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a major cause of shoulder pain, involves weakness of the scapular retractor muscles. The major scapular retractor muscles are the middle trapezius and rhomboid major muscles; however, the latter is excluded in most studies. Objects: We aimed to measure the thickness of the middle trapezius and rhomboid major muscles using an ultrasonic diagnostic imaging system while performing four different shoulder retraction exercises and comparing the thicknesses and ratio of the thicknesses of these muscles.
Methods: The thickness of the middle trapezius and rhomboid major muscles was measured in 24 healthy adults using ultrasound. Muscle thickness was measured three times in the Reference posture and four times while performing four different exercises that involved scapular retraction. Th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measured muscle thicknesses were obtained and compared. The ratio of muscle thickness and rate of changes in muscle thickness between the reference posture and the four exercises were compared.
Results: For both, male (n = 10) and female (n = 1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middle trapezius muscle between the reference posture and the four exercises (p < 0.05) and in the thickness of the middle trapezius and rhomboid major muscles between male and female (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the thicknesses of these muscles. Althoug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change in muscle thickness during the four exercises was not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change in muscle thicknes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ratio of the thicknesses of the middle trapezius and rhomboid major muscles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ir thickness during exercises involving scapular retraction in healthy people in their 20s–30s.
Background: Shoulder external rotation exercises are commonly used to improve the stabilizing ability of the infraspinatus. However, during exercise, excessive activation of the posterior deltoid compared to the infraspinatus causes the humeral head to move anteriorly in an abnormal position. Many researchers have emphasized selective activation of the infraspinatus during shoulder external rotation exercise.
Objects: This study aims to delineate the optimal exercise method for selective activation of infraspinatus by investigating the muscle activities of the infraspinatus and posterior deltoid according to the four shoulder exercise methods and two forearm positions.
Methods: Thirty healthy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shoulder external rotation exercises following four exercise methods: sitting external rotation (SIER); standing external rotation at 90° abduction (STER); prone external rotation at 90° abduction (PRER); side-lying external rotation (SLER), and two forearm positions (neutral, supinated). The electromyography (EMG) signal amplitude was measured during each exercise. Surface EMG signals were recorded from the posterior deltoid, infraspinatus, and biceps brachii. Results: EMG results of the infraspinatus and posterior deltoid in PR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exercises (p < 0.01). The EMG ratio (infraspinatus/posterior deltoid) in SI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exercises. EMG activation of the posterior deltoid in SIER, PRER, and SL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eutral than in supinated (p < 0.01). Furthermore, the EMG of the infraspinatus in SI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eutral than in supinated (p < 0.01). The EMG ratio (infraspinatus/ posterior deltoid) in SI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eutral than in supinated (p < 0.05.) Contrarily EMG ratios in PRER and SLE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pinated than in neutral (p < 0.05).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se exercise methods and forearm positions when planning shoulder external rotation exercises for optimal shoulder rehabilitation.
As coffee consumption increases, coffee extraction's by-products increase. Research on coffee by-product recycling is fundamental as social costs and environmental problems arise from the course of coffee processing, estimated to be 270,000 tons per year.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an eco-friendly food packaging material by solvating cellulose from spent coffee grounds. For cellulose solubility, delignification and TEMPO (2,2,6,6- tetramethylpiperidin-1-oxyl) oxidation treatment were performed. An optimal plasticizer (glycerol) and a crosslinking agent (cinnamaldehyde) were added to the film-forming solution for film manufacturing, while physical treatment (high-pressure treatment, 276 MPa, 10 times) was done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Then, the film was dried by a solution-casting method. Physical properties of food packaging materials such as tensile strength, elongation, water-solubility, thickness, and chromaticity were measured. In particular, the film to which 1.5% glycerol was added showed the highest value amo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dried fil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EMPOSCG films have potential as eco-friendly food packaging materials in the food industry.
이 논문은 대중음악의 리듬에 큰 영향을 끼친 펑크 리듬과 아프로 큐반 리듬을 구조적 관점으로 분석하여 그 연관성과 응용과정을 연구하였다. 펑크 리듬은 1965년 제임스 브라운과 그의 밴드들 에 의해 발생 및 발전되었으며, 아프리카에서 온 흑인들에게 영향을 받은 라틴 음악의 리듬을 미 국 대중음악에 적용하고 융합하여 만들어 낸 리듬이다. 대중음악 리듬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펑크 리듬의 발생과 발전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리듬의 응용과 융합 방법의 원리를 제시하 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대중음악 리듬의 혁명으로 불리는 1960년대 중반 이후 의 제임스 브라운의 앨범에 정착된 펑크 리듬과 아프로 큐반 음악의 리듬 구조를 비교하여 연관성 을 분석하였고, 대중음악 리듬으로 응용 및 적용하는 과정에 대해 추론하였다. 연구 결과 아프로 큐반의 대표적인 리듬들과 대중음악에서 사용되는 펑크의 중심 리듬에서 그 연관성을 찾을 수 있 었으며, 특히 드럼의 킥 패턴과 킥과 스네어 드럼 조합의 패턴을 응용하여 대중음악 리듬으로 만 들었다는 것을 도출해 내었다. 마지막으로 이 방법을 활용하여 좀 더 많은 전통 리듬들을 응용하 여 새로운 대중음악의 리듬을 응용하고 만들어내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동물은 그들의 필요와 외부 자극, 그리고 주변 환경에 반응하면서 특정한 행동과 이동 패턴을 보이며, 생활하면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일정한 영역인 행동권(home range)을 가진다. 행동권은 종의 존속과 보전에 매우 중요한 영역이라는 점에 기반하여 해외에서는 행동권 추정 방법론 개발 및 정책 반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원격 추적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좌표간 시간 간격이 줄어들며 정밀해진 동물 추적 데이터는 기존 행동권 방법론에 한계점을 드러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새로운 방법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국내 행동권 연구는 아직 더딘 편이며 새로이 개발된 방법론 도입도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동물 행동권의 더욱 정확한 추정을 목적으로 꾸준하게 개발되어 온 해외의 방법론들을 정리 및 소개하여 국내 도입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크게 기하학적 그리고 통계적 추정 방법론으로 나눈 후 좌표들이 독립일 때와 자기상관성이 존재할 때의 경우로 나누어 총 7가지의 행동권 추정 방법론을 비교 및 고찰하였다. 실제 전남 신안군 불무기도에 번식하는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의 6월 한 달간 GPS 위치 추적 정보를 사용해 본 연구에서 소개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행동권을 도출하였 다. 행동권 결과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각 방법론의 특징 및 한계점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동물 행동권을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자가 본인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 특성과 분석 목적에 알맞는 방법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행동권 분석 방법론 선택 의사결정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고집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Q 표본은 아동의 고집에 관련된 문헌 고찰, 전문가 및 연구 참여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총 23개의 진술문을 선정하여 44명의 아동에 게 Q분포를 분류한 후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QUANL-PC 프로 그램을 이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고집에 관한 인식 유형은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 다. 유형 1은 ‘긍정적 고집인식형’, 유형 2는 ‘소극적 고집인식형’, 유형 3은 ‘타인 의식 고집인식형’, 유형 4는 ‘부정적 고집인식형’으로 유형의 특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고집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고 아동 스스로 어떻게 인식하 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에 대한 부모의 이해를 높이고 아 동의 고집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머신러닝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소속 학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 인을 분석하여 대학생의 진로지도와 중도탈락 예방 관련 정책 및 제도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를 제 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 (KEEP )자료의 4년제 대학 진학생 1,298명을 연구대 상으로 머신러닝 분석방법인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랜덤포레스트 방법을 통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입학년도에는 대학 생활 관련 변수 이외에도 고등학교 재학 시기 및 고등학교 졸업 후 진로 계획과 관련한 설명변수들이 중요도 상위 10개 항목 중 상당수를 차지하였으며, 입학년도와 졸업년도를 제외한 기간에는 전공 학습과 진로활동에 대한 변수들이, 졸업년도에는 취업준비 및 교육훈련 경험 등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랜덤포레스트 분석 결과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기록하였다. 둘째, 두 분석방 법에 따른 학년별 중요도 상위 10개 변수의 일치도는 63.3%로 나타났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달리 랜덤포레스트 분석에서는 설문의 응답자가 다수의 척도를 사용하여 응답한 설명변수들이 중요도 상위 10 개 설명변수에 포함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 연구는 교육패널 자료를 단일 분석방법이 아닌 두 가지 머신러닝 방법을 사용하여 공통 요소를 도출하고, 결과의 비교를 시도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ICT 산업의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다음 세대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 일어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히스테리시스가 적은 E-Band를 사용하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분산 용액에 함침 공정을 통해서 저항형 직물 인장 센서(Resistive textile strain sensor)를 개발하였다. 전기전도성이 부여된 e-band에 저항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만능재료시험기(UTM)과 Microcontroller unit인 아두이노와 LCR 미터를 이용해서 인장의 변화에 따른 저항 변화를 측정하였다. 원단으로 이 루어진 텍스타일 스트레인 센서의 특성상 발생하는 다양한 노이즈들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신호처리 과정 (Signal processing)의 노이즈 필터링의 이동평균 필터, 사비츠키-골레이 필터, 중앙값 필터들을 사용하여 센서의 필 터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이동평균 필터의 필터링 결과의 신뢰도가 최소 89.82%, 최대 97.87%으로 이동평균 필터링이 텍스타일 스트레인 센서의 노이즈 필터링 방식으로 적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