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교원교육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29권 제1호 (2013년 1월) 8

1.
2013.0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마트 기기의 폭발적인 보급에 힘입어 이를 교실 현장에 적용하려는 스마트 교육 움직임이 크게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몇 가지 선행되어야할 조건이 있다. 그 중 하나가 스마트 기기에 교육자료를 탑재하여 실제 교육에 적용하였을 경우 일반 수업에 비하여 얼마나 효과적이겠는가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 정보과학 영재학생들을 위한 스마트 앱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스마트 교육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 수업 만족도를 측정하여 활동지를 사용하는 전통적 수업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2.
2013.0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교사자격 세부기준의 개정에 따라 교직소양 과목의 하나로 개설된 「교직실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대학에 적용한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교직실무 관련 교재와 타 대학의 강의계획 사례분석을 기초로 교재를 제작하고 강의계획을 수립하여 적용하였다. 교과부고시에 따르면 이 과목은 ‘교사로서의 학습지도 능력 이외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영역을 주제별로 운영토록 되어있으며, ‘교직윤리’, ‘사회변화와 교육’, ‘학생문화’, ‘학급관리와 학생지도’ 등을 포함토록 되어있다. 이 과목은 교직관 형성을 위한 교사론,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학급운영, 그리고 제도적 이해를 위한 학사․인사 등 3개 주제로 구성하였다. 강의방식과 쟁점 관련 토론방식을 병행하였고, 실무실습 보고서 평가와 무감독 시험방식을 병행했다. 수업 후 수강생에 대한 의견조사와 담당교수 간의 협의를 통하여 운영상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과제를 제시하였다. 교직이론 과목을 비롯하여 교육실습 활동과의 연계 운영의 필요성과 교직실무 과목 내용 구성을 위한 학회 차원의 논의를 제언하였다.
3.
2013.0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as mediation in a Korean EFL beginner writing context. The theories of Vygotsky's socio-cultural learning 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take into account the background of the stu
4.
2013.0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시행중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지표를 좋은 수업의 조건이라는 관점에서 기존의 선행연구와 평가지표를 비교 분석하여 논의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가 교사의 수업 개선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음은 분명하나 전문적 수업개선 평가라 할 수 있는 동료교원 평가의 경우 첫째, 수업 개선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둘째, 지식 전달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셋째, 수업의 바탕이 되는 학습조직과 학급분위기에 대한 고려가 없으며, 넷째, 활동의 적절성보다는 활동 여부에 초점이 있고, 다섯째, 평가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본래의 목적에 충실할 수 있도록 수업관찰시간을 확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해당 교사에게 제공하고, 수업 분위기의 중요성에도 관심을 확대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확산적 사고, 구성적 지식을 촉진하는 수업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5.
2013.0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석교사제 법제화의 내용과 쟁점을 살펴보고,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석교사제의 적용 상황, 문제점을 파악한 뒤 현창 착근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제기된 수석교사제 관련 법령 쟁점 사항으로는 이원화 체제와 관련된 수석교사제 도입 목적의 문제, 수석교사의 위상과 역할 문제, 수석교사 자격요건과 선발기준 문제가 있었다. 제주특별자치도 초등학교 수석교사와 일반교사 8명을 심층 면담한 후, Colaizzi의 자료분석 방법에 의해 수석교사제 관련 경험을 들여다 본 결과, 법제화의 힘, 첫 단추의 스트레스, 이원화 취지에 맞게, 경쟁력 있는 수석교사라는 4개의 주제로 정리할 수 있었다. 수석교사제 관련 쟁점과 교사 면담을 통해 제기된 문제들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수석교사 지위에 대한 합의, 수석교사의 질 강화 노력, 업무 규정과 세부 매뉴얼 제작,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수 및 홍보 확대를 제시하였다.
6.
2013.0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의 진로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 관련 변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자기 관련 변인으로는 예비 교사들에게 중요하다고 판단되어진 외현적 자기애, 자기성찰, 자기통제력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북지역에 위치한 대학교 2개교에 재학 중인 사범대 학생들 225명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진로동기에 대한 외현적 자기애의 웅대성/자기칭찬과 주목의 욕구, 자기성찰, 자기통찰력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동기의 하위 변인인 진로정체감에는 외현적 자기애의 웅대성/자기칭찬과 주목의 욕구, 자기성찰, 자기통제력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동기의 하위 변인인 진로통찰력에는 외현적 자기애의 웅대성/자기칭찬과 주목의 욕구와 과장된 자기지각, 자기성찰, 자기통제력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동기의 하위변인인 진로탄력성에는 자기성찰의 자기이해와 타인이해, 자기통제력이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2013.0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습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를 거쳐 구안되었다. 조사단계에서는 중학생의 학습태도와 관련된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중학교 1학년 학생 157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전체 목적과 회기별 목표, 그리고 회기 수 등을 결정하였다. 설계와 구안단계에서는 잠정적으로 구안한 프로그램에 대해 이론전문가와 현장전문가의 자문을 받았다. 또한 연구대상 범위에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실시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용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30명을 선발하여 실험집단(15명)과, 통제집단(15명)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학습태도검사(2011)를 통해 두 집단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학습태도의 세 가지 영역인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학습습관, 태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학습태도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8.
2013.0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효과적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예비교사양성과 선발 과정에서 인성교육 강화 방안, 현직교사 인성교육 개선 방향을 제안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인성의 모델로서 인식되고 학생들의 인성발달을 관찰하여 적절한 처방을 제공하는 인성발달의 주요 행위자이다. 인성교육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 교사는 인성과 지식을 조화로운 발달시키는 촉진자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도덕적 인성, 시민적 인성, 지적 인성, 수행적 인성을 균형 있게 발달시키는 수업 전문가, 인성발달을 통해 창의성을 발달시키는 수업 설계자, 도덕적 성찰의 모델, 도덕적 문제에 대한 상담자 역할을 해야 한다. 교사를 유능한 인성교육자로서 양성하여 선발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 교육 과정에서는 교양윤리 및 시민적 인성 함양을 위한 공동체생활 교육 프로그램 이수, 지적 인성과 수행적 인성 함양을 위한 인성교육 교수․학습 실연 수업 강화, 인성발달에 대한 평가 교육 강화, 생활지도와 수업 실습으로 이원화된 교육실습 등 교원양성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교사 선발 및 임용에서는 교직적성심층면접의 인성 및 도덕성 평가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 현직교사 인성교육 및 연수에서는 인성 교수․학습 자료 연구․개발 지원 확대, 스마트 인성 교수․학습 자료 개발 인증을 통한 석사학위 취득, 봉사․체험 인성교육 연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