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교원교육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26권 제5호 (2010년 10월) 8

1.
2010.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구안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이들의 언어폭력 예방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언어폭력의 정의와 유형, 그리고 언어폭력 유발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언어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의사소통훈련 방법을 제시하였다. 의사소통훈련 방법에는 자기표현하기, 경청하기, 공감하기, 문제해결하기의 4가지 구성요소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토대로 언어폭력 예방을 위한 총 11회기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은 경기도의 H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구자관(2007)의 언어폭력 검사지를 전문가들의 자문을 얻어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언어폭력을 감소시켜 언어폭력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최근 초등학교 고학년의 언어폭력이 나날이 심각해짐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한 예방프로그램이 거의 없는 실정을 감안할 때, 언어폭력상황에서 직접 실천할 수 있는 활용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2.
2010.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aims to look into what level of understanding high school students have about basic concepts of genetics and what difficulties they have in their learning genetics. The instruments used were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a semi-structu
3.
2010.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학습자가 화라는 영역을 경험하는 데 있어 쉽고 재미있게 느껴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우연적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초등학생들이 다양한 재료나 기법을 탐색해 보는 활동을 통해 흥미를 갖고 저항감 없이 표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쉽고 의욕적인 활동을 통하여 창의적인 표현력이 길러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화의 다양한 기법과 현대 한국화의 우연적 기법을 활용한 작가의 작품들을 연계하여 초등학교 수준에 맞는 내용을 선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종이와 먹의 새로운 탐색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의 전통미술인 한국화가 학생들의 미적 안목을 신장시키고 삶과 연결된 미술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안을 실천적으로 연구해 나가고자 하였다.
4.
2010.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 음악교육은 아동의 성장기에 있어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미적감수성을 불러일으키는 교육제도로써, 무엇보다 음악을 접하고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초등음악을 가르치는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은 그 역할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앞서 여러 차례 진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발된 프로그램은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고, 최소단위로 축약시켜 놓은 ‘필수학습 내용’ 요소에 불과하여 실제적인 적용단계에서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전국 교육대학교에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10학년도 교육대학교 음악관련 교과목들의 교육과정을 분석해봄과 동시에 지난 연구들에 대한 실효성을 되짚어 보고 문제점을 다시 조명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5.
2010.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8년부터 한국교원대에서는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에 대한 이론적 준거를 연구해 왔으며, 2009년에는 교실친화적 교사의 개념을 정립하고 각 교과별로 실제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의 양성과 교원 임용 시험의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전문가 협의회 및 포럼 논의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의 개념은 ‘학교의 기술실 및 교실에서 바람직한 교육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적 능력을 지니고 이를 실행하는 기술 교사’로 정의하였다.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한국교원대 기술교육과에서는 교육과정을 개편하였으며, 임용시험에서의 논술형 문제에 대비하기 위하여 ‘기술 논술’ 과목도 신설하였다. 그리고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원 양성을 위한 기본이수과목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술교육과 교육과정을 개편하였다. 2009학년도 기술 교사 임용시험 문제를 분석한 결과, 대학의 교육과정 과목과 임용 시험의 출제 비율 및 출제 범위가 일치되지 못하는 부분은 추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
2010.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Borenstein 등이 주장하고 있는 메타분석과 최근 산업조직심리학 내지 조직행동 분야에서 지지를 얻고 있는 Hunter-Schmidt 메타분석에 대해 방법론적 측면에서 비교분석하고, 아울러 각각의 메타분석 방법론에 기초하여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메타분석 하는 것이다. 우선 메타분석 여러 절차 중 메타통계분석 및 분석결과 제시에 초점을 맞춰 상이한 분석방법과 절차 및 결과 해석 등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방법론적 차이점들은 신뢰구간과 확신구간, 측정오차 등 오차의 교정, 피셔 z 전환값 사용 여부, 효과크기 비교, 동질성 검사 여부, 각각의 전용 메타분석 프로그램 등 6가지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비교분석과 병행하여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상관관계를 Borenstein 등의 메타분석 방법과 Hunter-Schmidt 메타분석 방식에 기초하여 각각 CMA 프로그램과 Hunter-Schmidt Meta-Analysis Programs를 이용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7.
2010.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공교육'의 위기를 부르짖는 목소리가 높다. 많은 진단과 대책이 나와 있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한 채, 오히려 혼란이 더욱 가중되는 느낌이다. 그 이유는 '공교육' 자체에 있기보다는 '공교육'을 바라보는 시각, 즉 교육관에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공교육의 정상화'를 둘러싼 논의들을 보면, 그것이 교육의 가치실현과 어떤 관련을 맺는지가 불분명하다. 이 글에서는 '학교가 교육하는 곳'이라는 제도중심의 교육관과, 교육을 그 기능으로 치환하는 기능주의적 교육관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학교와 교육을 구분하는 시각에서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논하고, '학교교육'과 '공교육'의 차이에 대한 논의를 덧붙였다. 그것을 다시 현행 '교사양성과정'에 적용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공교육 정상화' 논의의 문제점은 학교 급별로 전개되는 제도적 실천과 교육의 자율적 양상을 적절하게 구분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 때문에 교육에 관한 타당한 인식의 정립에는 '상식과의 거리두기'와 '타 학문과의 거리두기'라는 두 가지 원칙이 철저히 지켜져야 한다.
8.
2010.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CT를 기반으로 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새로운 기법을 제공하는 기술 공학적 도구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그에 따라 학교 대수교육도 그 요구에 부응하도록 변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AS 계산기의 활용이 학습 부진 학생들의 이차방정식 개념 이해와 풀이 방법에 미치는 효과와 학습 과정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이차방정식의 수업 현장에서 적합하고 효율적인 공학적 도구 사용에 적절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M중학교 3학년 학생 중에서 이차방정식 풀이에 어려움을 겪는 3명을 연구 대상으로 5차시의 CAS 계산기 활용 수업을 한 결과, 학생들은 이차방정식에 대한 개념 이해 및 풀이 방법에서 상당한 진전을 보였다. 또, 학생들은 스스로 사고 과정을 반성하고, 수학적 표현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수학 수업에의 흥미와 학습의욕을 증대시키고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여 수학적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