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have been efforts to revitalize the national economy by concentrating for the industrialization about 60 years after the Korean war. A result of these efforts, We will enter to the advanced country as the current economic power. But, Our social structure under the Korean Confucianism cannot ecdysis, because we recognise to the academic ability rather than the competency ability. So, the current government is trying to build social skills by presenting the slogan for the ability to implement social policy. This research utilized by th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tatistics for the variables to determine the equivalence of the Korea Education and qualif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government's efforts to meet the need to improve equivalency is to empirically.
From the end of 2000, the era of full-fledged remote college education has opened and online education is evolving rapidly. However, the liberal literary education takes place in cyberspace university level, in most cases, is staying general education. In this paper, we designed EDGE (E-learning Design for Go through effectively a novel on literature class, EDGE) learning model to teach novel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education and online education. EDGE 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students can hosts lecture spaces to get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can have a variety of literary experience and can interact each other actively. Future research includes developing unique online teaching type which enables literature concept delivering and teaching creative writing simultaneously.
본 연구의 목적은 웨슬리 설교에 나타난 ‘love’를 포함하는 표현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죤 웨슬리의 설교 중에 20편이 선정되었다. 콘코던스 프로그램은 AntConc 3.2.0w이 사용되었다. 설교들로부터 워드리스트가 추출되었고, ‘love’ 단어를 포함한 표현들을 조사하였다. 결과로는, 199개의 표현이 발견되었고, 그 연어들의 특징적인 부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연어적 지식을 발전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영어학습에 있어서 어휘를 확장시킬 수 있게 해 준다. 학습자들은 또한 교수자의 지도하에 스스로 코퍼스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겠다.
The role of the teacher in the EFL context is a key to success for the improvement of learners' English abilitie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to improve English teac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to cultivate competent English teachers. However, few attempts were made to examine how the English teacher education system in general has changed in the last few decades. This study aims to revisit the English teac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teacher education models. For this, the pre- and in-service English teacher education research and programs are reviewed and analyzed. At least two new changes are recognized. The current pre-service program has become more English education oriented compared to past programs. In the in-service program, a new perspective of "teacher development" has been adopted to emphasize teachers' self-reflection. Several practical ideas were suggested for both pre- and in-service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s so as to meet teachers' needs and the changes in the Korean EFL environment.
본 연구는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따른 전문대학교내 사회복지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체계화하고, 사회복지과의 학문적 정체성을 지속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작되었으며, 사회복지과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2011년 12월부터 2012년 2월까지 한국전문대학교교육협의회에 정회원으로 등록된 수도권 사회복지과를 대상으로 개설된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각 전공별 이수과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과 재학생으로 하여금 사회복지 전공을 기본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보육교사 등 다른 자격을 취득할 경우,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이수학점이 강화되는 경향이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요구된다. 해결방안으로 사회복지자격과정만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방법이다. 혹은 초과학점을 교양과목으로 대체하거나 계절학기, 보육과정이 개설된 학과와의 협조를 통하여 대신할 수도 있다. 보육전공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건강가정사 등 다른 전공을 개설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문헌검토를 통하여 이론적 근간을 마련하고, 현재 교정시설/소년원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분석하고 문화예술 강사들의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의 구성개념과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의 문항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고 윤문작업을 거쳤으며,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스크린 작업을 하였다. 본 조사는 2회로 나누어 실시하였는데, 1차 조사 설문지의 배포와 수거는 2011년 8월 10일부터 8월 20일에 걸쳐 시행하였으며, 총 842명(교정시설 589명, 소년원학교 253명)이 참여하였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조정을 실시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1년 12월 10일부터 30일까지였으며, 총 691명(교정시설 505명, 소년원학교 186명)이 참여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문항스크린(기술통계치, 신뢰도 등),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순으로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 요인, 63개 문항으로 최종 척도가 구성되었다. 전체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척도의 신뢰도는 .927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형적합도 지수 또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교정시설/소년원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최종적으로 ‘스트레스 17문항’, ‘사회성 17문항’, ‘문화예술 선호성 7문항’, ‘긍정성 10문항’, ‘자기조절력 8문항’, ‘표현력 4문항’의 6요인, 6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parents that have preschool children of age 4~5, and analyzes the perception and parent education demand through parent experience of fire. As a result of the study about perception through parent experience about safety life, safety accidents, safety education of fire, the effect of parents' safety consciousness to fire safety life turned out to be moderate for fathers and large for mothers. The safety education method was mostly done in speaking than experience for fathers, while mothers did education through experience in daily life. Also the difficulties in safety education was lack of educating time for fathers while it was lack of knowledge and methods for mothers. Perception through parent experience of fire safety accidents showed that fathers did not have experience of fire safety accidents while mothers did. The locations perceived by parents where fires mostly occurred showed to be within home for both parents, and both administered first aid in managing fires. Perception through parent experience of fire safety education showed the importance of fire safety education to be important in both parents, and both parents had no experience in fire safety education. Also the fire safety education knowledge acquisition method was TV or the Internet for fathers, while it was participating in seminars or lectures for mothers. Fathers were moderately satisfied of the fire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of childhood education centers, while mothers were slightly dissatisfied. For the demand of parent education about fire safety education, fathers were moderate while mothers thought it necessary of parent education necessity. The reason why parent education was needed was to be able to know immediate and prompt measures and first aid treatment in emergency situations for fathers, while it was to figure out the cause of fire safety accidents and prevent it beforehand for mothers. For the education institution of fire safety education, fathers demanded it for safety related institutions while mothers demanded it for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number of times for parent education was once or twice a year for fathers while it was once a month for mothers. For the parent education instructor of fire safety education, fathers demanded safety education experts while mothers demanded infant teachers that completed the safety education course. For the fire safety education method of parent education, fathers demanded Internet searching while mothers demanded seminars or lectures.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hange of perception of Japanese Army on the public after Russo-Japanese War and its impact on military training system. I Keywords: Total War, military training, mobilization, Training for youths- Japanese War and World War I. Tanaka has been deeply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of between the public and the army earlier on. He regarded the army as a school to train ‘good citizens’ and is also interested in training of young people. After World War I, the thought of Total War System was more and more shaped up in Japan and the efforts to inspire it to the public through trainings were made. Especially the army implemented the military training sessions in all the schools as well as established “Training Institutes for youths” for non-school youth in order to get more suitable citizens for the army. These ideology educations enabled reformation of the public, and which effected positively to build Total War System lead mainly by the army later on.
As people make efforts on accident prevention, the number of accidents has decreased over the years, however the number of fatal major industry accidents has rather increased, whic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deaths in total. Under these conditions, there is an attempt to introduce and perform the safety vocational education system as a means for preventing major industry accident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se vocational educ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from the safety's point of view and suggest the efficient techniques measuring and managing each safety management. Proposed techniques show that the specification on safety determines weight through the managers of firms and each process is suggested by using SN rati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model for entrepreneurial career developm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development their entrepreneurship and handle the potential job crisis efficiently using the serious games as a instructional media. In order to development this model, I used three research methods that are contents analysis, expert group interview, usability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current situation of safety education to improve safety awareness and practice in Korean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practice with the actual status of accident occurrence. Furthermore it is try to figure out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the safety education for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The 412 students were taken from a random sample. The samples were one class of 2nd grade students in five different middle schools and four different high schools in Seoul,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29 September 2010 through 15 October 2010. An additional samples for the questionnaires posted in web were collected. The 305 respondents from school students and 80 respondents from web survey were used to analyze for this study out of 800 respondents.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s. The overall safety-awareness score was relatively high at 4.56/5 for fire safety and 4.32/5 for traffic safety. Safety awareness was higher for girls than boys and also for high school student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afety education by parents at home gives a good impact on high safety practices. Safety awareness was improved by feeling of necessity for safety training. The safety prevention training provided during the class by teacher and home training by parents improved safety practice.
한문에서 多義語의 의미항목 분별은 각 개념의미의 차이와 문맥을 통해 드러나 는 용법의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정확한 독해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학습 요소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고등학교 한문Ⅰ 5종 교과서를 검토해 본 바에 의하면, 모두 다의어를 중시하여 이를 학습 요소로 제시하고 있지만 다의어 한자 선정이 수의적인 경향이 있으며 다의어의 의미 항 목 용례로 제시된 것이 대부분 ‘언어생활 한자 어휘’여서 한문독해력 신장과는 일 정한 거리가 있었다. 이러한 실태의 주요 원인은 다의어 한자 선정에 대한 일정한 기준의 부재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1) 異音異詞의 경우 2) 동일한 한자가 실사, 허사를 모두 표기하는 경우 3) 의미의 유연성이 희박한 경우 4) 빈도수가 높은 경우 등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근거로 하 여 한문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내에서 다의어 한자를 선정하여 그 목록을 제시하고 다의어의 분별된 의미항목에 따른 한문 용례도 제시하였다.
본고는 현재의 漢字 字源 교육에서 찾을 수 있는 문제점을 확인하고, 또한 한자 자원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한자 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을 제 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美’와 ‘力’, 두 개의 한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문 교과서와 한자 학습 서에서 제시한 자원 해설 내용을 검토하고 여기에서 찾을 수 있는 문제점을 확인 하였다. 그 결과, 현재 문자학계에서 대체적으로 인정되는 자원 해설을 따르는 경 우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즉 ‘美’의 자원 설명에서 현재 대체적으로 인정받는 해설인 ‘사람의 머리 위를 아름답게 장식한 것’을 제시 한 교과서나 학습서는 없었으며, 또 ‘力’의 자원 설명에서 ‘가래와 같은 농기구의 모양을 상형한 것’을 제시한 것은 몇 개 교과서에 불과하였다. 이상의 예를 통해, 한문 교과서와 한자 학습서가 여전히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를 채택하지 않고 있 다는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더 나아가 한자 자원 교수․학습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주요 문자학자들이 제시한 자원 설명의 내용을 수집하여 정리하고 또 이에 대한 현재 문자학계의 일반적인 견해를 요약하여 제시한 자료 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가 제작된다면, 한자 자원 교수․학 습 뿐 아니라 다방면의 한자 자원 연구에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한자 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대상으로 하여, 각 한자 자원에 대한 甲骨文․金文․小篆 등의 고문자 자형 및 주요 문자학 연구자들의 견해를 수집 하고 정리한다. 둘째, 수집하고 정리한 자원 해설을 국문으로 번역하여 제시한다. 이는 특히 한 자 자원 교수․학습에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함이다. 셋째, 이상에서 정리하고 번역한 기존 학자들의 해설에 대해, 현재 문자학계의 연구 성과를 반영한 종합적인 의견을 제시한다. 즉 기존의 여러 해설 중에서 일반 적으로 인정되는 것이 무엇인지, 한자의 形․音․義 연구와 교육에 어떠한 부분 이 필요한지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다. 넷째, 이상의 작업을 통해 얻어진 최종 성과물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축한 다. 이는 한자 자원 연구 성과를 다방면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완성될 자원 데이터베이스는 한자 자원에 대한 교수․학습, 한자학 각 분야의 연구, 經書 등 고문헌의 해석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어오고 있는 書法( 중국은 書法, 한국은 書藝, 일본은 書道)예술을 한문교육의 차원에서 재조명하여 그 심미 적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동아시아 한자는 황하문명의 긴 역사를 바탕으 로 다양한 상상력과 창의력이 동원된 문자였다. 우리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에서 는 아주 오래전부터 서법의 예술이 다양하게 발달해 오고 있었다. 이 서법예술 속 에는 다양한 미적 상상력과 창의력이 함의되어 있다. 한자교육은 단순히 識字 교 육 범위를 넘어 동아시아 한자문화의 편린들을 심미적으로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교육할 필요가 있다. 우리 한자문화권의 서법의 역사 속에는 한문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 한 심미적 교육요소들이 무진장으로 함의 되어 있다. 고대 서법예술의 심미적 교 육은 학습자들의 인성을 순화하게하고, 창의력과 상상력을 제공하며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문화를 창도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영역임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서법예술의 심미적인 교육은 학생들의 심성을 순화시키고 다양한 상상력과 창의 력을 개발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한문교육의 일환으로 동양의 고대서법의 미학을 심미적으로 교육하기 위하여 이 서법의 미학을 어떻게 공부하게 하여 어떻게 심미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가에 대하여 그 목표와 내용, 그리고 그 방법과 평가로 나누어 모색해 보았다. 동아시아 고대서법의 심미적 교육을 통하여 동양의 고대문화 를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하며 문자의 기원과 발달을 생생하게 체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성과 상상력을 마음껏 발휘 시키며 나아가서 서법의 수련을 통하여 심성수양과 인격의 완성까지 추구하게 할 수 있다. 고대서법에 대한 심미적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고대서법 자료를 심미적 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고대서법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 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며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고대서법의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문화의 이해와 소통에 기여하려는 선구자적인 태도를 지니게도 할 수 있다. 한문교육의 다양한 방법의 추구로 한문교과의 심미적 교육의 위상을 제고하는 새 지평이 열리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 論文은 漢字 語彙 敎育의 方法과 實行 方案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기 존의 漢字 語彙의 敎授․學習 方法에서 벗어나, 해당 어휘의 성격에 적합한 敎授․學習 方法을 개발할 것을 밝혔다. 言語 生活의 漢字 語彙는 주로 文法的 짜임 關係를 갖고 있는 關係語彙(構造語)를 위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漢字 語彙 敎育의 목적은 ‘文識性’을 높이 는 것이다. 이에 대한 敎授․學習 方法으로 그동안 ‘造語 活用 敎授 方法’, ‘한자 카드 놀이법’,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 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모두 漢字 語彙 의 짜임을 이용한 敎授․學習의 方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漢字 語彙는 類義語 群(word family)을 가장 많이 갖고 있다. 類義語 群은 어휘의 활용이나 조어와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휘를 認知하는 과정과도 관련 이 있다. 따라서 類義語 群을 활용한 敎授․學習의 方法 모색과 방안이 필요하다. 한문에 사용되는 漢字 語彙는 日常 言語 生活의 語彙와 다르다. 이에는 單音節 語彙와 多音節 語彙가 있다. 일부 多音節 語彙는 일상 생활의 어휘와 일치하 나, 그 외의 경우에는 한문의 특성에서 발생한 것이 많다. 單音節 語彙는 기본뜻 과 함께 派生意, 擴張意, 引伸意 등이 있다. 이러한 것에 대한 敎授․學習의 方法으로는 六書의 字源을 위주로 한 학습으로 ‘部首 中心 指導’, ‘構造 分析’, ‘字源 活用法’, ‘字典 活用 學習法’, ‘이미지컷 활용 학습법’, ‘한자카드 활용법’ 등이 있다. 言語 生活의 漢字 語彙에 대한 敎授․學習 方法에 비해서는 매우 여러 가 지 敎授․學習 方法이 개발되어 있다. 多音節 語彙에 가면 故事成語, 典故語, 假借語 등 여러 가지 어휘가 있다. 이 들 어휘의 경우는 아직 敎授․學習의 方法的인 측면에서 개발된 것이 없다. 成語, 典故, 假借의 語彙는 어휘의 형성 과정이 독특하다. 따라서 그 형성 과정에 알맞은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多音節 語彙 중 ‘壓縮性 語彙’는 ‘이야기 → 압축’을 통해서 어휘가 형성되고, 학습자는 ‘어휘 확인 → 어휘의 압축과 비유의 과정 이해 → 의미 파악’의 원리를 통해서 해당 어휘를 학습한다. ‘隱語性 語彙’는 ‘문장에서 漢字語句 截取 → 意味 變容’의 과정을 통해서 어휘가 형성되고, 학습 자는 ‘語彙 認識 → 變容 過程 理解 → 意味 把握’의 원리를 통해서 학습한다. ‘形容 語彙’는 ‘事物의 狀態 → 狀態 確認 → 口語로 표현 → 비슷한 한자의 음 으로 假借’의 과정을 통해서 어휘가 형성되고, 학습자는 ‘語彙 確認 → 語彙의 假借 過程 理解 → 대체되는 우리말의 擬聲語 또는 擬態語 確認 → 意味 把握’의 原理를 통해서 학습한다. 따라서 이러한 어휘의 형성 과정과 인식 과정에 적합한 敎授․學習 方法의 모색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