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나기>를 연구대상으로 발화행위 이론을 이용하여 다양한 언어 환경에서 나타내는 전형적인 언표내적 행위에 의해서 언표내적 행위의 목표, 지향성, 심리적 태도 이 세 가지 차원에서 소녀와 소년의 대화를 분석해, 소녀와 소년의 심리상태와 성격을 해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2장에서는 설의 이론을 대해 살펴볼 것이다. 설은 언표내적 행위의 목표, 심리적 태도, 지향성을 언표내적 행위의 분류하는 데에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 기준에 의하여 언표내적 행위를 진술 행위, 지시 행위, 언약 행위, 표출 행위, 선언 행위로 분류한다.제3장에서는 설의 언표내적 행위 분류 기준으로 <소나기>에서의 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정된 환경에서의 특정된 언표내적 행위 유형에 속하는 대화문을 분석함과 동시에 각 유형의 대화문수와 백분율을 통계해 보기로 한다.화용론적인 발화행위 분석을 통해서 소설의 주인공인 소년과 소녀의 성격 특징을 발견할 수 있는데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소녀의 지시 행위에 질문이 많고 금지의 심리적 태도를 나타내는 지시 행위도 있다. 표출 행위의 경우에는 소녀의 대화 비중이 소년보다 훨씬 더 높다. 따라서 <소나기>는 외향적이고 도전적이며 호기심이 많은 소녀를 기술하고 있다. 소년의 지시 행위에는 금지의 심리적 태도를 나타내는 것이 없다. 표출 행위의 경우에는 소년의 백분율이 소녀보다 훨씬 낮다. 따라서 <소나기>는 내성적이고 수동적이며 수줍음이 많은 소년을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고 코칭관련 지식과 기법을 익힐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긍정적 신념과 가치관을 형성하고 자신의 학습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 내용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절차는 먼저, 국내외 자기주도학습 관련 문헌 및 코칭프로그램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본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의 목표, 자기주도학습의 개념, 구성요소의 설정 및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의 개요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회기․2회기․3회기․4회기의 구성요인은 동기적 측면이고 5․6회기의 구성요인은 인지적측면이고, 7․8회기의 구성요인은 행동적 측면이다. 1․2․3․4회기의 하위요인은 자아개념, 내적가치, 목표설정, 개방성이고, 5․6회기의 하위요인은 문제해결력, 창의성이다. 그리고 7․8회기의 하위요인은 자율성, 자기평가이다. 1회기의 주제는 자아효능감, 2회기의 주제는 내적가치, 3회기의 주제는 목표설정이다. 4회기의 주제는 자신감 향상 5회기주제는 주의집중력 향상, 6회기의 주제는 학습전략 7회기의 주제는 시간관리, 8회기의 주제는 내면다스리기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foreign students' Korean language pragmatic competence in relation to speech exchange and communicative strategy exposed in the process by which a communicative task was effectively completed. This study designed and applied ‘information-gab tasks' like ‘picture-description tasks' for the realization of ‘referential communication' in which two speakers give and take the explanation about a specific object in a state where neither of them mutually share adequate information about it.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dialog data elicited by the task, it was found that learners were arriving at the co-construction of ‘identification of referent' and ‘role-taking' in various communication modes. At this point, the introductory/intermediate learners had difficulty carrying out such an interactive component in performance of the task. Even the type of feedback varied between the introductory/intermediate learners and the advanced learners. The utterance cla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photos was generally not revealed in a verbal sequence. The linguistic form of ‘-in geot gatda(seem to)' was frequently used with the effect of assumptive judgment strategy.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사회 및 정치에 대한 인식이 대학생들의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이다. 기존연구와의 차이점은 청소년기의 생활환경의 요소들을 중심으로 이러한 것들이 청소년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9년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실태자료를 참고하였으며 대학생 1363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SPSS 13.0을 통한 기술통계와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정치에 대한 관심도는 정치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둘째, 본인과 형제, 자매, 부모, 이웃과의 사회 정치 대화정도는 청소년 정치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대학생들의 매체 즉, TV, 라디오, 신문, 잡지, 인터넷 등을 통한 사회 및 정치에 대한 접촉정도는 그들의 정치의식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사회 및 정치에 대한 관심 및 담론의 기회를 넓히고, 다양한 매체를 통한 사회 정치의 참여의 경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실생활을 통한 청소년들의 사회 정치의식에 대한 교육의 접근방법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explore three models of Islam mission from a perspective of religious studies. Instead of traditional overemphasis on sudden conversion, these new models seek for social transformation. among Muslims. Due to the prejudice and misconception of Islam, we often fail to understand Muslims from their points of view.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Bible and Qur'an and the field research and interview of Mosque and Muslim communities help us to understand Islam sympathetically. Traditional studies of Christian-Muslim relations pay more attention to similarities between Islam and Christianity than differences. In order to enhance openness to Islam, partners in dialogue should be honest to their own faiths. Sharing faith with partners will lead to the mission of dialogue. This dialogue is not a tool for evangelism but the mission itself. World Council of Churches and Roman Catholics have particular guidelines for Islam mission. In conclusion, mission studies includes religious studies. Various methods of religious studies will strengthen Islam mission and its strategies in different areas.
탐구는 과학교육의 본질을 설명해주는 결정적인 특징이다. 최근에는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여 탐구하고 그것을 의사 소통하는 능력을 포함한 논증이 강조되고 있는데, 학교 탐구학습 맥락에서는 자율적이고 활발한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그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그래서 대안으로 비형식 맥락에서의 탐구학습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국립과천과학관 내 자연사관을 자유 관람하는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13그룹의 탐구적 대화 42사례를 대상으로 탐구요소 및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였다. 탐구요소는 문제제기, 자료수집, 설명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상호작용은 대화의 흐름을 화살표로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문제제기로부터 탐구가 시작된다고 보았으며, 문제제기 이후 후속적인 반응에 따라 유형이 구분되었는데, 총 7가지 유형이 발견되었다. 그 유형은 문제제기 공유, 문제제기-단순응답, 문제제기-단순설명, 문제제기-단순설명-(자료수집)-자료기반 설명, 문제제기-자료수집-자료기반 설명의 5가지로 크게 나누어지고,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유형 2는 다시 소극 회피적 응답, 부정확한 응답, 패턴의 반복으로 세분화되었다. 본 연구는 비형식 탐구학습에서 학교 탐구학습과 차별화되는 상호작용 패턴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지며, 비형식 탐구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형식 탐구학습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 발달을 위한 유아코칭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가정 및 보육시설에서 부모나 보육교사들에게 유아코칭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코칭 적용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코칭과 사회․정서에 대한 특징을 논의 하고, 둘째, 코칭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유아가 자기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도 효과적으로 행동하고 상호작용하며 반응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것을 사회․정서발달이라고도 불리운다. 따라서, 코칭대화법에 따라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의 내용을 보건복지부에서 발행한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 총론을 기초로 자기존중, 정서인식과 조절,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식 4개의 범주로 나누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전문가협의회, 대화관찰 등을 활용하였다. 유아가 성인 또는 또래와 유능하게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고, 타인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사회 ․정서 능력의 향상을 위해 사회․정서발달의 4개의 범주별 내용에 따라 가정에서 부모가 할 수 있는 코칭의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자료 분석을 통하여 유아 사회ㆍ정서 발달을 위한 코칭 사례가 유아의 사회ㆍ정서 발달의 자기존중, 정서인식과 조절, 사회적 관계, 사회적 지식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studies upon on the changing mission of world Christianity and interreligious dialogu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velop the interreligious dialogue as the new mission method in the changing world. In order to examine the contextual change of world Christianity mission, I used the Michael Amaladoss' analysis. According to him, the theory and practice of mission is in a crisis today. This crisis is the result of two related development: the field of mission, namely the world , has changed; the theology of mission has had a rather than rapid development in recent years. This study has three chapters: the first chapter was to study changes in the world based on the mission and interreligious dialogue. The second chapter intended to explore the interreligious dialogue as the mission method in the changing mission context. It is main chapter of this paper. In this chapter, the factors of interreligious dialogue, the three theological and missiological approaches on the other religious traditions, and the future prospect of interreligious dialogue were studied to assist world Christian churches. The contemporary churches have had difficulty in communicating the gospel in an changing context. This study will provide insights to dialogue with other adherents of religions. It is includes a six new paradigms of interreligious dialogue so that the Christian churches may respond to holistic nature of the gospel through the interreligious dialogue.
유아들의 놀이 도구 중 하나인 스토리 북 게임은 책을 펼친 뒤, 해당 내용을 눈으로 보면서 이야기 전개에 따라 해당하는 페이지로 이동하면서 이야기를 엮어가는 게임이다. 스토리 북 게임은 유아들에게 게임과 학습의 기능을 접목시킨 것으로 사고력 증진을 위해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시각적 효과의 한계와 청각적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매체와의 접목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현재의 도서와 멀티 미디어 매체의 접목은 수동적 접근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게임이 진행되는 동안 정확한 위치로 빠르게 이동하여 시각적, 청각적 효과를 제공함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스토리 북 게임용도서의 콘텐츠 상에 펜으로 갖다 대면 콘텐츠의 내용을 판별하고 펜에서 외부기기인 IPTV로 판별된 내용을 전달하고 TV로 콘텐츠의 내용을 출력할 수 있게끔 콘텐츠 패턴 인식 및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지능형 펜 설계를 제안한다. 이는 기존의 도서에서 제공되지 않는 출판물에 대한 직접 인덱싱 기능을 부가함으로 빠른 접근으로 게임 참여자인 유아들의 집중력 향상 및 이야기 전개의 재미를 높이는 효과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