuricus)의 동면장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4년 10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사한 곰들은 나무굴, 바위굴, 곰탱이 등 3가지 유형의 동면장소에서 동면을 취하였다. 방사한 곰들의 동면장소는 참나무류가 우점하고 있는 지역으로 해발고도 평균 923±221m, 사면경사 평균 25.9±7.9˚이었으며, 동면기간은 평균 98±9일 이었다. 동면장소는 방사지점으로부터 평균 2.8±2.8km, 인근마을로부터 평균 2.0±0.9km, 인접 탐방로로부터 평균 1.9±1.7km, 자동차도로로부터 평균 1.9±1.0km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면장소의 환경특성은 방사지점의 환경요인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4,000원
        6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oils on the levels of the γ-linolenic acid in chicken meat lipids. Three hundred ten five, 1-d old, male, Ross strain, broiler chicks were fed for 35 d to compare diets containing evening primrose oil(EPO) and hemp seed oil(HO) to a control diet.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 from chicken skin, thigh and breast muscle were determined at the end of the trial. The level of γ-linolenic acid of lipids from chicken meat fed diets containing EPO or H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The level of γ-linolenic acid of lipids from chicken skin was highest in the group, which had been fed the EPO 0.85%, followed in order by EPO 0.7%, 0.5%, EPO mixed oil, HO and HO mixed oi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γ-linolenic acid of chicken skin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p〈0.05). The level of γ-linolenic acid of lipids from chicken thigh muscle was also similar to skin,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The level of γ-linolenic acid of lipids from chicken breast muscle was highest in the group, which had been fed the EPO 0.5%, followed in order by EPO 0.7%, 0.85%, HO 0.5% and HO mixed oi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γ-linolenic acid of chicken breast muscle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p〈0.05).
        4,000원
        65.
        202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ng Tenebrio molitor L Powder to broiler feed on fatty acid profiles in broiler breast meat. In total, 180 broiler chicks (1-day old Arbor Acres) were included. The birds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with 3 replicate subgroups each(30 birds per subgroup), and fed a diet for 35 days without (control) or with 1% Tenebrio molitor L powder (treatment). Among individual fatty acids, addition of Tenebrio molitor L. powder resulted in slightly higher C18:1n-9, C20:3n-3 and C20:3n-6 contents, and lower C18:2n-6 content compared withcontrols (p<0.05). No remarkable differences in total SFA and total USFA content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inclusion of Tenebrio molitor L. in broiler diets did not improve overall fatty acid profiles.
        66.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kin duck breast meat obtained from ducks fed diets consisting different types of sipjeondaebo-tang by-products and red ginseng marc with fermented red koji during storage. A total of 180 Pekin ducks (0-day ol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ach consisting of three replicates (15 ducks per pen). This study investigated diets with four types of treatments: control (basal diet),1% blend powder, pelleted 1% blend, and coated pellets of 1% blend; the blend was a mixture of sipjeondaebo-tang by-products powder and red ginseng marc with fermented red koj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duck breast meat pH on storage days 3 and 7, TBARS on storage days 0 through 7, and DPPH radical scavenging on storage days 0 and 7. However, the pH values on storage day 0 and DPPH radical scavenging on storage day 3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the meats from control and treated diet fed ducks. Especially, on storage day 7, the breast meat from ducks treated with different types of sipjeondaebo-tang by-products and red ginseng marc with fermented red koji showed lower TBARS values and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In conclusion, addition of different types of sipjeondaebo-tang by-product and red ginseng marc with fermented red koji to 1% blend might be helpful in increasing antioxidant effects and reducing product wastage.
        67.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저지방 및 고단백 부위인 닭 가슴살을 백설탕, 황설탕, 조청, 프락토올리고당, 파인애플 농축액, 복분자엑기스, 꿀 등 총 7종의 감미제를 사용한 침지용액에 각각 침지 처리 후 50℃에서 9시간 건조하여 닭 가슴살 육포를 제조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품질 특성이 우수한 닭 가슴살 육포를 선정하여 50℃에서 저장하며 대조군(돈 육포 및 우 육포)과 지방산패 속도를 비교하였다. 제조된 닭 가슴살 육포는 수분 22.5-25.0%, 조단백 41.0-46.6%, 조지방 0.4-1.0%로 저지방 고단백 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닭 가슴살 육포 제조에 사용된 감미료의 종류는 육포의 pH 5.2-5.9, 총균수(2.5-6.2×104 CFU/g) 및 수분활성도(0.744-0.812) 수준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수분활성도와 pH는 복분자 엑기스를 사용한 닭 가슴살 육포에서 가장 낮았으며 백설탕을 사용한 시료군에서 가장 높았다. 닭 가슴살 육포의 응집성, 탄력성, 씹힘성은 사용한 감미제의 종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p<0.05) 경도와 검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관능평가 결과에서는 복분자 엑기스 시료군이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복분자 엑기스를 사용한 닭 가슴살 육포와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돈 육포와 우 육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50℃에서 저장 시 돈 육포의 TBARS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여 저장 2주 후 98.03 MDA mg/kg, 우 육포의 경우 75.60 MDA mg/kg를 나타낸 반면, 복분자 엑기스 닭 가슴살 육포의 경우는 이보다 훨씬 낮은 58.30 MDA mg/kg 값을 나타내어 지방산패가 우 육포와 돈 육포에 비해 상당히 느리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로 닭 가슴살은 돈육과 우육에 비하여 산화안정성이 우수한 저지방-고단백 육포 제조에 바람직한 원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닭 가슴살 육포 제조 시 복분자 엑기스 침지용액을 사용함으로 낮은 수분활성도와 우수한 관능성을 가진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68.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inety ducks (one-day-old Pekins, 45 males and 45 female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pplementing diets with Houttuynia cordata powder on the fatty acid profiles of duck breast meat. The ducks were allotted to one of the three treatment diets using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each treatment-group containing three replicate pens with ten birds each (five of each gender). The experimental diets were: 1) Control (basal diet), 2) T1 (Control+ 1% Houttuynia cordata) and 3) T2 (Control+2% Houttuynia cordata). In spite of significant difference, the addition of Houttuynia cordata resulted in higher unsaturated fatty acid and lower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than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remarkable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1% and 2 % Houttuynia cordata groups for fatty acid profiles.
        69.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ixed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and fatty acid profiles of Korean native chicken and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producers. Ninety six Korean native chicken (48 males and 48 females, Hanhyup-3-ho) were allocated to 16 wire cages with 4 treatments, 4 replicates and 6 chicks (3 males and 3 females) per wire cage and fed one of four diets containing 0, 0.5, 1 and 1.5% mixed probiotics for 6 week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growth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hicken. For fatty acid profiles,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each fatty acid, total saturated fatty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observed in all treatments. In the present study, irrespective of statistically differences, inclusion of mixed probiotics tended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reduce saturated fatty acid and increase unsaturated fatty acids in breast muscles from Korean native chicken compared to controls.
        70.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과적으로 가슴의 볼륨 측정은 석고법, 가슴 X선 사진을 이용한 가슴의 볼륨을 산출하는 방법과 MRI, 3차원측정 시스템 등을 이용한 측정 방법들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화장품 영역에서 가슴 볼륨 증가 및 탄력개선제품의 증가로 효능평가가 필요하나 외과적 방법들의 적용은 어려운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화장품 영역에서 최초로 등고선 사진을 이용하여 가슴 탄력개선을 평가하였다. 또한 가슴둘레 측정, 디지털 이미지 분석, 3차원 가슴이미지 분석 값과의 상관성을 비교하였고 등고선 사진평가를 가슴의 탄력을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병력조사 및 피부 상태 진단을 통해 건강한 여성 피험자 30명이 시험에 참여하였다. 피험자로 하여금 제품사용 전과 2주, 4주, 8주 후 시점에서 가슴둘레 측정, 유두점의 각도와 거리 분석, Moire’s Topography를 이용한 scoring, 3D가슴측정을 실시하여 가슴확대 및 탄력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디지털 이미지를 분석결과 유두점의 각도(Angle)는 시점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유두점으로부터 밑가슴까지의 길이(Length)는 시점별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또한, 유두점으로부터 밑가슴까지의 높이는 4주 후, 8주 후 시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5). Moire’s Topography Score 평가 결과 각 시점별로 유의하게 개선하였다(p < 0.05). 3차원 가슴 부피 분석 값은 각 시점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상관성 분석결과 Moiré tophography score는 디지털 이미지 분석 값 중 길이, 높이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고 3차원 부피 분석 값과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Moire’s Topography Score 평가는 이미지 분석과 3차원 부피분석 평가법과 더불어 화장품에 의한 탄력 및 처짐 개선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평가방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71.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changes in fatty acid profile of breast and thigh muscle of old laying hens as transferred from cage to backyard raising system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using old laying hens to producer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s. Overall, percentages of unsaturated fatty acid obtained from breast and thigh muscle with cage and backyard raising system are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saturated fatty acid. For breast muscle,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between cage rearing system and backyard raising system in saturated fatty acid (SFA) and mono unsaturated fatty acid (MUFA). Poly unsaturated fatty acid (PUFA) and PUFA:SFA ratio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ackyard raising systems in comparison with cage rearing systems (P<0.05). No differences (P>0.05) were detected between both rearing systems for MUFA, PUFA, and PUFA:SFA ratios with thigh muscles. SFA in thigh muscl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age rearing systems compared with backyard raising systems. In conclusion, using breast and thigh muscle meats from old laying hens as functional foods or investigating impact assessment on the improvement of farm management system may serve as a good management practice to encourage producers.
        72.
        2005.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장온도는 닭고기 가슴살의 미생물학적 품질에 유의적 영향을 주었다. 에서 저장된 비조사시료에서 총균수와 대장균수는 저장후 3일 동안 현저히 증가하였고, 10 kGy 이상의 감마선조사에 의하여 사멸되었다. 에서 저장된 시료의 총균수와 대장균수는 5 kGy이상의 감마선조사에 의하여 검출제한(< 2 log CFU/g) 미만으로 감소되었다. 일반적으로 비조사시료와 조사시료 간의 TBA값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2주 동안의 저장에서 조사시료의 IB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