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유산의 올바른 이해와 해석을 통해 이를 원형 그대로 보존하고 더욱 발 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1975 년부터 시작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중심으로 문화유산은 다음 세대에 물려주어야 할 인류의 문화 양식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최근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 관광사업 등 이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편으로는 세계화로 인해 각국 문화의 획일화, 종속화, 상업화가 가 속되고 있어 각국 고유 문화유산의 보존과 계승, 발전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는 문화유산에 관한 올바른 이해와 해석이 선결되어 가능한 것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유산에 관한 이해와 해석 능 력을 함양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을 제시한다. 먼저 문화콘텐츠, 교육콘텐츠 로서 문화유산의 의미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문화유산교육이 중요한 이유와 문화유산을 교육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즉 문화유산교육과 문화유산을 통한 교육을 설명한다. 기존 선 행연구를 통해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의 몇 가지 사례를 찾아보고, 이를 더욱 구체화시 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문화유산의 이해와 해석, 보존과 발전을 고무시킬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며 마무리하겠다.
본 연구는 모티프이론을 활용한 창작수업이 무용영재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탐색한다. 모티프이론은 무용기록 시스템중 하나로 자세한 움직임의 묘사 없이 움직이는 사람의 의도를 간 단한 마인드 맵 형태로 보여준다. 연구자는 움직임의 개념을 지닌 모티프이론과 이를 안무의 형 식(ABA, AA’ BB’ CC’)에 도입하여 수업참여자들에게 제공했다. 연구수업은 2011년 충청남도에 위 치한 A예술영재교육원 무용영재반에 등록된 초등 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6차시 수업(1-5차시 각 3시간, 6차시(집중수업) 6시간, 총 21시간)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연구자는 수업시간에 산출된 무 보, 저널, 설문지, 그리고 교사 관찰일지 등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모티프 창 작수업은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무용영재들의 창작에 대한 흥미를 자극할 수 있었고 이는 창의성 을 향상을 위한 중요한 시발점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무용영재들의 저널과 설문지를 분석해 본 결과 자기평가(self-assessment) 측면에서 창의성과 감수성, 그리고 사회성 등 다양한 영 역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재교육 측면에서 모티프 수업은 교사 에게 무용영재의 다양한 측면들 표현력 및 창작능력, 자기동기, 끈기, 사회성, 리더쉽 등을 평가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티프이론은 무용영재들에게 창의적인 움직임개발의 가능성을 열어주고 창작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무용영재교육과 공교육 현장 에서도 효과적인 교육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전인적 인간 형성을 돕기 위해 치료와 교육적 방법론으로 대두된 타말파 표현예술치 료의 통합성과 현상학적 특성에 대한 개관이다.
타말파 표현예술치료는 예술행위로서의 춤으로부터 철학, 심리학, 심신학 등의 이론적 배경을 흡수하고 구체적 실천 방법으로 그림, 동작 같은 비언어적 표현과 언어적 표현을 통합적으로 사 용한다. 그래서 개인적의 인지, 감정, 신체 수준의 조화로운 발달, 그리고 관계를 통한 사회적 발 달을 촉진시키기는 우수한 통합교육의 모델로 간주 된다.
타말파 표현예술치료가 전통적인 심리치료인 정신분석의 분석적인 영향에서 자유롭기 위해 교 육학과 심리학의 새로운 철학들을 끊임없이 수용해 오면서 하나의 학문으로 형성된 점. 또 분석 에서 자유롭기 위해 개인의 체험을 의미 있는 현상으로 확장시키는 실천도구들로 형성되는 방법 론들을 개발시켜왔다는 점. 그 방법론의 중심에 몸과 움직임을 현상의 주체로 위치시켰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타말파 표현예술치료 발전의 토대인 다학문의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 실존적 현 상주의, 인본주의와 게슈탈트, 융 심리학과 지적이고 분석적인 심리치료와 교육의 양태에서 벗어 나고자한 표현예술치료와 신교육의 흐름을 차례로 살폈다. 그리고 이러한 측면을 모두 포괄한 실 천도구로서 몸과 움직임이 어떤 지점에서 교육과 치료를 현상학적으로 연결시키는가를 설명한다. 주요어 타말파
본 연구는 미국의 움직임 교육자이자 아방가르드 예술가인 안나 할프린에 의해 만들어진 무브 먼트 리츄얼이라는 동작 교육법이 어떻게 심신통합적 관점을 구현하는가를 개괄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움직임 교육을 통해 마음과 몸을 긴밀히 연결시키는 교육 분야인 소매틱 교육의 역사를 조망했다. 그리고 이들 교육법의 핵심 철학과 관점이 무브먼트 리추얼 디자인과 교육법에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무브먼트 리추얼은 움직임을 통해 인간의 신체, 감정, 심리, 이미지, 상상력, 창조성 등의 모든 경험을 수용하려는 교육적 노력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를 위해 심신통합적 교육과 치유법들이 지향했던 인간의 전인적 경험을 촉진하는 교사의 현장 전략을 자세하게 살펴 심신통합 이론들과의 관련성을 설명했다.
The ability of being able communicate in English is one of the core abilities to be reared for the students who have to live in the modern society. English is one of the important languages of today. In order to learn such English, the most basic words and idioms need to be learned first.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 to lose their interest and affection about English as they move up the grades. However, In recent, 62% of 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smart phone and the main function used by 58% among them is games. Due to these reasons, Interrest in learning smartphone game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intends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 educative games for the learning of English idioms on smart phone so that the students can get interest and fun. The English idioms educating game which shall be produced in this study not only is easy and fun to be played by the learner but also made it possible for the English idioms learning not to be boring by adding fun and giving motivations through competitions among the learners by making each obtainments of alphabets of each English idioms into points. In order to induce the repetitive learning of the learners, the lesson menu was used to allow the English idiom repetition lesson. Also,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smart phone was utilized to produce this game so that the game is played fluidly and conveniently.
목적: 이 연구는 마케팅 수단의 관점에서 렌즈 회사가 제공하는 방문교육에 안경사들이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서울 경기 지역의 현장 안경사 102명을 대상으로 대면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안경사의 2/3 가량이 방문교육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사들은 대체로 방문교육에 만족하였으며 매출증대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방문교육에서 렌즈에 대한 전문지식을 얻기를 가장 바랐으며, 일부 강사의 낮은 자질이나 지나친 제품광고에는 불만을 나타냈다. 결론: 방문교육은 렌즈 회사 입장에서 유효한 마케팅 방법이다. 더 나은 방문교육을 위하여 렌즈 회사는 제품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개발하고, 교육 강사의 질을 높이며, 자사 제품에 대한 지나친 홍보는 지양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n advanced work for the follow-up study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Utilizing German and French Commercial Movies'. Before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undergraduates utilizing movies as one of the most typical digital image media in modern times, we try to review theoretical the utilizability of digital image media and game contents as very efficient tools of inter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e breakthrough of digit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igital revolution leading to a paradigm shift in the history of mankind make the 21th century be called 'knowledge and information age'. The integrated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way based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a great effect on recognition way, recognition pattern and recognition process of contemporary people. In addition, it is also changing human recognition per se. First of all, digital image media have caused not only the remarkable change of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but also a revolutionary change of educational field. The digital image media are thought of as one of the most efficient communication media which can satisfy optical desires of humankind and realize multilateral and sympathetic interchanges utilizing other sense organs. Therefore, the digital image media are anticipated to be a very efficient tool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rough this theoretical review we try to emphasize the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f intercultural education utilizing digital image media and game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 on safety and health training system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OSHA) and to find countermeasures to improve i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questionary survey was done on aiming at tracing the legal drawbacks of safety and health training system. The questionary was prepared to target on site workers, management supervisors, and safety supervisors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After analyzing the answers from the survey, realistic and optimal countermeasures on derived problems were proposed. These should be included on the next revision of OSHA.
Prevention of the disasters is the best welfare to workers and it brings the growth and stability of an enterprise, finally uplift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Because small-scale businesses do not have safety and health managers, the government provides a wide range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upports to small-scale businesses. However despite of this government's effort, the industrial accident rate of small-scale businesses does not decline, which is mainly because the projects are not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isk level of individual busines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obtain implications concerning a plan to conduct a reliable assessment of education through a safety job assessment, and to build a framework which may improve a technical area through the AHP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This data will address the effective plans and suggest furth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74 parents in Busan. We collected data through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and parents and then computed the frequency and χ2 test to analyze the data.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on the basis of related literatures and previous researches. According to our results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need of nutrition education and the reason for needing nutrition educati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aims, contents, methods, and effective ways of nutrition education for childre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needs from teachers and parents on nutrition educ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y considering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These may be useful data when planning for the nutrition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English program under a practical curriculum for English majors in colleg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program, language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perceived and actual improvement in English,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o this end, the study followed the changes i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the program and their learning of English for four semesters from their freshman to sophomore year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four times to measure and trace the students' perceived utility of the program, affective attitude, use of language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perceived and actual improvement in English,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every semester in actual improvement in the students' TOEIC scores. Compared to their high expectations for improvement, the students' perceived improvement was shown to be the lowest at the end of the first semester, after which it got slowly higher each semester during the 2-year period. However, their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got lower each semester. Native speaker instructors and interactive activities in class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students' perceptions of program utility and affective attitude, which, in turn, significantly affect the students' use of language learning styles and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decision-making variables that lead fashion company employees to participate in the fashion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and preferred education method and evaluated a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by surveying a fashion company employees who completed a fashion education program. As decision making variables, this study included participation purposes, obstacles, and evaluation criteria. Whil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dentify the decision making variables, education satisfaction level, and preferred education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sed to evaluate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enrolled in the program mostly because of personal motivations and considered the workload and time limitation as participating obstacles. They considered educational content as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criteria fo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y completed. This study suggests how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s may structure their fashion education programs to better appeal to the employees of fashion companies.
The study focuses on verifying the effects of service education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customer orientation. 290 salespeople working for fashion companies participated by completing a survey.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with SPSS 16.0 and AMOS 7.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xamine the goodness of fit.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ervice education of salespersons in fashion companies was shown to affect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compensation, whereas empowerment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service training and empowerment as experienced by salespersons working for fashion companies affect their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performance. Specifically, psychological satisfaction as part of the overall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found directly to affect their customer orientation, whereas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compensation did not affect their customer orientation. Customer-orientation as influenced by service education and empowerment was revealed to have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ervice education of salesperson working for fashion companies and their level of empowerment create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in these individuals. This study will be a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for those who create salesperson empowerment programs and salesperson management strategies for fashion companies. Such programs and management strategies can facilitate efficient job performance by salespersons working for fashion companies and increase their level of job satisfaction.
茶山 丁若鏞(1762~1836)이 살았던 19세기 초 조선후기 사회는 깊게 병들어 있었다. 이 시기에 다산은 경상도 장기와 전라도 강진에서 18년 동안 유배되어 있 었다. 그러나 그는 세상을 구제하고 백성을 살려 낼 방안을 찾기 위해 힘을 다하 였다. 특히 다산은 당시 사회에 만연된 잘못된 학문풍토와 아동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고, 그것을 통해 대중의 의식을 개조하고 참된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다산의 아동교육 개선에 대해 총체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먼저 다산의 아동교육 개선의 발단과 전개과정에 대해 논의한 다음, 개선의 이유 와 목표에 대해 조명하였다. 이어서 조선후기 아동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다산의 비판과 다산 아동교육방법론의 특징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다산 아동교육방법론의 특징에 대해서는 다산의 아동교육 관련 저술을 인 성교육․문자교육․지식확충․언어교육의 네 분야로 나누고 각 분야의 특징을 찾 아 다산의 아동교육방법론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즉 인성교육 분야에서는 ‘文心을 키워주고 慧竇를 열어주는 교육방법’을, 문자교육 분야에서는 ‘觸類旁通의 교육방 법과 字書를 통한 개별 字義 교육방법’을 지식확충 분야에서는 ‘一以貫之를 위한 一以串之식 교육방법’을, 언어교육 분야에서는 ‘改非矯俗식 교육방법’을 특징으로 잡았다. 그리고 맺음말에서는 다산의 아동교육 개선의 의의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형태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 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 한 것은 한국인이 한문문 법 형태론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 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 는 것과 敎授者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형태론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키는 것을 연구 하는 것이다. 즉,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보려한 것은 형태론 교육의 목표, 형태론 교육의 내용(품사론, 어휘 분류와 방법), 형태론 교육론의 교수법, 형태론 교육론 의 평가법 등이다. 1. 형태론 교육의 목표 1.1 형태소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1.2 형태소의 기능과 의미구조에 대하여 안다. 1.3 형태소와 형태소의 결합관계를 안다. 1.4 품사의 개념과 분류 기준을 안다. 1.5 단어의 분류와 그 방법을 안다. 1.6 허사의 기능을 안다. 2. 형태론 교육의 내용 2.1 품사론 2.1.1 ‘品詞’는 단어(어휘)를 의미와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공통된 성질을 가진 것끼리 모아 놓은 단어들의 갈래다. 단어는 보편적으로 문법적 특성에 따라 가름한다. 문법적 특성은 형태(form), 의미(meaning), 기능 (function)에 따른 특성이며, 이 기준에 따라 구분한 單語(語彙)群을 ‘품 사’라 하고, 이러한 ‘품사에 대한 연구’를 ‘品詞論’이라 한다. 2.1.2 한국 학교문법에서는 품사를, 10품사로 구분하고 있다. 10품사는 實詞와 虛詞로 구분한다. ‘實詞’에 속하는 품사로는 名詞, 代名詞, 數詞, 動詞, 形容詞, 副詞 등이 있고, ‘虛詞’에 속하는 품사로는 介詞(前置詞), 連詞 (接續詞), 語助詞, 感歎詞 등이 있다. 2.2 單語(語彙) 分類와 그 方法 2.2.1 漢字語의 性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어휘의 개념은 단어, 낱말, 語詞, 한 자어 등의 개념과 유사한 개념으로 統稱되고 있다. 한자어의 성격은 한문 체계로 보면, 한자어는 漢字, 漢字語, 漢字成語로 이루 어진 ‘漢字 語彙’의 한 갈래로써, 한문의 單語, 句, 文章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게 되는 문법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문 체계 속에서 볼 때, 한자는 한자어와 명확하 게 구분된다. 한자는 그 자체로 문법 구조를 이루고 있지 못하지만, 한자어는 단 어, 어휘이면서 문장의 통사 구조를 갖추고 있다. 한문 체계에서 한자어는 2~3음 절의 어휘만을 일컫는 것이 타당성이 있다 할 수 있다. 2.2.2 漢字語 語彙의 分類: 近代以前은 ‘漢文文語’에 나타나는 한자어를 중심 으로 하고, 근대이후는 ‘신생 한자어휘’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자 한다. 2.2.3 單語의 形成 方法에 따른 分類: 單語는 일반적으로 單純語와 複合語로 나뉜다. 단순어는 다시 單音節單純語와 多音節單純語로 구분하고, 복합 어는 다시 合成語와 派生語로 구분한다. 合成語는 다시 類似語와 相對語, 統辭的 構造語로 나누고, 派生語는 ‘基語+接辭’의 구조로 된 것과 ‘接辭+ 基語’로 된 것으로 나뉜다. 2.3 形態論 敎育論 敎授法 2.3.1 語彙에 관한 敎授法에 대한 硏究는 單語의 짜임의 경우, ‘造語分析法’ 등의 교수 수업 방법이, 단어의 갈래 및 어휘(성어)의 경우는 ‘言語活用法’ ‘索出法’, ‘比較學習法’ 등이 효과적이다 할 수 있다. 2.3.2 語彙의 字義와 語義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한 교수법으로는, ‘字義 분 석을 통한 지도방안’과 ‘語義 분석을 통한 지도 방안’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2.3.3 多音節 語彙의 敎授․學習法으로는, ‘故事成語’의 경우, 기존의 ‘토의학 습법, 역할놀이 학습법’등이 있다. 이외에, 壓縮性을 띤 다음절 어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학습법’, 隱語的 성격을 띤 어휘는 ‘어휘를 變容 활용하여 특징을 이해하는 학습법’, 형용적인 성격을 띤 다음절 어 휘는 ‘擬聲語와 擬態語의 특징을 이해하는 학습법’이 효과적이다. 2.4 形態論 敎育論 評價法 硏究漢文(文言文)에 대한 형태론 교육론 평가는 형태론의 교수- 학습 연장선상에 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한문과 형태론 교육론의 평가는 궁극적으로 다른 언어 와 마찬가지로 형태소들의 문법적 기능과 의미기능, 결합의 원리들을, 실제의 자 료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발견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관찰력, 판단력, 분석력, 종 합력 등을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한국에서 형태론 교육론 평가법은 현행 중․고등학교 한문교과에, 현행 교육과 정에 기반을 둔 漢文科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이 개발이 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중학교 어휘 영역의 성취 기준 및 성취 수준의 경우만을 살펴보았다. 2.4.1 中學校 漢文 語彙領域의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 중학교 한문교과의 ‘어휘’ 영역의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기준 그리고 단위 성취 수준에 대한 記述은 교육과정 어휘영역에 대한 각각의 내용요소에 대하여 성취 기준을 상세하게 마련하였으며, 각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수준을 다시 ‘상, 중, 하’ 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어휘영역의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을 기술할 경우, 성취수준(상, 중, 하)간에 질적인 차이를 구분할 때, ‘상’수준은 ‘설명할 수 있다’, ‘중’ 수준은 ‘말할 수 있다’, ‘하’ 수준은 ‘조사할 수 있다’라는 行動動詞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 수 준에서는 ‘구별하다’, ‘활용하다’ 등의 어휘를 사용하여 ‘중’ 수준과 도달한 정도 에 차이를 두어 구별하였다.
학습자가 특정 언어를 이해하는 과정은 언어 교육 연구의 핵심 과제였다. 언어 학자들은 크게 세 가지 모형을 개발했다. 학습자는 작은 언어 단위로부터 시작해 서 보다 큰 언어 단위로 확대하면서 의미를 파악한다고 보았다. 綴字, 音節, 單語, 句, 文段, 그리고 글 전체로 의미를 수용한다고 하였다. 글에 초점을 둔 모형이었 다. 이에 대해, 다른 의견이 제시되었다. 의미의 출처는 독자에게 있으며 독자의 선행 지식이나 경험에 의해 글의 의미가 구성, 예측, 결정된다고 보는 관점이 바로 그것이다. 이후, 통합적 관점이 제기 되었는데, 학습자가 한 편의 글을 읽는 데에 는 문자 해독과 독자의 사전 지식이나 경험이 계속적으로 상호 작용하면서 글의 의미를 파악, 구성, 수용한다는 것이다. 한문 학습자는 ‘어떻게’ 한문을 이해하고 의미를 파악하는가, 라는 질문을 해 보 자. 전통적으로 우리는 한문 문장을 제시하고, 문장에 사용된 한자의 음과 뜻을 가르쳤다. 개별 한자의 대표적인 음과 뜻을 먼저 가르치고, 문맥에 적합한 뜻을 더하여 지도했다. 한자의 뜻을 고려하고, 문장의 구조나 형식을 참고하여, 문장을 풀이했다. 그리고 문장의 중심 내용, 화자의 의도, 글의 주제 등을 확인하고 강조했 다. 곧, 개별 한자에서, 한자 어휘로, 어구로, 그리고 문장 전체로 의미를 파악했다. 근래의 언어 교육 연구자들은 언어 학습의 주체로서의 ‘학습자’에 주목했다. 학 습자에 주목할 때, 우리는 글에 사용된 철자, 어휘, 구절의 의미나 구조의 파악에 유의하는 한편, 글의 주제나 소재, 글의 특성, 핵심 단어나 어휘에 대한 독자의 사 전 지식이나 배경 지식의 활성화에 주목하게 된다. 한문 학습자의 경우, 일차적으로 글에 사용된 개별 한자의 해독을 통해 글의 풀 이를 시도한다. 이와 함께 글의 구조, 허사의 쓰임, 문장의 형식 등 한문 지식을 활용하여 2차 풀이를 수행한다. 한자의 해독, 글의 구조와 형식, 허사의 쓰임 등은 글 요인이다. 문장의 독해에 글 요인은 중요 배경 요인이다. 그러나 한문 학습의 주체는 글도 아니고, 한문 교수자도 아니다. 바로 한문 학습자이다. 한문 학습자의 글에 대한 배경 지식의 정도와 배경 지식의 활성화 정도가 글의 독해에 많은 영향 을 끼친다. 글의 독해 과정은 글에 대한 독자의 의미 구성 과정인데, 그 과정은 글 요인과 독자 요인이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면서 진행된다. 이 점에 주목할 때, 한문 독해 교육에서 한자 해독, 한문 지식과 함께 독자의 배경 지식의 활성화 전 략을 기획할 수 있다. 이 주제와 연관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를 生成할 수 있다. 첫째, 텍스트의 분량 과 문종을 다양하게 도입하여 논의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학습 방안 의 효과는 질적 연구로 입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다 정치한 질적 연구 설계를 요한다. 셋째, 교수․학습 방안 및 수업 지도안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자료를 수집 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한문 독해의 경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한자 교육 혹은 識字 교육의 접근 경로로 이른바 ‘集中 識字’와 ‘分散 識字’ 방법이 학 계에 보고된 바, 식자 교육과 연계된 한문 독해 교육 연구가 요청된다.
한자의 결구(結構)와 형성(形聲) 관계가 일반적인 표음문자와는 다르다는 것 을, 대뇌에서 한자를 처리할 때의 반응에서 알 수 있다. 표음문자의 처리는 통상 대뇌의 우성(優性) 반구에 치우치며, 한자는 표음 문자에 비해 대뇌의 좌우 양측 의 자원을 비교적 많이 이용한다. 한자를 읽을 때 시각구에서 대뇌전부로 정보가 이동할 때 직접적인 한자와 어휘의 결합관계를 찾는데 집중하는데, 이는 형성관계 의 투명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전통적인 교육은 형성 관계에 대 해 관심이 비교적 적었기 때문에 자형을 자음으로 전환시키는 가용의 정도나 중 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대뇌의 전두엽 영역에서는 한자의 처리는 표음문자에 서도 사용하는 하전두엽 이랑 이외에도 표음문자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 중전두 엽 이랑과 전운동구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는 한자학습에서 한자쓰기의 중요성을 반영하며, 표음 문자에 의한 입력이 한자 습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 을 알려주고 있다. 본문에서는 선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한자의 결구가 독음에 관한 정보를 증대시 키며, 이를 통해 한자 학습의 난이도와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그룹핑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동시에 본문에서는 한자의 자모 사용은 유리한 그룹핑을 하는 것 이 외에 현재의 컴퓨터 사용과 한자 습득 간의 충돌을 해결하는 효과적인 방법 임을 지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