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6

        201.
        198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나방과 왕담배나방의 형태적(形態的)인 특징(特徵)을 조사한 결과 : 1. 담배나방 앞날개에는 신상문(腎狀紋)과 환상문(環狀紋)이 있으나 왕담배나방은 신상문(腎狀紋)이 있고 환상문(環狀紋)은 없거나 희미하며 갈색횡선(褐色橫線) 사이에 7개의 유백색반점(乳白色斑點)이 있다. 2. 숫컷 생식기(生植器) 판(瓣)의 길이가 폭에 대하여 담배나방은 5.6 배(倍), 왕담배나방은 4.3 배(倍)이다. 3. 뒷다리 경절(脛節)에 있는 극모수(棘毛數)가 담배나방은 8.5 개, 왕담배나방은 11.4 개이다.
        3,000원
        202.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 film으로 피복한 포장에서 숫검은밤나방 유충에 의한 담배 피해주율이 낮은 원인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피해주율은 무피복구(n)에 비해 P.E. film 피복구(m)에서 63% 감소하였다. 2. 피복한 휴(畦) 내의 일종 최고 토양온도(5cm 깊이)는 무피복구에 비해 조사기간중 평균 높았으며 6월 중순에는 까지 이르렀다. 3. 유충의 회수율, 토양내 잠복깊이 및 발육 정도 등에서 P.E. film 피복구와 무피복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4. m/n치와 5가지 변형된 피복방법의 결과에 비추어 P. E. film 자체에 의해 숫검은 밤나방유충의 이동 흑은 먹이탐색활동이 방해를 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5. 숫검은밤나방유충의 사망율은 7월 하순과 8월하순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03.
        198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나방(Heliothis assulta Guenee)의 배자 발생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에서 우화시킨 성충의 난(卵)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배자발생기간을 조사하였으며, 에서의 조직분화 및 기관형성과정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卵)은 적도직경 0.53mm, 높이 0.56mm인 구형이며, 표면에는 정방형(正方形)의 요철(凹凸)무늬가 있고, 난(卵)의 정부(頂部)에는 1개의 micropyle이 있었다. 2. 담배나방의 배자발생기간은 20, 25, 30, 에서 각각 147, 81, 61, 67시간이 있으며 에서의 배자기 치사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3. 난(卵)의 외형(外形)은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색깔 및 무늬의 변화가 뚜렷하였으며 발생시간에따라 특징적이었다. 4. 에서는 배자발생이 시작된 후 14시간이 경과하면 기관형성이 일어나며, 44시간 경과 후에는 소화기관 형성이 완성되고, 80시간 후에 부화하였다. 5. 발생 초기에 난(卵)의 장축을 따라 형성된 배자는 발생시작 24시간 경과 후에는 회전하고 , 이어서 배의 장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머리부분이 micropyle을 향하여 부화시까지 고정되었다.
        4,000원
        204.
        198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0년도부터 우리나라 Burley 종 잎담배산지에서 엽맥에 녹대병상 또는 괴저증상을 나타내는 새로운 병징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기주범위조사, 항혈청반응, 물리적성질조사,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한 전염여부 및 바이러스 입자 관찰을 통해 이들은 서로 병징을 달리하는 PYY의 두가지 계통으로 밝혀졌다. 이 계통들은 잎담배포장에서 자연감염에 의해 나타난 주요병징에 따라 엽맥연대계통 (PVY-VB)과 엽맥괴저계통 (PVY-VN) 으로 명명하였다. PVY 항혈청과 이 계통들의 이병즙액을 반응시킨 결과 양성반응을 나타냈으며 그 반응에서는 두계통간의 차가 없었다. 이들과 병징이 유사한 tobacco etch virus 및 tobacco vein mottling virus 항혈청과의 반응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냈다. 전자현미경에 의해 약 730 nm의 사상형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으며 그 형태와 크기에는 두 계통간 차가 없었다.
        4,000원
        205.
        198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름과 식물즙액에 의한 TMV 감염억제효과는 공시한 6종의 비름식물중 비름이 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비름즙액의 물리화학적성질중, 내열성은 , 내보존성은 1일, 내희석성은 1/4 희석농도까지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수소이온 농도의 변화에는 매우 안정된 성질을 보였으며, 특히 산성영역에서는 모두 이상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비름즙액을 활성탄으로 처리하였을 경우는 TMV에 대한 억제효과는 거의 소실되었다. 비름즙액에서 추출한 단백질은 전기영동결과, 3종의 주성분으로 분리되었고 이들 중 top 성분에서 TMV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비름즙액의 실용화를 위한 도말액 효과특속성은 2회 관수에서 정도의 억제능을 보였다.
        4,000원
        206.
        198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1982-1983 ]년 사이에 한국인삼연초연구소 음성시험장의 세균성마름병 상습발병포지에서 이 병의 방제체계 확립을 위해 시험한 결과 1. 세균성마름병은 세균증식에 적합한 온도와 토양습도가 주어진 7월하순8월하순에 가장 큰 피해를 나타냈으며 토양훈증제처리구 및 저항성품종재배구에서는 병발생이 적고 느리게 나타낮다. 2. 세균성마름병의 방제효과는 감수성품종인 NC23 26에 비하여 저항성품종인 NC82의 무처리재배의 경우 의 방제효과를 보았으며 토양훈증제처리에 저항성품종인 NC82를 재배 할 경우 의 방제효과를 보았다. 경종적처리에서는 무처리재배에 비하여 로 낮게 나타났으며 저항성품종이나 토양훈증제를 함께 사용 할 경우 그 상승효과는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3. 세균성마름병의 종합적인 방제체계확립은 경종적처리(춘추경, 잔간근제거, 조기이식, 피복물제거)에 토양훈증(Cylon)를 10a당 40l 토양관주한 후 저항성 품종(NC82)을 재배할 때 이상의 방제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4,000원
        207.
        198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에 의(依)한 담배의 액아발생(腋芽發生)에 관(關)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조생종(早生種)인 hicks와 만생종(晩生種)인 kusaga mammoth에 MH, GA, BA의 농도를(濃度)를 달리해서 단독(單獨) 또는 혼용처리(混用處理) 하였을 시 액아발생(腋芽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한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적심(摘心) 직후(直後) MH900g(a.i.)/ha 처리(處理)는 액아발생(腋芽發生)을 완전히(完全)히 억제(抑制)시켰지만 농도(濃度)가 감소(減少)함에 따라 품종(品種)에 관계(關係)없이 액아(腋芽)가 발생(發生)하였다. 무적심(無摘心) 개체(個體)에서도 비슷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적심(摘心)한 개체(個體)에서는 GA와 BA의 여느 농도(濃度)에서 혼용(混用)을 하여도 MH가 첨가(添加)되면 액아(腋芽)가 발생(發生)하지 않지만 무적심(無摘心) 개체(個體)에서는 MH 900 g(a. i.)/ha에 BA와 GA의 농도비(濃度比)가 10:1로 혼용(混用)될 때는 액아(腋芽)가 발생(發生)하였다. 무적심(無摘心) 개체(個體)에 GA와 BA 처리(處理)는 액아발생(腋芽發生)에 아무런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적심(摘心)한 개체(個體)에 GA와 BA의 단독처리(單獨處理)는 농도(濃度)가 높아짐에 따라 액아발생(腋芽發生)을 증가(增加)시키며 혼용(混用)하였을 때에는 antagonistio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4,000원
        208.
        198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1980-1981 ]년 사이에 전국의 14개 주요 담배 재배지역으로부터 채집, 분리한 담배 세균성마름병균(Pseudomonas solanacearum)의 가지, 토마토, 고추, 감자 및 담배에 대한 병원성반응을 조사한 결과, race 1 및 race 2에 속하였으며 또한 이 균주들의 생리적 특성 15종을 조사한 결과 biochemical type 1과 4로 판명되었다.
        4,000원
        209.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은 붕소시용이 잎담배의 생리적특성과 입고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황색종인 NC2326, Coker 86을 공시하여 입고병포장에서 실시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붕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지상부의 생장이 지연되었고 간장은 낮아졌으나 붕우시용구에서 세근발달이 억제되고 뿌리의 부패율과 입고병이병율이 크게 감소 되여 입고병발생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었다. 2. 수량은 10a당 붕소 또는 붕산 시용구에서 높았고 붕소시용에 따른 증수경향은 NC2326에서 컸다. 3. 건엽중의 Phenol 화합물은 붕소시용구에서 증가하였고 입고병저항성이 큰 Coker 86에서 더 많았으며 니코친합량은 붕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4,000원
        210.
        198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나방(Heliothis assulta Guenee)의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과 Thuricide 의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암컷의 산란전기간은 평균 3.0일(일)이었으며 산란기간은 평균 4.75일(일)이었고 산란후기간은 평균 3.5일(일)로 성충의 수명은 약 11.25일이었다. 2. 일당 산란수 빈도는 60개80개가 가장 많았으며 각 온도에서 산란수는 에서 각각 307개, 413개, 189개로 에서 난수가 가장 적었으며 일 때 난수가 가장 많았다. 일당 산란수는 평균 64.05개 (개)였고 총산란수는 평균 304.25개 (개)였다. 3. 난기간은 에서 각각 평균 7.71일 (일), 4.12일(일), 3.58일(일)이었고 부화율은 각각 로써 에서 가장 높고 에서 가장 낮았다. 4. 유충의 전 발육기간은 에서 각각 평균 43.5일, 21.79일, 18.05일을 소요하였고, 유충의 치사율은 에서 각각 였다. 5. 용 발육기간은 에서 각각 평균 24.22일(일), 12.36일(일), 11.50일(였고, 용기 치사율은 에서 각각 였다. 6. 발육영점온도는 난이 , 유충이 , 용이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난, 유충과 용이 각각 60.41일도, 319.35일도와 222.66일도였으며 담배나 방의 발육영점온도는 였고, 유효적산온도는 60 2.42일도였다. 7. 발육과 온도와의 관계에서 Y=-4.272X+155.39 (r=0.9105), (Y=전 생육기기간을 완료하는데 소요되는 일수, X=처리온도)를 얻었으며 실측치와의 오차는 일로 생육단계 특히 유충기와 개체간 생리적 차가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8. Thuricide 분무처리 시 치사율은 평균 였고 Bait처리 시 치사율은 평균 였으며 처리간에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처리시기나 약량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4,000원
        211.
        197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북 전매지청관내 14개조합 산하 51개 포장에서 담배 기생선충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포장에 대한 선충의 검출률은 이었다. 2. 선리속별 검출포장수는 Tylenchus가로 가장 높고 다음이 Aphelenchus, Tylenchorhynchus , Meloidogyne , Criconemoides Pratylenchus, Hirschmaniella 의 순이였다. 3. 지역별 선충속별 밀도는 Pratylenchus는 영덕이 43으로 가장 높았고 Tylenchorhynchus는 진보, 금천, 영양, 영천이 46-48로 높았으나 전지역에서 검출되었다. Tylenchus는 영일 408, 김천 372, 상주 281의 순이나 전지역에서 검출되었다. Meloidogyne는 진보를 제외한 전 지역에 나타났으나 금천이 168로 가장 높았다. Xiphinema는 의성이 26으로 가장 높고 다음이 상주 12, 영덕 7의 순이였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담배에 기생하는 선충은 11과 16속 18종이 발견되였으며 이중 12종은 우리나라 담배에서는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3,000원
        213.
        197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나방의 각태별 발생소장을 조사하여 정확한 방제적기를 알고자 Black light-trap 및 실수조사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충은 연3회 발생하며 5월하순부터 월동용에서 우화하여 제일회는 6월하순-7월상, 중순, 제2회는 8월중, 하순, 제3회는 9월 중, 하순이었다. (2) 란은 7월초순부터 계속 증가하다가 8월하순-9월초에 최감기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회수는 뚜렷치 않았다. (3) 유충은 3회발생으로 회수가 뚜렷치 않고 7월초부터 발견되며 7월하순-8월초순에 최감기를 보이고 10월중순까지도 계속 볼 수 있었다. (4) 란기생봉의 기생율은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으나 란의 밀도와 기생율과는 관계가 있으며 9월하순까지 평균 의 기생율을 보였다. (5) 란 1위에 기생하는 기생봉수는 1-4마리이고 그 빈도는 1마리의 기생이 , 2마리의 기생이이었다.
        3,000원
        214.
        197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잎담배에 발생하고 있는 바이러스의 종류와 감염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주지방에서 Burley종 (Burley-21) 20개체, 부천연초시험장 포장에시 황색종(Hicks) 20개체를 병징별로 채집하여 혈청학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했다. 검정대상 바이러스는 Tobacco mosaic virus(TMV), Cucumber mosaic virus(CMV), Alfalfa mosaic virus (AMV), Potato virus X(PVX) 및 Potato virus Y(PVY)등 5종으로 TMV, AMV, CMV는 한천내확산법으로 PVX, PVY는 미량침강법으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시이병개체중에서 TMV, CMV, AMV, P X 및 PVY 등 5종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2. 조사된 40개체중 각 바이러스의 감염율은 AMV , CMV , TMVPVY, PVX의 순이었다. 3. Burley종에서는 TMV감염율이 로 황색종의 보다 현저히 낮았다. 4. 조사된 각 개체는 단독감염으로부터 2-4종의 바이러스로 다양하게 혼합감염을 나타냈으며 이 중 단독감염이 , 혼합감염이 이었다.
        4,000원
        215.
        197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담배 야화병은 비교적 기온과 습도가 낮은 , 6월 상순부터 중순에 걸쳐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기온과 습도가 점차 높아지는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 사이에 더욱 빠른속도로 발달했고 7월 중순 이후 8월에 걸친 계절적인 폭풍우가 답배의 잎에 기계적 상해를 줌으로써 야화병의 감염을은 최대로 증가됨을 볼 수 있었다. 2. 약제처리로서는 히도마이신 300-350 배액을 발병기에 2-3회 살포한 것이 가장 효과적이어서 결과적으로 감염율을 까지 감소시켰다. 3. 크로르피크린에 의한 이식전 토양 처리 (10l/10a)는 기타 병해의 방제를 겸해서 본 병의 피해를 월등히 감소시켰으며 본 포에서의 e담배 생육 상태에도 무처리구에 비해 왕성하였다. 4. 이상의 실험예서 담배 야화병의 효과적인 방제는 조기재배에 의한 수확기의 단축과 6월 상순에서 중순까지의 발병기에 적절한 약제의 살포 그리고 이식전의 토양처리 등을 함으로써 이룩될 수 있다고 본다.
        3,000원
        216.
        196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오동나무천구소병 바이러스의 매개충을 구명하기 위하여 착수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오동나무천구소병의 이병수에 모여드는 흡수성곤충 중에서 가장 발생이 많았던 곤충은 담배장님노린제며 난, 약충, 성충이 8월 중순부터 10월 하순까지 발생하였다. 2) 담배장님노린재가 오동나무천구소병 바이러스의 매개곤충임이 구명되었다. 3) 담배장님노린재에 의하여 오동나무천구소병 바이러스를 접종한 결과 오동나무유식물에서는 접종 후 20일만에 발병을 보았고 접종 40일만에 오통나무천구소병 특유의 병징이 발현되었다. 4) 접종실험을 통해서 확인된 오동나무천구소병 바이러스의 기주식물은 오동나무 이외에 금잔화 및 나팔꽃이며, 일년감당근과꽃 백일흥코스므스대두질경이 등에서는 충접종 후 2개월까지도 뚜렷한 발병을 확인할 수 없었다. 5) 금잔화와 나팔꽃은 발병까지의 잠복기간이 짧고 병징발현이 뚜렷한 점으로 미뤄 오동나무천구소병 바이러스의 유망한 검정식물로 생각된다.
        4,000원
        217.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화장품 시장에서 안티폴루션 효능이 있는 화장품은 새로운 피부 건강을 위한 해결책으로 나타나고 있다. 외부(대기) 오염물질에 의해 피부의 산화 기전을 매개하는 주요 원인 인자들로 오존, UV, 미세먼지 및 담배연기 등을 꼽을 수 있다. 담배 연기의 노출은 직⋅간접적으로 피부 표피 내 지질의 산화를 야기한다. 피부의 지질 산화에 의해 squalene과 squalene monohydroperoxide의 비율 변화가 발생하고, malondialdehyde (MDA)가 지질산화 산물로 생성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배연기 노출 시 발생하는 피부 산화에 대하여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방지할 수 있는 효능이 있는지에 대하여 MDA의 생성량으로 관찰하였다. 시험대 상자 전박부를 세 영역(음성대조, 양성대조, 시험제품)으로 나누어 각 지름 3.3 cm의 원으로 구획하고, 15분간 담배연기에 노출 후 피부 표면으로부터 지질막을 걷어낸 후 TBARS assay를 통하여 MDA를 정량 하였다. 음성 대조(무도포, 미노출)에 비해 양성대조(무도포, 담배연기 노출)의 MDA 생성량이 3.7배 증가된 결과로, 오염물 질인 담배연기에 의한 피부의 산화적 손상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을 미리 도포한 영역은 양성대조에 비해 MDA 생성량이 25%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담배연기 노출은 피부 표피 내 지질 산화를 야기하며, 레드비트를 함유하는 화장품이 이러한 대기환경오염으로부터 방어적 효과(안티 폴루션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21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control method for Bemisia tabaci (Gennadius) on eggplant using sticky trap metho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sticky traps, the attractiveness of the B. tabaci was the highest in the yellow trap, followed by the green and orange. However, white, blue, red, black and green sticky traps have reduced attractiveness of B. tabaci.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attractiveness of sticky trap to the B. tabaci, the different kinds of sugars such as glucose, fructose, oligosaccharide, starch syrup and pure sugar were added to sticky traps respectively. However, the effect of B. tabaci attractiveness was low in starch syrup, pure sugar, and non-treated sticky traps. The attracting effect of B. tabaci wa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sticky trap. The highest value was obtained where sticky traps were located in the top of the eggplant, followed by 30 cm above from the top level. In addition, we were installed up to 40 sticky traps to determine the optimal amount of sticky traps to control B. tabaci in eggplant. When increasing the sticky traps, the number of adult and nymphs of B. tabaci were tended to be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tendency was more effective in the latter stages than in the early stages. As the number of sticky traps increased, not only the growth rate of eggplant, leaf length, and stem diameter were to be better. But also number of fruits and product marketable value were in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growing as well. The study had proven that the sticky traps had an effect on increasing the yield at the early stage of growth, but the efficiency of controlling decreased due to the high density of B. tabaci of the next generation.
        219.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effective control of insect pest which can outbreak in a field during crop cultivation, various control agents such as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EFAM) including microbial control agents and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applied at fields and these control agents may be treated simultaneous or sequential in the same field to suppress diverse pests and diseases. The agents may influence each other and control efficacy may also differ from interactions. Therefore we need to test compatibility of microbial control agents with other agricultural ag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nfluence of pre-treated EFAMs, which are registered for whitefly control in greenhouse, on germination, mycelial growth and control efficacy of Isaria javanica isolate against sweet potato whitefly. The results showed that a mixture of paraffin oil+cinnamon oil among 4 EFAMs highly reduced germination (8.9±1.3%~24.5±0.9%) and mycelial growth (0.81±0.01cm~0cm) of I. javanica.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interval between EFAMs and I. javanica on sweet potato whitefly control, four different EFAMs were pre-treated 0, 1, 4, and 7 days before applying I. javanica. Pre-treatment of four EFAMs inhibited insecticidal activity of I. javanica against sweet potato whitefly. Therefore when EFAMs and a mycopesticide using I. javanica spray simultaneous or sequential, application of EFAMs need more than 7 days interval after treatment of mycopesticide at field.
        220.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ssessing green plant biomass through remote sensing on global scale since the early 1970s. The concept of NDVI is based on the fact that green plants show higher reflection in near-infrared region than in visible region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However, it is well known that the relocation of chloroplasts in plant leaf cells may dramatically change the optical properties of plant leaves. In this study I traced the changes in th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properties of Tobacco leaves at the wavelengths of 660 and 800 nm after a sudden increase in light intensity. The results showed that NDVI of leaves gradually decreased from 72.7% to 69.9% when exposed to a sudden increase in light intensity from 30 to 1,200 μmol/m2 · s. This means that the error resulting from the physiological status of the plant should be accounted for a more precise understanding of ground truth corresponding to the data from the remotely acquired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