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using 1~4th KReI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data, to investigate whether to affect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industry of householder. and to examine various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The summary of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economic value. Also it is examined that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have a significant effect for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it i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mental health is larger than one of physical health for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investigated that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higher than two or more person household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in life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life satisfaction of agricultural households is higher than non-agricultural one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industrial characteristic and mental health rather than another determinan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도자의 코칭 언어에 따른 축구선수들의 팀 응집력, 운동 만족이 연령(중등·고등·대학), 선수경력, 경기출전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코칭 언어, 팀 응집력, 운동 만족의 요인 간 관계를 확인하여 축구선수들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축구선수 805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유효한 설문지 79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중등: 278, 고등: 218, 대학: 302). 설문지 구성내용은 총 58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3문항, 코칭 언어 20문항, 팀 응집력 18문항, 운동 만족 1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과 AMO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코칭 언어, 팀 응집력, 운동 만족이 연령, 경력, 경기출전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지도자의 코칭 언어가 선수의 팀 응집력과 운동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칭언어, 팀 응집력, 운동 만족은 연령, 선수경력, 경기출전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칭언어, 팀 응집력, 운동 만족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 선수의 경우 지도자의 코칭 언어인 설명 언어, 질문 언어, 긍정 언어, 관리 언어가 팀 응집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고등학생 선수의 경우 코칭 언어인 질문 언어, 관리 언어가 팀 응집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생 선수의 경우 코칭 언어인 질문 언어가 팀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 선수의 경우 지도자의 코칭 언어인 설명 언어, 질문 언어가 운동 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고등학생 선수의 경우 지도자의 코칭 언어인 설명 언어, 긍정 언어가 운동 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생 선수의 경우 코칭 언어인 설명 언어, 긍정 언어, 부정 언어, 관리 언어가 운동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축구 지도자들의 코칭 언어에 대한 중요성을 입증하는 것으로 효과적인 축구 지도방법에서 코칭 언어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ce of store attributes of Korean consumers and to analyze it’s influ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in duty free stores which gain ground inch by inch in the distribution chanel. And it is to find discriminative result as compared with foreign consume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Subjects for the quantitative study, quota sampling was adopted in the Lotte, Shilla downtown and airport duty free stores from the first to 15th December 2016 and 177 questionnaires from Koreans who had purchasing experience in off line duty free store were analyze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consistency, Cronbach’s alpha was used.
Results -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Korean consumers consider th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in duty free stores in order Product, Economic Feasibility, Convenience, Promotion, and Accessibility. 2. The meaningful impactive factors of duty free store attributes on consumer satisfaction turned out Product and Promotion. 3. These results show meaningful distinction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in terms of consumer satisfaction in duty free stores.
Conclusions – A marketer who is working for duty free store consider now that price benefit can not give strong impact to Korean consumers more and should concentrate on various brand assortment even including private brand. In terms of promotion, most duty free shops put special stress on foreign consumer’s wants now as highly increasing of Chinese travelers but Korean consumer’s sales portion and number of visitor also are steadily increasing. Therefore, a duty free marketer should prepare the Korean-oriented services with more enhanced promotion strategies for individual and group travellers, for example, a mileage service, VIP room and social network system to satisfy Korean consumers. In order to get satisfaction from Korean consumers, it makes effort on product and promotion than accessibility, price and convenience. Due to high level influenc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nlarge to on-line market and to develop private brands for duty free stores.
Purpose -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customers in an uncertain market environment, many companies use product modularization strategies. Modularization of a product means that one product consists of several components and that the type of produc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components. The greatest feature of modularity is that changes in one component do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hysical changes in the other component to which they are connected. Modularization of products is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strategy to reflect increasingly complicated customer requirements to products and respond to the needs of various markets. Many studies have been made in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mass customer satisfaction. There are many prior studies that modularization of such products positively affects the operational performance (manufacturing cost, fast delivery, etc.) and innovation of the product. However, excessive modularization has been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is performance. However, there are very few studies on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modulariz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Supplementing these academically insufficient parts is very necessary when considering the current market environ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order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academic research in Korea, this study collects data through questionnaires in electronic, auto, and defense industry. This is because these industries are using modularity of products. based on lots of previous studies and information overload theory, we made two hypothesis and verify with empirical analysis. All 108 data were used. We used the R program and SPSS program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modularization of product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ustomer satisfaction to a certain level.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when the modularization is over and beyond a certain level, there i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ustomer satisfaction.
Conclusions – Excessive modularization of products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is result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human limited rationality due to information overload.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apply appropriate modularity to product design.
Purpose – Past research has not given much attention to the roles of consumers’ social relationship type in the effects of justice type of service failure recovery alternatives on their satisfaction to the alternative exposed to them. Current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 moderation role of consumers’ social relationship central versus peripheral in the effects of justice types of service failure recovery alternatives on the recovery satisfaction, and this research also explored whet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interac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their social relationship central and peripheral relationship.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2(social relationship central versus peripheral) between-subjects design was employed. 50 participants for each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Participants of each group took forceful steps in choosing one between the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and the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χ2-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at the number of choosing each alternative becomes different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one way ANOVA was used to verify that the extent to which participants are satisfied to the alternative chosen by them becomes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 number of participants choosing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was larg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here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choosing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as larg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was high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hereas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was higher than that at the group of social relationship central. In addi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to interac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 Marketers should give attention to the type of justice when developing alternatives by which consumers’ service failure can be recovered. They should suggest procedural justice-focused alternative to consumers under social relationship central, whereas they should develop distribution justice-focused alternative for consumers under social relationship peripheral. And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service failure they also should focus on interaction justice.
본 연구는 기존의 서비스품질모형에 관한 연구들을 고찰하여 Grönroos의 2차원 모형에 기반을 두고 항만서비스의 과정품질을 환 경품질과 전달품질의 2요인 구조로 분화시키고 거기에 결과품질요소를 추가한 서비스품질 모형의 기본적인 프레임을 구성하였다. 또한 서비 스 품질 각 요소들의 하위 변수들은 항만서비스의 특성 및 변화하는 항만패러다임을 반영한 최신의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 품질 측정에 적합할 뿐 만 아니라 변화하는 항만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품질 측정 요인들을 종합하여 최종적인 서비스품질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 에 따라 도출된 서비스 품질모형의 각 특성이 고객만족과 항만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만족이 항만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및 고객만 족과 항만이미지가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부산항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선사 및 물류업체, 포워더, 화주 등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서 Smart-PLS 3.0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서비스 품질차원의 각 요소들은 고객만족 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만이미지에는 상품품질과 환경품질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 만족도는 항만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영향을 미치며 고객만족도와 항만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관계지속의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Youngcheol Kim and Jaewoo Shim. 2017. Discriminant Analysis of Satisfaction Levels with Native Speaker Instructors Hel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f English. Studies in Modern Grammar 96, 235-251.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levels of satisfaction with native speaker teachers of English that were perceived by a group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f English in a teachers college. 79 subjects responded to a Likert-type questionnaire with 15 items aimed to assess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current and former native speaker teachers on their campus. The questionnaire measured the four aspects of teaching: the ability to teach, the ability to offer learning opportunities, the ability to manage and create friendly classroom climate, and the ability to assess their performance. The discriminant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aspects that separated satisfied from unsatisfied groups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nt analysis showed that two independent variables (i.e., the native speaker teachers’ ability to offer learning opportunities and their ability to tea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separating the two group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native speaker teachers of English need to make efforts to design lessons that may prompt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while keeping high levels of teaching ability congruent with students’ expectations.
최근 의료 소비자들은 건강에 많은 수요를 보이며 이에 의료산업 분야는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특히 병원에서는 고객의 의견을 반영하며 시대의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시각적 환경 이미지 형성에서도 내·외부 환경에 변화를 고려하는 등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기기 디자인은 의료진의 효율적인 진료와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소외당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자에게 있어 내원하기 싫은 병원 1순위인 치과에서 꼭 사용될 수밖에 없는 유니트체어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FGI를 실시하여 유니트체어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조사 실험단계에서 디자인만족도 평가항목을 요인분석하여 대표평가 요인으로 압축하였다. 그 후 선정된 대표요인으로 디자인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만족도 조사결과에서 나온 불만족스러운 디자인 구성요소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형용사 어휘를 이용하여 출시된 제품들의 이미지를 평가했다. 그리고 설문 조사를 통해 나온 선호하는 제품 이미지 영역과 비교, 대조하여 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 분석을 통해 나온 내용을 동일한 지각도에서 서로의 영역이 어떻게 위치하는지 알아보고 향후 출시될 유니트체어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1인 가구 500만 시대에 접어들면서 혼자 삶을 즐기는 것이 더 이상 어색하지 않은 세상이 되고 있다. 혼놀족(혼자 노는 사람들), 혼밥족(혼자 밥 먹는 사람들), 혼술족(혼자 술 마시는 사람들) 등으로 상징되는 ‘나홀로 족’ 문화가 일시적 현상을 넘어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의 사회동향 2015’에 따르면, 15세 이상 응답자 56.8%는 혼자 여가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처럼 급속도로 확산되는 혼족 문화에 대해서 사회, 경제, 문화, 여가 등에 걸쳐서 다양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이이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혼족 문화에서도 나홀로 여가생활을 즐기는 혼여족을 주제로 여가태도가 여가몰입과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혼여족의 여가태도와 여가몰입, 여가태도와 여가만족, 여가몰입과 여가만족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혼자‘라는 존재가 과거의 부정적인 평가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혼자 여가활동을 즐기는 ’혼여족‘을 긍정적으로 사고하고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 건전한 여가생활이 당당히 이루어지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혼여족을 이해하고 여가만족을 충족시켜주기 위한 여가상품개발과 혼여족에 대한 마케팅 전략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Purpose – There are common factors both in Technology Readiness and Acceptance Model and Technology Paradox Theory which can be put together and made in one unified model. The unified model can provide the following merits. First, the unified model is simple but contains factors of the models. Second, the unified model can clarify the process of technology acceptance of common consumers. Third, the unified model can provide the opportunities to analyze the negative sides of new technology, thus find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acceptance by general consum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450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people around Seoul and 421 were collected. Except insincere and wrong-marked ones, 402 were used to analyze.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es. Results – By analyzing sub-factors of both models and binding the common factors in one category, we accomplish one model. And we tested the model by empirical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ults from the unified model are almost same as the results from the two models. In other words, the unified model works. Conclusions – Explaining one state of affair by two different method is in some sense distracting attention. By devising a new model including factors of both models, we can explain the affair more straightforward and efficiently. At first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as devised to explain the technology users in an organization and the following tests and revised models were for the similar purposes. However, as on-lone activities including contracts have been expanded and become important, consumers as the technology uses have emerged as first factor to consider. In accordance models to explain this situation has been suggested. The model suggested in this research is one of the models but it has the following merits. That is, it is simple but has strong explanation power, it can clarify the process of technology acceptance of common consumers by containing negative sides of consumer conception, and thus, it can provide the opportunities to analyze the negative sides of new technology, also find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acceptance by general consum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forest experience among children, based on a survey of teachers and parents who lead them, and to make proposals based upon the findings. The survey was performed in forest experience for children at Apsan Park in Daegu.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78 respondents comprising 34 teachers, 39 parents, and 5 others. The teachers’ age groups were distributed evenly between the 20s and 40s and parents’ 51.3% were in their 30s and 46.2% in their 40s. Second, all participants responded that forest experience is necessary for children. 80.8% of respondents required continually additional construction. Specifically, parents insisted that forest experience for children should be built up more than the teachers did. Third, as a result of the management and program satisfaction of forest experience for children, 38.5% of respondents wanted increased access and another 38.5% desired unlimited access. In addition, the older teachers preferred more flexible access. Fourth, the safe facility topped the list of the four facilities ranked by importance with 0.39 points, followed by the learning experience field, the shelter facility, and the discretional facility. This study aims to build up basic data in order to make and practically manage forest experiences for children. Therefore, through continuous research, forest experience for children should be established as a practical experience spaces for childre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의 지표인 참여여부,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 정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설문조사에 참여한 만 65세 이상 남녀 노인 16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고, 생활체육 참여여부에 따른 세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차이 검증을 수행하는 한편,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한 10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생활체육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세 심리적 변인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경로분석을 수행하여 연구모형과 두 가지 대안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여 연구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한 후, 가정한 변인 간관계가 유의한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여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매개효과와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주관적 건강 수준은 생활체육 참여 노인이 생활체육 비참여 노인보다 더 좋았지만, 노화태도와 삶 만족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경우, 생활체육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 수준이 더 좋고, 노화태도가 더 긍정적이고, 전반적인 삶 만족도가 더 높았지만, 생활체육 참여빈도와 참여시간은 세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둘째, 가정한 연구모형이 대안모형에 비해 더 적절하였으며, 각 변인의 관계는 가정과 일치하였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기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복지만족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 복지의 만족요인과 만족 수준 및 개선해야할 사항들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설문지로 2014년 7월14일 부터 2015년 3월31일까지 경남에 소재하는 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150부를 배부 하여 연구에 적합한 130부를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복지에 대한 요인으로는 생 활, 금융, 교육, 의료, 문화 등을 복지요인으로 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특성으로는 성별, 결혼, 학력, 연령,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하였다. 복지요인별 만족수준을 살펴보면 생활복지(2.74±.65), 금융복지(2.42±.74), 교 육복지(2.24±.72), 의료복지(2.68±.69), 문화복지(2.27±.64)로 복지요인에 대한 만족수준(2.45±.59)은 평균에 미 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원의 특성상 복지에 대한 경영진의 인식이 부족한 점은 현실적 한계라 고 할 수 있다. 복지에 대한 의원방사선사의 만족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의원을 경영하는 의료진의 인식 의 전환과 함께 전향적인 변화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복지에 대한 직원들의 욕구조사를 통한 효과 적인 선택적 복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보수교육에 관한 연구로 보수교육에 대한 만족수준을 분석 하여 보수교육에 대한 만족도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해야할 사항을 연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설문지로 2016년 11월 01일부터 12월 15일까지 경남에 소재하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 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250부를 배부하여 연구에 적합한 200부를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보수교육에 대한 만족요인으로는 제도, 주제, 도움, 강사선택의 적절성, 전문성 등, 총 21가지 요인으로 하였으며, 보수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장소, 교통편, 다양성, 행정처리, 홍보, 방법 등, 총18가지 요 인으로 분석하였다. 보수교육에 대한 만족도 (3.12점), 보수교육에 대한 문제점(3.01점)은 보통수준으로 분 석되었다. 보수교육은 보건의료인이면 누구나 이수해야하는 교육이다. 교육에 대한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 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의견과 교육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현실성 있는 교육프 로그램을 통해 자질과 역량이 우수한 방사선사를 위한 계속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quality factors of coffee shop customers with the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SERVQUAL, selection attributes, and service qualities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path structure of coffee shops' quality factors → customer satisfaction → trust → behavioral intention was analyzed in order to confirm the system of coffee shops' quality facto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rvey of was conducted with college students of Kangwon University.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ith 232 collected. Of them, Excluding 36 respondents’ because of incomplete answers and missing values, 196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mpirical analysis was made through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tatistics Package SPSS 19.0. 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ffee shops' quality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like service encounter quality, product quality, cleanliness, overall interior, purchase quality, convenience, and aesthetics. Secondly, service encounter quality, product quality, purchase quality, and aesthe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respectively. Thirdly, it showed that service encounter quality, product quality, overall interior, purchase quality, and aesthe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respectively. Fourthly,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Lastly, after verifying the effect relations of trust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bout coffee shop and behavioral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rust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ut, cleanliness, convenience, and overall interior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Conclusions - Coffee shop consumers put importance on price, discount systems, taste, and freshness, but more on courteous and kind services of coffee shop staff or comfortable and calming atmosphere of inner space. Thereby, coffee shop marketers need to take factors like service encounter quality and aesthetics into more consideration. In addition, customer satisfaction has an effect on trust, while trust on behavioral intention, even though trust is not mediated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본 연구는 온라인 FPS(1인칭 슈팅) 게임 소비자의 이용 동기가 몰입과 소비자만족 및 충성 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게임 이용 동기는 조작, 관계, 자랑, 스트레 스해소, 흥미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몰입에는 이용 동기 중 흥미, 조작, 관계, 스트 레스해소 순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소비자만족에는 관계, 흥미, 조작 순으로 정적 영 향력을 미치고 있다. 소비자만족도에는 이용 동기에서 관계, 조작, 흥미 순으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몰입은 소비자만족과 충성도에 모두 강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the rural experience is increasing as an alternative for the problems such as the decrease of the agricultural income facing the agriculture and the rural area, the decrease of the population, and the regional stagnation. The rural experience has recently been transformed into a software dimension such as programs and participation activities in the past. In addition, public awareness also positively evaluates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ies as the basis for supporting society and recognition of multiple functions. Furthermore, the intention of the citizen to the earnest village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ural experience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urban residents on the recognition of return to farm and rural are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arming villages by the program, the experience field and the host,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arming villag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rural experience is needed in the future because the experience of the rural people in the c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arliest villages.
본 연구는 ‘포켓몬 고’ 게임 상품을 경험한 사용자들의 증강현실 게임속성이 사용자 태도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고, 게임 속성과 사용자 태도 간에 어떤 관계 또한 게임속성과 여가만족, 그리고 게임속성과 여가만족간의 사용자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실증분석 연구이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증강현실 게임 속성으로 오락성, 도전성, 상호작용성, 현 실성 네 가지를 도출하였다. 표본은 포켓몬 고 게임 상품을 이용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 포켓몬 고 게임 상품 속성과 여가만족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자 태도의 매개효과 분석에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임의 상호작용성이 유의함이 좀 더 높게 나타났으나 본 연구에서는 오락성과 상호작용성 그리고 현실감이 유의하게 나타나 여가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새롭게 출시된 증강현실 기반 게임 ‘포켓몬 고‘도 다양한 여가생활의 한 종 류로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며, 증강현실 기반 게임이 여가생활에 있어 여가만족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는 학문적 실증분석 연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consumer’s satisfaction by purchasing farmer‘s processed food. So, this paper surveyed consumers which have purchased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 products, by reason of limiting research objects among lots of farmer‘s processed food. A survey of 220 consumers was carried out on September and October 2016. For this matters, this paper us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included LOG-LIN model) and, set up 1 dependent and 11 independent variables. As the analysis results, we could find out that consumer’s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6 variables(price, taste, ease of cooking, confidence of product information, social awareness and perceived 6th industrialization). Among these variables, the strongest variable was “social awareness”, and the second was “perceived 6th industrialization”. This paper also estimated the rate of change that a dependent variable was affected by independent variables. As the results, this paper found out that “perceived 6th industrialization” had the highest rate of change(5.8%) and the second was “social awareness”(5.6%). This paper proposed 7 implications of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 Those were the proper price policy and quality value’s promotion, quality Improvement and confidence enhancement, development of products for consumer’s convenience, enhancement of social awareness, enhancement of politic management about 6th industrialization and accessibility of purchasing information.
본 연구는 대학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원어민 대학교원들의 직업에 대한 인식 실태 및 직업 만족도 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총 10개 대학에서 근무하는 44명의 원어민 교원들이 설문 조사에 참여하 였다. 설문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영어 원어민 교원들의 직업 만족도는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두 집단(기혼집단과 미혼집단) 간의 평균 비교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다. 특히 고용 보장 항목에 서 기혼집단의 평균 점수가 미혼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참여자들을 한국어 능력 수준에 따라 두 집단(초급/상위초급집단과 중급/고급집단)으로 나눈 후, 평균 점수를 비교하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집단 모두 자신들의 직업 에 대해 다소 불만족하다는 견해가 있었다. 원어민 교원들은 학교에서 자신의 일에 대해 고마워하거 나 자신들을 존중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소속감을 충분히 느끼지 못한다고 밝혔다. 아울 러 직업을 통해 얻는 혜택에서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원어민 대학교원들의 직업 만족도를 높이고 대학 영어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그들과의 원활한 소통이 필요하며, 소 속감 및 자존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장치 마련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