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172

        420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제적으로 각 나라의 종 보존 (Species conservation) 및 생태계 보호에 대한 개념이 확대되면서 자국의 본토종의 보호 및 외래종의 교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생태계 교란생물종(동물, 식물 등)은 국가에서 지정하여 이들에 대한 퇴치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정부차원에서는 위해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종을 ‘생태계 위해 외래생물’(자연환경보전법 제 2조 제 18호)로 지정・고시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인공호 및 하천(하천/강)에서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등의 외래어종은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엄청난 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래어 종이 무분별하게 수체내로 유입되면서 생태계와 토착생물에 대한 교란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리방안 모색이 현재 이루어지고 있어 각종 지자체 차원에서도 관리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금강 수계 전체 지점에 대해 수온(Water Temperature; T), 수소이온농도(pH), 용존 산소량(Dissolved Oxygen; DO),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전기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 EC), 총 부유물질량(Total Suspended Solid; TSS), 총 인(Total Phosphorus; TP), 용존 총 인(Total Dissolved Phosphorus; TDP), 인산염 인(PO4-P), 총 질소 (Total Nitrogen; TN), 용존 총 질소(Total Dissolved Nitrogen; TDN), 암모니아성 질소(NH4-N), 질산성 질소(NO3-N), 엽록소-a(Chllorophyll-a; CHL), 총 유기 탄소량(Total Organic Carbon; TOC) 16개 항목을 활용하여 금강 수계의 수질 범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수계에 위치하는 모든 지점의 이화학적 수질 특성 범위를 분석한 뒤, 블루길이 존재하는 지점에서의 이화학적 수질 특성을 분석하여 블루길의 내성도 특성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420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 세계에서 외래 동, 식물의 이입 및 정착으로 인한 토착종이 위협을 받고 있고 이로 인한 생태계 교란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외래 동, 식물로 인한 경제적, 환경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환경부에서는 생태계교란 생물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중 수생태계에 대해서는 외래어종인 큰입배스 (Micropterus salmoidees),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나일틸리피아(Oreochromis niloticus) 등 45종을 생태계교 란 생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생태계교란 어종의 이입을 최소화시키며 이입될 가능성이 있는 종에 대하여 정착 가능성을 알아볼 수 있는 기준 개발을 위해 진행되었다. 2010년~2013년까지 갑천 수계에서 큰입배스가 서식하는 지역의 TP(Total phosphorus, 총인), TN(Total nitrate, 총질소),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생화학적 산 소요구량), COD(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요 구량), EC(Electric conductivity, 전기전도도), TSS(Total suspended solid, 총 부유물질)의 6가지 수질 변수를 분석하여 서식 범위를 알아보았다. 또한, 수질 변수와 큰입배스의 상대풍부도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해 둘 사이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갑천 수계에서 2010 년~2013년 사이에 구조적 변화로 인해 유속이 느려졌고 정수성 어종인 큰입배스가 출현하게 된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물리적 변수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고 이를 화학적, 생물학적 변수들과 더불어서 큰입배스뿐만 아니라 향후 이입 가능성이 있는 외래 어종에 대한 평가 모델 개발로 이어져야 한다.
        4207.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시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민의 여가 공간으로 활용되는 도심지 공원의 중요성이 가중되고 있다. 그러나 과도한 인구 밀집으로 인한 공원 이용객의 증가는 도시공원 내 범죄 발생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공원 내의 범죄율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경찰청통계, 2012). 특히 최근에는 시체유기와 같은 강력범죄 또한 증가 하고 있는 실정으로, 사회적 관심 공간으로서 재조명되고 있다(김석진과 박미량, 2013). 이에 환경개선을 통한 범죄 예방설계(CPTED)기법 5원칙(자연적 감시, 접근통제, 영역 성, 활용성, 유지관리)이 적용된 공원설계 지침 등이 등장하였으며, 이 같은 범죄예방설계 기법이 조경 설계 및 공원설계에 적용됨에 따라 최근 범죄예방설계의 적용 및 실증분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원의 범죄예방설계 연구로는 기존 도시와 건축물에 적용되던 범죄예방설계를 공원에 적용하기 위한 지침계선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공원 내 실효성이 있는 범죄예방설계를 제시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어 진행되고 있다. 반면 공원 중 규모가 큰 소공원이나 근린공원의 경우 안전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가 높아 공원 내 폐쇄 회로 텔레비전(CCTV)과 비상벨 등 다양한 범죄예방설계 요소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는 반면 어린이 공원의 경우 범죄예방설계 관련 연구가 다소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어린이 공원의 경우 사회적 약자의 이용이 잦기 때문에 더욱이 안전성 확보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범죄예방설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어린이공원을 중심으로 실사용자의 설문을 통해 요구도와 이용자평가를 분석하여 어린이공원에 직・간접적으로 필요한 범죄예방설계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어린이 공원의 범죄예방설계 적용 및 관리를 위한 보완사항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어린이공원의 사용자 설문을 위한 대상지는 충청북도 충주시 어린이공원 12곳을 선정하였으며, 설문지의 경우 리커트 척도의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체크리스트와 이용자평가 를 조사하였다. 분석을 위한 체크리스트와 이용자평가는 범죄예방설계 원리를 중심으로 자연적 감시 7문항, 접근통제 및 영역성 6문항, 활용성 7문항, 유지관리 3문항으로 20문항이었으며, 수집된 설문지를 통해 요구도 분석과 이용자평 가를 진행하였다. 이용자 평가를 통한 범죄예방설계의 요구도 분석결과 자 연적 감시의 경우 휴게공간과 놀이 공간의 시야 확보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로등에 의한 빛 차단에서 가장 낮은 요구도를 보였다. 접근통제 및 영역성의 경우 CCTV의 사각지대가 가장 요구도가 높게 분석되었으며, 지름길의 유・무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활용성의 경우 휴식공간의 그늘 조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생태성 증진이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유지관리의 경우 공원의 청결한 환경에서 요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원 내 잡초 관리가 낮은 요구도를 보였다. 이용자 평가의 경우 자연적 감시에서 시야 확보가 가장 잘 되어 있다고 평가하였으며, 가로등의 빛 차단을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접근통제 및 영역성은 공원경계의 명확성이 잘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음주 및 흡연 통제가 가장 안 되어 있다고 응답하였다. 활용성의 이용자 평가 분석결과 휴식공간의 그 늘 조성이 잘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조경요소의 만족도 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지관리의 경우 시설물의 유지 관리가 잘 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공원의 청결성이 결여 되어 있다고 응답하였다. 전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의 요구도가 높았으며 현장평가에서도 낮은 점수를 부여했다.
        4208.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우 암소비육에 있어서 고 에너지의 육성용 TMR(TDN 72.7%DM, CP 13.65%DM)을 육성기(8~12개월령) 및 비육기(13~24개월령)까지는 제한급여하고, 이후 비육 마무리기(25~32개월령)까지 자유 채식시켰을 때, 증체수준, 도체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공시축은 한우 암소 35두(8개월령)를 이용하여 Control구(5두), T1(10두), T2(10두) 및 T3(10두)구로 나누어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공시사료는 전기간 동일한 육성용 TMR을 Control구에서는 자유채식 시켰고, T1, T2, T3구에서는 각각 체중의 1.8%, 1.6% 및 1.5%로 제한하여 24개월령까지 급여하였다. 한우 암소의 체중은 비육마무리기간에서 Control구에 비해 T1, T2 및 T3 처리구가 각각 4.9%, 3.6% 및 2.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일일증체량은 육성기에는 Control구와 T1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p<0.05), 비육마무리기의 T1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p<0.05). 건물섭취량과 TDN 섭취량은 비육마무리기간에서 T1구가 가장 높았다(p<0.05). 고 에너지의 육성우용 TMR을 전 기간동안 급여함으로써 도체중과 배최장근 단면적이 일반적인 한우 암소비육 결과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처리구별 도체중은 Control구에 비해 T1구가 약 11.6% 많았으며(p<0.05), 지방색과 성숙도는 Control구에서 높았다(p<0.05). 근내지방도, 육색 및 조직감은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육량등급 출현율에 있어서는 Control구에서 A등급이 60%로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육질등급에서 1++ 등급 출현율은 Control, T1, T2 및 T3구에서 각각 0%, 20%, 20% 및 0%로 나타났다. 순수익은 Control구에 비해 T1과 T2구가 각각 15% 및 13% 증가되었으나 T3구는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우 미경산우 비육 시, 고에너지의 육성용 사료를 육성기부터 비육기(13~24개월령)까지 체중의 1.8% 수준으로 제한 급여하는 것이 전 기간 동안 자유채식시키는 것보다 도체중이나 육질등급 증가로 경제성이 향상되어 한우암소 고급육생산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421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습지는 물과 육지가 만나는 곳으로 두 영역에서 살아가는 육상 생물계(terrestrial ecocystem)와 수중 생물계(aquatic ecosystem)의 성격을 지녀 두 개의 상호작용에 의한 완충지대로 종 다양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무엇보다 지구온난화를 초래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증가 등 지구환경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 중에서 특히 생태적 측면에서 문제시되는 부분은 전 세계적으로 습지면적의 감소이며, 이에 따라 람사르 협약 등 국제적 습지관련 협약에 의한 습지보호 및 훼손행위 규제가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수년간 람사르습지 등록 후보지로 검토되고 있는 고양시 장항습지는 유일하게 4대강 중에서 하구둑이 없는 유일한 기수역으로 조수의 출입이 자유롭고 담수와 염수가 만나는 생태적 점이 지대로 다양한 생물 서식처를 제공해준다. 하지만 2018년 8월 민간인통제구역에서 해제되고, 2019년 2월 철책선의 완전히 제거될 예정이라, 향후 관리방안과 대책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버드나무와 선버들 군집구조 분석을 통하여 향후 고양시의 습지관리 방안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위하여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 수행되었다. 선버들(Salix subfragilis)은 버드나무과(Salicaceae), 버드나무속(Salix)에 속하며, 주로 습기가 많은 곳에 분포하고, 가볍고 작은 종자를 생산하고 줄기 아래 부위에서 많은 가지를 내며 침수된 곳의 줄기에서 다수의 부정근을 내어 침수에 높은 내성을 가지는 관목 또는 아교목이다. 하천과 습지의 환경복원과 경관요소로의 적용 가능성이 높은 선버들 개체군을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장항습지의 선버들 군락구조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버드나무 군락구조는 수변 주연부에서부터 벨트 트란섹트(Belt-Transect)방법으로 조사하고, 버드나무와 선버들의 흉고직경, 수고, 수관폭 조사를 통해 상대우점치(Importance Value)와 평균상대우점치 (Mean Importance Value)를 분석하였으며, 방형구내 식물상 조사는 브라운브랑케(Brown-Blanquet, 1913)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군집구조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생태적 특성상 버드나무의 평균수고는 10.3m, 흉고직경(D.B.H)은 18.6cm을 기록하였고, 표준편차는 수고 2.8, 흉고직경은 6.1을 기록하여 생장속도는 균일하게 나타났다. 선버들의 평균수고는 4.5m, 흉고직경은 14.6cm를 기록하였고, 각 표준편차는 수고 1.5, 흉고직경은 12.5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상대적으로 선버들의 수고는 균일하게 분포되고, 흉고직경은 연령별로 다양하였다. 습지 중심부로 갈수록 선버들 고사목의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고사목의 평균수고는 2.9m, 흉고직경은 10.8cm임을 확인하였다. 그밖에도 데크가 설치된 곳에는 버드나무와 선버들 외에 능수버들이 나타나고, 관목층에 찔레꽃, 뽕나무, 오갈피 나무가 드물게 출현하였다. 버드나무 군락의 주연부의 하층 식생에는 모새달, 개피, 골풀, 갈풀, 갈대, 이삭사초 등 사초과 식물이 주로 출현하고, 육화가 이미 진행된 중심부에는 여뀌, 환삼덩굴, 들깨, 소리쟁이, 붉은서나물, 속속이풀, 가시박 등이 자주 출현하였다. 수변상에서 버드나무 군락지까지 입지별 초본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새섬매자기군락, 천일사초군락, 갈대군락, 개피군락, 애기부들군락, 참새귀리군락이 반복하며 습지로서의 특색을 갖추고 있고, 데크가 설치된 탐방로에 근접할수록 주걱개망초군락이 번성하고, 이어서 선버들 군락지로 연결되었다. 선버들의 군락 분포는 일반적으로 하상 퇴적지의 높이에 따라 4단계로 구분되는데(Lee et al., 2001), 장항습지는 현재 육상화가 진행된 곳에 선버들과 버드나무가 공존하는 제2단계를 이미 지나 서서히 퇴적이 진행되었으며, 지하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선버들이 서서히 고사하고 버드나무가 우점하기 시작하는 제3단계에 머무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강 수위 변화는 장항습지 선버들 군락구조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고, 탐방로의 설치와 농경지의 존속여부에 따라 생물다양성은 물론 식물상에 큰 변화를 초래할 것이며, 향후 체계적인 습지관리를 위해서 버드나무와 선버들 군락구조 변화의 환경요인 분석과 구체적인 상관관계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4218.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태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탐방로 소리환경 특성을 분석하여 공원관리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장조사는 다목적위치표시판이 설치되어있는 108개소와 다목적위치표시판이 없는 일부 지역에 3개소로 총 111지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시기는 2018년 8월이었다. 소리환경 녹음은 각 조사구에서 Idam Pro Voice Recorder를 활용하여 WAV 파일로 5분간 녹음을 실시하였다. 음환경 주관평가는 조사자에 의해 각 조사구에서 음환경 만족도(만족도, 불편한-편안한, 인공적인-자연적인), 지 배적인 소리 순위에 대해 야장을 기입하였다. Decibel은 전체 조사구에서 -70.3~-15.6dB(상대값)로 나타났다. 비교적 수치가 낮은 지역은 대덕산 주변과 태백산의 동사면에서 능선으로 올라가는 탐방로 주변지역 이었고, 함백산 구간과 화방재-태백산 주변은 바람소리와 바람에 의한 잎사귀 흔들리는 소리가 크고 탐방객 소리와 굿하는 소리가 일부 구간에서 들리며 비교적 수치가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음환경에 대한 전체 만족도는 좋음(조금 좋음, 상당히 좋음, 매우 좋음)이 85.6%로 나타난 반면, 매봉산 고랭지 채소밭, 대덕산 주변, 태백산 정상, 깃대배기봉 주변은 기계음, 풍력단지 소음, 비행기소리, 탐방객 소리 등으로 음환경이 나쁨으로 분석되었다. 조사구의 음환경이 불편한지-편안한지를 조사한 결과 편안한(조금 편안한, 상당히 편안한, 매우 편안한)이 77.5%로 나타난 반면, 매봉산 고랭지 채소밭, 대덕산 주변, 화방재 주변, 부쇠봉 주변, 깃대배기봉은 기계음, 풍력단지 소음, 비행기소리, 차량 소리 등으로 음환경이 불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구의 음환경이 인공적인지-자연적인지를 조사한 결과 자연적인(조금 자연적인, 상당히 자연적인, 매우 자연적인)이 78.4%로 나타난 반면, 매봉산 고랭지 채소밭, 대덕산 주변, 화방재 주변, 부쇠봉 주변, 깃대배기봉은 기계음, 풍력단지 소음, 비행기소리, 차량 소리 등으로 음환경이 인공적인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사구별 지배적인 소리의 순서를 확인한 결과 바람 소리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고, 그 외 생물소리(곤충소리, 새소리 등)와 무생물소리(물소리, 기타)가 주를 이루었다. 인위적인 소리로는 비행기소리가 가장 많이 들리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보호지역 탐방로의 음환경 관리 및 소리를 활용한 프로그램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