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수원 성균관대학교 내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FDR) 토양수분 측정 장비 및 COSMIC-ray 중성자 측정 장비를 통한 토양수분 지점 관측 사이트를 확립하였다. 또한 양질의 토양수분 데이터 확보를 위해 연구지역 내 토질실험, 토질별 FDR 토양수분 데이터 및 COSMIC-ray 중성자 개수의 시계열 분석, 관측한 토양수분 데이터와 위성 기반 토양수분 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2014년도부터 6개 지점에서 표층으로부터 5 cm에서 40 cm까지 총 24개의 FDR 센서를 5~10 cm 깊이별로 설치하여 토양수분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해당 지점들 의 토질 분석결과, Sand에서 Loamy Sand까지의 다양한 토질이 불균질한 층을 이루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측정된 토양수분 데이 터는 강우 데이터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며, 위성 산출 토양수분 데이터와의 비교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와 낮은 평균제곱근편차(Root mean square deviation, RMSD)값을 보여주었다. 2014년도 설치 지역 토양수분 데이터의 신뢰도가 확보됨에 따라 2015년도에는 10개의 FDR 토양수분 측정 장비 및 COSMIC-ray 중성자 측정 장비가 추가로 설치되어 성균관대학교의 Soil Moisture site with FDR and COSMIC-ray (SM-FC) 연구지역이 구축되었다. SM-FC에 설치된 COSMIC-ray 중성자 측정 장비의 최초 검증을 위해 2015년 8~11월의 COSMIC-ray 중성자데이터 및 FDR 토양수분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중성자기반 토양수분 값과 전체 지점 FDR 토양수분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상관계수 0.95). 이러한 연구를 통해 성균관대학교 SM-FC는 향후 한반도 지역 위성 및 모델 토양수분 데이터를 검증하는 대표 연구 지역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벼리】프랑스에서 한국 문화와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으며 학습자 또한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증가에 비해 프랑스 내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유용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파리 7대학교의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실제 진행했던 시 사강독의 수업을 바탕으로 프랑스 고급 학습자들의 읽기-쓰기 수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제한된 교과 수업을 벗어나 한국의 실제성을 보여주는 신문자료를 활용함으로써 나타나는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신문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벼리】일본 내 대학교 교양목적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문화에 관한 가장 큰 문제점은 대상자 요구를 반영한 한국 문화 교재가 없다는 점 이다. 현재 수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에는 한국 문화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교양 목적 한국어 학습자 를 대상으로 한 한국 문화 교재도 개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논 문에서는 교양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특징 및 요인을 고려하여 학습 자가 한국 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고 교수가 부담 없이 실제 교육에서 부교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 문화 교재 개발 방안 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ven though consumers’ concern about food-safety certified or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becomes one of the main issues of food consumption in Korea, university students’ interest about food-safety certified or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was not often discussed. We realized that the cafeteria of university is one of the largest consumption points for the chicken mea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ried to analyze university students’ consumption of food-safety certified or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at the cafeterias of university.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conduct survey analysis about the students' behavior for consumption of food-safety certified or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at the cafeterias of university and to measure WTP(Willingness-to-pay) for the food cooked with foodsafety certified or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The results present that most of students show higher preference of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than food-safety certified chicken meat, and that they can pay 1,329.9 Korean won for food cooked with environment-friendly chicken meat.
본 연구는 한국어 읽기 교육 중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Extensive Reading’(이하, 열린 읽기)을 한국어 수업과정으로 도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 현장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방안의 제시를 위해 일본 내 대학 중 일본어 교육(JSL)을 실시하고 있는 早稲田大学(이하, 와세다 대학)의 열린 읽기 수업을 모델로 삼아 열린 읽기 수업의 한국어 수업 도입 방안을 모색했다. 그 결과, 열린 읽기 수업의 도입을 위해서는 첫째, ‘수업의 다양화’, 둘째, 교사들이 많이 지적한 부분으로 ‘학교의 제도개선 및 지원’, 마지막으로는 ‘교사와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This study investigates current states of college-level English medium instruction (EMI) focusing on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In spite of increasing popularity of EMI in Korea,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on current states of EMI in universities located in non-metropolitan areas. This study explores this issue with a special reference to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classified as their English proficiency level and future direction of EMI.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24 students who took EMI in 2011. The survey indicates that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MI depends on students’ linguistic readiness and that policy support is needed.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 S. Eliot at his alma mater, Harvard University, which he attended for seven years from 1906 to 1910 and from 1911 to 1914. Despite Eliot’s academic records displaying a range of subpar grades during his first and second years at Harvard, he succeeded in obtaining his BA and MA in four years. Simultaneously, Eliot contributed his early 10 Harvard poems including “Song: When we came home across the hill,” “Song: If space and time, as sages say,” “Before Morning,” “Circe’s Palace,” “On a Portrait,” “Nocturne,” “Humouresque,” “Spleen,” and “Ode” to The Harvard Advacate. Along with the French Symbolist poet Jules Laforgue, Irving Babbitt, professor and critic of New Humanism during his master’s course, Josiah Royce, pioneer philosopher at Harvard Department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George Santayana, philosopher of pragmatism, Bertrand Russell, visiting professor to Harvard from Cambridge University during his doctoral course, deep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Eliot’s poetic style and visions of Nobel laureate. A number of Eliot’s invaluable materials including his doctoral dissertation, Experience and the Objects of Knowledge in the Philosophy of F. H. Bradley, are now preserved at Harvard Houghton Library, which may be accessible only with a permission letter from Valerie Eliot.
초등 음악교육은 아동의 성장기에 있어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미적감수성을 불러일으키는 교육제도로써, 무엇보다 음악을 접하고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초등음악을 가르치는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은 그 역할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앞서 여러 차례 진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발된 프로그램은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고, 최소단위로 축약시켜 놓은 ‘필수학습 내용’ 요소에 불과하여 실제적인 적용단계에서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전국 교육대학교에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10학년도 교육대학교 음악관련 교과목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해봄과 동시에 지난 연구들에 대한 실효성을 되짚어 보고 문제점을 다시 조명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교육의 성공적 요인으로 중시하는 ‘글쓰기 교과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여, ‘글쓰기 교과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전남대학교에서 지난 4년 동안(2005-2008) 개발하여 운영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내용 분석 결과, 글쓰기 교과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유형은 ‘글쓰기 강사 워크숍’, ‘특별 연수 프로그램’, ‘더 나은 가르침을 위한 교수공동체’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었다. ‘글쓰기 강사 워크숍’의 주제는 교재 분석, 강의안 개발, 피드백 사례 공유 등이었다. ‘글쓰기 강사 워크숍’의 효과 분석을 위해 9차 워크숍에 참여한 43명의 강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분석 결과, 워크숍은 실제 강의에 도움이 되며, 워크숍에 많이 참석한 강사들이 적게 참석한 강사들보다 강의에 어려움을 덜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교과 개선을 위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과 관련하여 유념해야 사항을 ‘프로그램 목적의 명료화’, ‘워크숍 참여의 의무화’ ‘평가의 중요성’ 등 세 가지로 나눠 논의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사양성 프로그램을 진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실친화적 교사양성 기본체제 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실친화적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요소(수업 능력요소, 생활지도 및 학급경영 능력요소, 자기개발, 교직 품성)에 대한 학내 구성원(재학생, 졸업생, 교수)들의 중요도와 현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진단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사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31.2%만이 한구교원대학교의 교사양성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응답자들은 능력요소별 잔단에서도 모든 능력요소(하위요소)에 대하여 능력요소의 중요도에 비하여 현재 제공 정도가 낮다고 응답함으로서 교실친화적 교사양성 프로그램의 개선 요구(중요도와 현재의 차이)가 강하였다. 특히, 생활지도 및 학급경영 능력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능력요소별로 살펴보면, 수업 능력요소에서는 학습자 이해 능력과 언어적 표현 능력 그리고 수업활동 전개 능력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생활지도 및 학급경영 능력요소에서는 상황 이해 및 대처 능력과 학생관리 능력과 학습관리 실무 능력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자기개발 능력요소에서는 반성적 성찰능력이 그리고 교직품성 능력요소에서는 학생인권의식과 이간애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Campus landscaping has been disregarded in its importance so long and there were cases little attracting even in designing and constructing campus-scap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at not only providing an emphasis on the role of landscape in campuses having been negligible by far, but seeking for possible initiatives to drive it out actively. As for the part of campus landscaping plans, we focus on extramural landscape best fit for its customized functions, and harmonious spacial relationship from one location to other within the campus as well as connectivity bridging between in and out of the buildings in such a way of inspiring organic spacial order as a whole in the campus. It also takes an analytic outlook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futuristic perspective as well in an attempt to organize creative campus-scape, while making assessment of what kind of specified problems exist recently with regard to functional and landscape-related aspects in external spaces of the campus targeted for this study. We hope our effort in pursue of landscape-oriented campus environment would be of great help to renovate the college image just acting as a concern of only the campus constituents until now. Furthermore, it may expectedly serve to activate research/learning programs in connection with neighboring industrial firms, which affords effective accessibility to the colleges. Landscaping undoubtedly play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territories conducive to spiff up the advertisement and image of campuses.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한국어 과목의 개설 상황 및 학습자 수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최근 일본의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한국어 과목, 그리고 한국어 학습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공통점도 있으나 다른 문제가 있기도 하다. 고등학교에서는 교육의 기준이 없는 것과 한국어를 포함한 제2외국어 영역이 없는 것이 큰 문제점이다. 대학교에서는 전문성이 있는 교원의 확보 및 소인원수 교육의 실현이 과제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