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하천의 물리적·생태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자연환경이 유사한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을 조사·평가하였다. 물리적 구조 평가결과 청미천과 양화천의 생태성은 "양호~보통", 복하천은 "보통"으로 평가되었으며, 대상하천은 공통적으로 사행과 퇴적작용이 활발한 반면 침식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개 하천의 중점조사구에 대한 식물조사결과물과 가장 인접한곳(정수역)으로부터 갈풀→달뿌리풀→갈대→버드나무→물푸레나무→아까시나무→신나무 군락 순으로 발달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경우 공통종은 청정지 역에서 주로 출현하는 무의하루살이, 검은 물잠자리 등이며, 우점종은 실지렁이와 깔따구과 sp. 1이었다.
본 시험은 모래입경의 차이(0.3-0.5, 0.5-0.8, 0.8-1.0, 1.0-1.5 및 1.5-2.0mm)에 따른 한지형 잔디의 식생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 3월 21일부터 7월 9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모래입경 0.3-0.5mm에서 22.5cm로 커졌으나, 모래입경이 굵어짐에 따라 초장은 점차적으로 작아져서 모래입경 1.5-2.0mm 처리구에서 초장은 19.7cm였다. 근장 및 엽록소 함량은 초장 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엽중과
곰소만 중앙부의 하부 조간대(lower tidal flat)에는 길이 1300m, 폭 400m규모의 조간대 모래톱(intertidal sand shoal)이 남북 방향으로 발달한다. 이 모래톱을 경계로 3개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에서 표층 퇴적구조, 입도 분포, 퇴적물 이동량(집적율), 그리고 천부 퇴적상을 분석하여, 각 구역의 에너지 영역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구역의 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구역(offshorewards zone) -세립사(평균입도 3Φ), 혀모양 연흔, 월 평균 70mm의 집적율과 미발달생물교란구조, B 구역(sand shoal) -중립사(평균입도 2.5Φ), 사구(4∼5m의 파장),월 평균 30mm의 집적율과 미발달 생물교란구조, C 구역(onshorewards zone) - 조립질 실트(평균입도 5Φ), 굴곡형 연흔, 월 평균 10mm의 집적율과 잘 발달된 생물교란구조. 이러한 결과로부터 하부 조간대에 분포하고 있는 모래톱은 외해에서부터 유입되는 파랑의 에너지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즉 곰소만 조간대에 사주섬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저 에너지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은 만의 안쪽 지역에 위치하는 모래들이 방파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바다모래에 의해 뒷채움된 지하연료저장탱크용 연강재의 부식전류밀도, 개로전위, 전식거동 및 연간부식률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습바다모래 중에서 비저항이 감소할수록 개로전위는 비전위화되고, 부식전류밀도는 높게 배류된다. 2) 습바다모래의 비저항이 감소할수록 인가전위 부가에 의한 부식전류밀도는 자연전위에서의 부식전류밀도보다 급격히 증가한다. 3) 습바다모래 중에서 비저항이 감소할수록 연간부식률은 선형적으로 증가함으로 지하연료저장탱크에 바다모래로 뒷채움하는 경우 습기가 유입하면 지하연료저장탱크의 부식성은 민감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産 거저리科 모래거저리屬에 속하는 2屬 (모래거저리屬과 작은모래거저리屬)에 대하여 현재가지 기록되어온 보고서들을 종합하고 과거 생물상보고서들의 기록 표본을 확인한 결과 2속 15종이 기록되어 왔으며 이들에 대하여 분류학적 재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가운데 Gonocephalum sabulosum은 Opatrum subaratum의 변이를 오동정 해 온 것으로 판단하여 제외시켰고 G. japanum, G. bilineatum, G. outreyi, G. malayanum의 국내 표본은 확인하지 못하고 국외 표본을 비교 관찰하여 본 논문에서는 총 2속 14종을 보고하는 바이다. 각 종의 연구사 및 국내외 분포지역을 서술하였고 Gonocepahalum속의 검색표는 문헌 및 실제 표본을 검토하여 작성하였으며 표본을 확인한 종들의 성충사진과 해부가 가능한 웅성 외부생식기 사진을 청부하였다.
A three year's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newly reclaimed tidal saline soils to evaluate the salt tolerance and growht characteristics, and their relationship to dry matter production and nutrient quality of main selected pasture species. Nine te
A two year's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on newly reclaimed saline tidal lands to measure the effects of sand mulching on salinity of the soils and their relationship to crop performance. Hybrid sorghum cv. Pioneer 931 was grown under different mulchin
이 연구에서는 PE 섬유를 사용한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에 대해 최대입경 4.75 mm의 일반모래(강모래)를 규사와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그에 따른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의 인장거동 변화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동성 평가 실험에서는 강모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는 평균압축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편차의 크기가 강모래 치환 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축인장시험 결과에서는 강모래 치환율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인장변형률 성능에서는 강모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강모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다중균열의 분포밀 도가 증가하면서 인장변형률 성능의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인장변형률 성능의 편차는 압축강도에서와 마찬가지로 강모래 치환율이 증 가함에 따라 커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규사 대신 일반모래를 사용한 경우에도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의 인장거동의 변동성은 증가하지만, 규사를 사용한 고연성 시멘트 복합체와 비교할 때 등가 이상의 인장성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concerns about potential risks and hazards in children’s playgrounds are increasing and the restrictions for environmental harmful substances in playgrounds have been reinforced in many countries.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were analyzed in 142 samples including 105 of sand flooring and 37 playing equipment such as swing, slide, sporting equipment, bench and fence in 18 children’s playgrounds. Heavy metals in sand flooring were investigated and categorized by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eason, rainfall, post-rainy day, and artificial factors as road, type, and material of nearby play equipment.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such as Pb, Hg, Cu, and Z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and flooring near the play equipment than at places away from the playing equipment (p < 0.05).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play equip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nd flooring with regard to the concentration of Pb (r = 0.42, p < 0.01) and Cu (r = 0.39, p < 0.01).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and floor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eason, post-rainy day, the distance from a roadway, type of equipment, and the material. The play equipment’s heavy metal concentration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ed to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he sand flooring’s surface in playgrounds.
This study was examined the variation of unit water content and fine aggregate ratio in concrete for nuclear power structure using a large amoung of crushed sand.
The H water treatment plant has been operating since 1982 and has had no renova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lters have been operated for more than 30 years and therefore are deteriorated. Many of the filters show an unequal state of air scouring during backwashing. For this study one filter, which was presumed most deteriorated among eighteen filters, was selected as a model filter for renovation. Some of the effects seen after renovation of the underdrain system were a lower average filtrated turbidity by approximately 0.02 NTU and an equal backwash state throughout the filter bed. Sand wash efficiencies by backwash before renovation of the underdrain system were 28%, 8%, and 5% at the surface, 50 cm depth, and 100 cm depth, respectively, and after renovation of the underdrain system were 94%, 26%, and 15% , respectively.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effective sand size was 0.025-0.033 mm before renovation of the underdrain system and 0.002-0.011 mm after renovation of the underdrain system, meanings there was equal backwash pressure throughout the filter. Filtration time after renovation was approximately 2 times longer than before renovation.
본 연구는 유아가 유치원 주변의 자연물을 직접 탐색하고 실외모래놀이에 활용해 보는 활동이 유아의 자 연친화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J군에 소재한 2개의 공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4․5세 유아 31명이며, 주 3회씩 8주 동안 총 24회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성민(2012)의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연물과 함께한 실외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보호태도, 자연사랑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연물과 함께한 실외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쳤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연친화교육으로서 자연물과 함께한 실외모래놀이가 주는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사막의 모래는 바람의 영향으로 인한 비산 및 퇴적작용으로 사구(모래언덕)를 형성하거나, 이동시켜 사막 지형을 변화시킨다. 특히 사막에 철도궤도 부설시 이러한 사막모래의 비산으로 인한 퇴적은 철도유지보수에 지장을 주어 철도운행 및 안전에 심대한 악영향을 미치며,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모래의 비산 및 퇴적작용에 대한 예측을 이용한 적절한 예방대책 수립을 통하여 최소화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형 및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바람으로 인한 사막모래의 비산 및 퇴적작용을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고찰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지형에 따른 풍향 및 풍속의 예측 기법과 이에 따른 모래의 비산 및 퇴적 예측 기법, 모래 입자의 크기 및 성질에 따른 특성 변화 예측 기법들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기법의 적용 방법은 수치 예제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토석류는 흙과 암편들이 물과 혼합되어 비탈면이나 계곡을 따라 흘러내리는 현상으로 액상화된 유동물질이 빠른 속도로 중력방향으로 낙하, 이동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토석류는 갑작스럽게 그리고 빠른 속도로 발생되기 때문에 해당지역에서는 상당한 피해를 입게 된다. 토석류의 유동성은 유동화된 토질들의 이동거리 및 속도와 관련된다. 토석류의 최대 이동거리와 속도 등과 같은 토석류 거동특성은 토석류 발생 지점의 토질특성, 유동화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부인자 즉, 수리-역학적 특성 및 지형학적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이들 유동관련 특성들은 유변학에서 다루는 항복응력, 점성과 같은 유변물성을 통해 해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변학적 특성은 토석류 거동특성을 결정하는 주요 매개변수이다. 토석류 초기 발생은 집중호우에 의한 표층 상부 포화에 의한 전단강도 상실, 산 비탈면을 따라 흐르는 간극 유체 압력 및 균열 암반층에서 흘러나오는 상향 침투 압력 등의 작용에 의해 지반이 액상화 되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다공성 재료인 흙과 간극 유체의 상호작용은 토석류의 동역학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흙 시료내의 간극 유체압력은 유동물질의 전단강도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는 일반적인 토석류의 이동거리가 더 크게 나타내는 주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한 토석류의 유변물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물흐름 특성을 고려한 유변물성 창치를 개발하였고, 이를 모래 시료에 적용하여 수리-역학적 특성이 반영된 유변물성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대인인지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가 모래상자놀이 과정에서 어떻게 자아를 표현하고, 그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살펴보고, 모래상자놀이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지를 분석해보았다. 연구대상 유아는 6년 4개월 된 남아 1명으로 유아가 때때로 다른 사람 앞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일에 지나치게 소극적인 자세와 경직된 태도를 보이는 문제로 의뢰해 온 유아였다. 연구절차는 모래상자놀이실시, 모래상자놀이 표현, 모래상자놀이의 적용 효과로 진행되었다. 모래상자놀이도구는 Kalff(1996)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2013년 6월 26일(수)~8월 28일(수)까지 10주 동안 10회의 모래상자놀이를 실시하였다. 모래상자놀이 표현은 매회 유아의 행동 특성을 기록한 일화기록, 사진, 비디오 촬영, 유아의 놀이평가 등을 종합하여 모래상자놀이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래상자놀이는 대인인지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가 모래상자놀이 경험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는 의미있는 기회를 통해 자신의 특성을 알고 자신을 드러내는 경험을 통하여, 자기인지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기인지와 타인인지를 조화롭게 조절하여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