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화물유통촉진법의 도시물류기본계획은 물류정책기본법의 지역물류계획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그 내용도 지역물류산업과 지역민의 경제여건, 생활여건을 개선 지원해 가는 방향으로 조정되었다. 그러나 조정된 물류정책기본법에서도 아직까지 현실과 지역 상황에 맞는 목표의 설정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계획, 그리고 이 추진계획들을 과학적인 평가 지표를 통해, 평가 및 개선을 피드백 할 수 있는 시스템적인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지역의 물류기본계획들을 검토하고, 향후 인천시가 지역물류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지표개발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효율적인 지역물류기본계획을 운영하고 관리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s throughout public design improvement project on the urban street space were compared and evaluated. Thermo-Render 3.0, 3D-CAD based thermal environment simulation program, had been used for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 evaluations.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clayey blocks which have low heat transfer rate and cool island effect by trees and roof gardens brought cooling effects for buildings and surface of streets.
Seconds, MRT values showed low levels because of low radiant mulching materials.
Thirds, roof gardens contributed to reduce heat island effect since HIP levels were affected by decreasing heat storage effect of buildings from roof gardens.
As a result, reducing heat storage effect throughout selecting and arranging proper materials which would not increase heat island potentials should be performed to improve heat island effects.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폭풍해일고에 따른 해안도시지역 내에서의 범람모의 및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적용된 대상지역은 2003년 태풍 "매미" 내습 시 가장 피해가 컸던 지역인 경남 창원시 마산 합포구 신도시 지역 일부이다. 적용된 수치모형의 검증차원에서 태풍 "매미" 발생기간 동안 관측된 폭풍해일고 자료와 대상지역 내의 주요 지점에 대한 침수흔적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향후 발생 가능한 수퍼 태풍에 의한 영향을 분
현재 독일 함부르크에서 공사 중에 있는 하펜시티는 수변공간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 사업 중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펜시티가 21세기형 도시를 지향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이는 도시인구의 교외이동으로 인한 도심의 공동화 현상을 치유하고 극복하는 방안으로서의 재도시화 현상과 맞물려 있다. 따라서 하펜시티 프로젝트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기에 앞서 유럽의 해항도시에서 도시공동화를 불러일으킨 원인과 그 극복방안으로서의 재도시화 현상에 대해 먼저 살펴볼 것이다. 함부르크 하펜시티가 지향하는 새로운 도시성, 그리고 전통과 창조의 결합을 통한 문화적 가치들이 하펜시티 프로젝트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추구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소개함으로써 북항 재개발 사업이 개선되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라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기존 도시텃밭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설문조사와 그에 따른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설문내용은 크게 4개의 분야로 나누어 22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시행되었다.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도시텃밭 이용자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도시 내에서 텃밭이라는 공간이 지역의 공동체를 활성화하고, 화합의 장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도시텃밭 내 편의시설의 확충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진행에 대한 요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도시텃밭만을 조성하여 지역 공동체의 활성을 꾀하는 것이 아니라 텃밭 조성 시 휴게공간 및 교류공간에 대한 충분한 계획이 이루어 져야하며, 이용자들이 편히 찾을 수 있는 정원의 역할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시텃밭을 활용하여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이나 수확물을 지역민이 함께 나눌 수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사회기관과 연계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본 연구를 통해 제시했던 도시 내 텃밭의 도입에 따른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과 함께 생물의 서식처 마련이나 녹색의 공간 제공 등을 통하여 환경적 역할 또한 감당해 낼 수 있는 좀 더 체계적인 도시텃밭 계획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적응적 메쉬세분화기법과 분할격자기법을 적용한 2차원 천수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구조물을 고려한 극한 홍수 실험을 모의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모형은 두 격자생성 기법을함께 사용함으로서 복잡한 경계를보다 적은 격자로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적 적응 메쉬세분화기법을 사용하여 흐름이 빠르게 변하는 영역에서 정확도를 유지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HLLC 리만근사해법과 MUSCL 기법을 적용하여 시공간상에서 2차정도를 유지하며,
최근 들어 도시 재개발 과정에서 중요시되는 도시 워터프런트를 다각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수(水)문화 개념에 입각하여 항구도시 워터프런트를 문화론적으로 해석하고자 시도했다. 본 논문은 안과 밖을 허물고 경계를 희석시키는 물의 속성에 기반하여 바다의 역동성과 집합성, 개방성 속성에 기초하여 워터프런트가 가진 속성을 밝혔다. 그리하여 항구도시 워터프런트가 지닌 경계성, 개방성, 혼종성, 통로적 성격이라는 문화론적 속성이 도시 거주민의 문화정체성 형성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부산의 사례를 통해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항구도시 워터프런트와 거주민들의 문화정체성간의 상관관계를 분명히 하였다. 나아가 이런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가 항구도시 워터프런트 개발의 방향성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진화에 따라 IMC는 마케팅의 키워드가 되었고, 대안매체와 BTL은 마케터의 중요 관심사항이 되었다. 이러한 것은 브랜드 구축의 중요 툴이 되고 있다.
브랜드 노출의 다양한 상황에서 브랜드 노출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것은 마케터나 디자이너에게 매우 중요하다. 사인시스템은 도시경관에서 브랜드노출로 기업의 마케팅 입장과 도시이미지 구축의 측면에서 모두 중요하다. 기업이 사인시스템을 통한 브랜드이미지 구축의 전략적 선택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도시경관 측면에서는 어떻게 상충점을 극복하여 도시브랜드 구축을 이루어 가는지 실 사례를 통해 해법을 조사하였다.
To preserve atmospheric environment of urban areas, it needs to create urban space considering air pollution sources and natural and geographical properties such as wind circulation. According to this study could examine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Daegu and accordingly suggest a climate map in urban environment and an “advice map” in urban planning. The urban area(area paved with asphalt and concrete) of Daegu has increased by more than five times since 1960.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rmal environment through satellite data shows that the surface temperature between a place paved with artificial structures and a farmland shows 10∼20℃ difference during the daytime in the summer. Regarding the parks inhibiting the heat island of a city have the small area of trees, and the road paved with concrete is wide so that they hardly serve as the source of heat absorption. As Apsan is located to the south of Daegu and Palgonsan to the north and Daegu has east high west low type, mountain wind from mountains in the south and north passes a city and delivers heat and air pollutions at night. In the west of Daegue, there is the poorest environment and industrial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basic facilities are mostly located, so large residential complexes that are being built around the industrial facilities as if they set up a folding screen and therefore the poor environment is increasingly worse.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항도시이며, 우리나라의 해양수도 및 동북아 관문항을 지향하는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해양환경 관리실태를 비교 분석하고 이의 제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해양환경지표로서 수온(C), 염분(‰),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mg/l),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mg/l), 용존무기질소(DIN: mg/l), 총질소(T-N: mg/l), 용존무기인(DIP: mg/l), 총인(T-P: mgp/ml), 규산규소(Sio2-Si), 부유물질(mg/l), 클로로필(Chi-a: μg/l) 등의 총 12개 지표들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경우 2000년도부터 2003년도까지는 해양환경상태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산광역시 및 인천광역시의 해양환경상태를 악화시키고 있는 해양환경지표는 총질소, 용존무기인, 총인 등으로 나타났고, 이들 해양환경지표들은 해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order to clarify the impact of regional warming on the ozon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meteorological contribution in each city over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RF - CMAQ model was used to access the ozone differences in each case, during the episode day. Meteorological contributions estimated by WRF command a reasonable feature on the dispersion of ozone concentrations in each city according to regional warming. This causes a difference in estimated ozone concentration. A higher ozone concentration difference tend to be forecasted in coastal cities than in upcountry city. Therefore, the emission reduction policy according to the regional warming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contribution of each city.
최근의 기후변화로 인해 도시지역에서 홍수의 빈도 및 홍수량의 증가로 인한 피해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도시지역에서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방재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내 도로 합류부에서의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홍수흐름 특성에 대해 모의하였다. 적용된 수치모형은 ANSYS CFX(v.13) 모형으로 Workbench에서 구동되는 범용 유동해석 모듈이며 빠르고 정확한 해석결과를 제공하는 전산유체역학 도구로서 국내외에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ignot 등(2008)이 수행한 실험모형 자료를 이용하여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지점별 실측자료와 2차원 유한체적모형에 의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오늘날 재난의 다양화·복잡화로 다각적으로 계층 및 위험 분야별로 위험요소를 파악하여 안전대비책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었고, WHO(세계보건기구)에서는 1989년 안전문제에 대해 지역사회 구성원과 각 기관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 안전도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에 우리나라도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안전사고 발생을 감소시키려는 정책과 움직임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도시 만들기 사업사례 및 국제안전도시 구축사례사례 분석을 통하여 발전방안 제시의 기초적 자료를 정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가중치 산정방법의 하나인 엔트로피(Entropy)기법을 통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다기준 의사결정 방법의 하나인 프로메티(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for Enrichment Evaluations, PROMETHEE)를 적용하여 도시유역의 위험도 평가기법을 제안하였다. 도시유역내 소유역의 위험도와 관련된 항목들로는 자연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에 따른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엔트로피 기법과 프로메티를 이용한 도시유역 위험도 평가기법은 그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서울시 대표적 저지대 지역인 성내배수분구에 적용하였으며, 전체 26개 소유역에 대한 각각의 가중치와 위험도가 산정되었다.
또한 26개의 소유역은 위험도 평가구분에 따라 고·중·저 위험유역으로 분류되었으며, 이중 높은 위험도에 해당하는 소유역이 과거 집중호우에 따른 침수이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used to the satellite photograph and drew up a flood inundation map. To past used digital map and showed reflect the inundation map and change of the city was difficult. The acquisition of the satellite photograph is easy from internet Site of Korea and is updated quickly. So, used the satellite photograph from flood inundation drawing up of existing and reflected the change of the city. Drawing up method of the inundation map in compliance with the research which sees the reflection of the land use which is actual is possible. Results of HEC-RAS with depth and an inundation location to be show easily. But there is to a combination method of the satellite photographs and GIS data and more objective and the subject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que which has reached fixed quantity must be researched continuously judges.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의 변화는 지역적 집중현상이 심화되어 도시지역의 배수단면 부족으로 인한 내수침수 피해 증가 및 상대적으로 취약한 도시외각 절개지 붕괴 등으로 2차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지속기간별 강우량의 크기가 증가하고 기준강우량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도시지역의 홍수피해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외수의 범람에 의한 침수와 내수 배제불량으로 침수피해로 구분할 수 있으며 최근 도시지역에 발생하는 홍수피해의 대부분은 외수의 직접범람에 의한 피해보다는 각종 수리구조물의 배제능력 부족이나 방류지점에서의 배수위의 영향으로 인한 내수의 배제불량에 기인한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이는 환경적 변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주요도시(1개 특별시, 6개 광역시)에 대하여 강우분석을 실시하여 확률강우량을 초과하는 사상에 대하여 분석하고 초과사상에 대한 확률강우를 재 산정하였다.
도시는 전 세계적으로 농업혁명, 산업혁명, 정보화혁명이라는 3대 혁명을 거치면서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또한 예외일 수 없는 예로 1960년대 28%에 그쳤던 도시화율이 현재 90%를 웃돌 정도의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화는 자연적. 사회적으로 인적사고 및 재난이 복합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는 원인이기 하다. 이에 다방면에서의 안전이 구축된 도시를 대상으로 국제보건기구 WHO에서 안전도시임을 국제적으로 공인하는 인증제도를 시행하는 등 도시재난의 안전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렇게 국제적으로 안전한 도시임을 인증 받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2011년 10월말 현재 30개국 268개 도시가 WHO 국제안전도시 공인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수원시를 비롯한 5개 도시에서 국제안전도시 공인 인증을 획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척시가 지역공동체의 안전도 향상 및 손상율 감소를 위한 안전도시 구축 및 활성화 방안을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