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27

        561.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의 목적은 Reggio Emilia 교육에서 유아의 표상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아뜰리에리스타가 교 사와의 공동 파트너로서 수행해야할 전문적 역할과 과제의 핵심 요소를 탐색하고 현장에서 적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포커스그룹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K도내 2개의 유치원 1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와의 교수-학습과정에서 아뜰리에리스타의 역할은 원활하며 역동적인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역할, 다큐멘테이션을 통하여 유아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이해하는 역할. 유아의 학습경험과 감정을 민감성을 가지고 구성원들과 공유하고 협력을 하 는 역할이다. 둘째, 지원과 운영·관리를 하는 아뜰리에리스타의 과제는 아뜰리에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일, 다양하고 적합한 매체를 찾아서 제공하는 일, 구성원으로서 협조하여 교육과정 조종에 지원하는 일 이다.
        5,700원
        562.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의 목적은 ‘미래교육연구’ 투고논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미래교육학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 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대상은 한국미래교육학회의 학술지 ‘미래교육연구’에 2011년 부터 2019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 121편이다. 분석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미래교육 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현황을, 둘째로는 연구자 특성을 정리하였다. 셋째로는, 연구방법을 분석한 결과, 혼합연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특이한 점은 '사고실험'이 사용되었다. 넷째, 주요 연구대상은 학생이 었는데, 이는 연구자의 대부분이 교수와 교사임을 감안해보면 예측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연구 주제어' 분석에서는 '배움', '미래교육', '다문화' 등의 주제어가 다수 반복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 후 미래교육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면, 첫째, 교육은 단일한 성격을 가질 수 없으므로 향후 연구에 있 어서 타 분야 및 학문 간 뿐만 아니라 연구자간 융·복합적인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특히 교육현장의 전문가와 연구자가 많이 있는 점을 활용하여 장기적이고 다양한 방법의 연구 를 기대할 수 있다. 끝으로, ‘미래교육연구’만의 독창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배움 패러다임'에 대 한 진지하고 꾸준한 연구와 실천 활동을 통해 한국미래교육학회만의 독창적이고 전문적인 연구자를 발굴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5,400원
        563.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해서는 교과목 확대 및 실습 강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 고 있다. 그러나 이미 현장에서 실천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연구와 지원 은 미흡한 실정이다. 평생교육 현장에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평생교육활동에 종사하는 사 람들도 있으며, 앞으로 성인학습이 다양하게 확대되고 평생교육사들의 수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성인학습 지원을 위한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평생교육사의 직업사회 화 과정에서는 이론적 지식 습득 뿐만 아니라 성찰적 실천 능력이나 문제해결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전문 성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개발과 관련하여 이 논문에서는 성찰적 실천에 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평 생교육사의 실천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성찰적 실천의 의미에 대해 규명하였다. 둘째, 성찰적으로 실천한 결과를 전문성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실천한 결과에 대한 성찰과 실천과정에서 의 성찰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논의결과를 요약한 다음 성찰적 실천을 통한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개발 전략을 제시하였다.
        5,500원
        564.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의 목적은 홈스쿨링 제도화에 관한 쟁점을 분석하여 향후 한국 홈스쿨링 제도화 추진 과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민영화 관점에서 분석틀을 마련하여 한국 홈스쿨링의 제도 화에 대한 주요 쟁점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적 측면에서 보면, 우선 홈스쿨링 설립에 관하여서는 의무교육 및 의무취학에 대한 현행 법 체계상의 문제점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고, 다음으로 홈스쿨링 관리에 관하여서는 홈스쿨링의 규제 정도에 대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 다. 둘째, 교육적 측면에서 보면, 홈스쿨링 교육과정과 관련하여서는 학부모의 교육 전문성 및 교육 자원, 학력인정을 포함한 홈스쿨링의 평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셋째, 경제적 측면에서 보면, 우선 홈 스쿨링 비용에 관하여서는 홈스쿨링에 대한 정부의 교육비 지원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되고 있고, 다음으 로 홈스쿨링 수익에 관하여서는 홈스쿨링 학생의 사회성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 를 토대로 결론 및 논의를 하였다.
        8,100원
        575.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챗봇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용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외국어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최근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는 외국어 교육용 챗봇의 발달 현황과 교육현장에서의 활용 사례를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해 메신저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챗봇 서비스를 국내 중국어 교육에 도입하여, 국내의 중국어 학습용 챗봇 설계방안을 마련하고, 또 이를 활용하는 관련 교육 프로그램과 중국어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여 향후 중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챗봇 활용 수업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5,400원
        57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s main purpose is to review research articles on language education with sociolinguistic approach,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since 1993. It synthesizes the current trends of language education research with the approach that paves the way for future academic sociolinguistic accomplishments. The journal's research studies of language education have mostly focused on Korean and English education along with a handful of other languages. Approximately 150 research studies are categorized and reviewed with emphasis on themes, goals, and their pedagogical implications. As this review is primarily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the conclusion suggests that a number of scholars have consistently and persistently conducted meaningful research on language education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with a variety of research questions, yielding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s. This paper is limited in that it does not represent the whole of research trends of language education studies with sociolinguistic approaches in Korea. However, this synthetical review does provide a general perspective of the overall flow of language education studies from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9,300원
        577.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 해 공직자의 교육 훈련, 업무 자율성, 업무수행역량, 직무 만족과 네 가지 변수로 구분하여 이를 정부 중앙·지방부처의 조직성과에 대해서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행정연구원에서 조사한 2018 년 공직생활실태조사와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2018년 “공직생활실태조사” 데이터를 습득했고 이를 분석에 활용했다. 또한, 연구의 실증분석 대상으로는 46개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자치단체에 속해 있는 일반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은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이 정(+)의 관계에 대해서 가설을 검증한 결과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직자의 업무수행역량과 업무 자율성이 직무 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공직자의 직무 만족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연구자가 상정한 가설이 모두 지지가 되었고, 그 결과로 그간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공직자의 교육 훈련 연구를 확장했다는 의미가 있는 동시에 업무 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에 대한 변수들이 직무 만족과 조직 성과에 변수와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업무 자율성과, 업무수행역량이 개인, 조직 차원서 영향을 주고 이는 곧 국가 차원으로 확산할 것으로 가정하여 분석하였으나 기존 자료에 한계가 있었고 이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공직자의 교육 훈련이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국가 차원으로 전이되는 구성 요소를 찾고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 향후 연구 방향이라 할 수 있다.
        5,400원
        57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d in what directions the 2017 KSL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be properly implemented in the field. To this end,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actors, direction of action, validity, clarity, and feasibility factors, and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1) From the action direction factor, it should be designed as a framework in which teachers can reconstruct th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adaptation. (2) In terms of validity,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language materials should be organized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2017 KSL curriculum could be organized so that it can be cross-referenc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is curriculum b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pper or other curriculum. (3) In terms of clarity, the contents of culture and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must be presented in detail.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specify the detail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each school level and Korean level. (4) In terms of feasibility factors, it is suggested to present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is curriculum operated as a grade-free system, and to provide a curriculum manual.
        5,700원
        579.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orklift accident occurs in the logisitcs center. there are many kinds of accidents such as a casualty accident or a minor accident, etc. there are many other causes of accident, including poor visibility and habitual operational mistakes The result of the accident is the phenomenon of cutting, falling, scratching of the product. In the case of minor accidents, workers do not report accidents, so the occurrence of accidents is unknown. The customer receives the goods and then notifies them that they are defective product. After the product is returned, we can see that the forklift accident caused the problem of the product The result of the late response affects the image of the enterprise. In this study, we recognized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to prevent accidents and found out which of the education items could raise awareness of safety. As result of the study, disinfection and forklift maneuverability regarding speed were mentioned as the most important items in education.
        4,000원
        58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자에 건강불평등 문제가 한국사회의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건강이 개인적 요인보다는 사회구조적 요인에 의해 더 크게 좌우된다는게 최근의 경험적 연구들의 보고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해 부모의 교육수준(학력)이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특히, 공공 복지 수혜 여부를 기준으로 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아동패널 조사(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단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층 아동들은 부모의 학력이 아동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저소득층 아동들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 아동들의 경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동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빠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주양육자인 어머니가 생계의 최전선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 저소득층 가정의 경제상황과, ‘아이는 엄마가 키운다’는 한국의 가부장적 가족문화가 만들어낸 ‘돌봄 공백’이 그 이유라고 본다. 본 연구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성평등적 돌봄 문화의 정립을 주장함과 동시에 섬세한 정책적 접근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예컨대 초등 돌봄에 대한 지원이 절실한 저소득층 가정을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초등 돌봄 사회서비스(예컨대 서울시의 우리동네키움센터)의 도입 및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6,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