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190

        846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Deoxynojirimycin(1-DNJ) was hardly detected by general UV detector.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1-DNJ, a effective functional material in which was contained the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its tea by gas-chromatography. Synthesized a TMS derivative by attaching trimethylsilyl group to 1-DNJ, analyzed this by GC, and could detect a good peak. The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contains 1154.83±56.67 ug/g.d.w of 1-DNJ and tea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does 8.01±0.61 ug/g.d.w. This means the contents of 1-DNJ was nearly identical to each other. The larger size of the leaves had the more contents of 1-DNJ and the middle region of collection was the highest than any other collective regions of leaves.
        4,000원
        8465.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항만과 지역사회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항만과 해항도시 지역주민의 삶의 질(QOL)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즉, 항만이 당해 지역 지역주민의 QOL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내용을 진행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총 18개의 QOL 측정지표들을 선정하였다. 분석의 결과, 부산항과 인천항은 당해 지역의 QOL 측정지표인 인구 1인당 일반세출결산액, 인구 1인당 제조업체 수, 주택 보급률, 인구 1인당 금융기관 수, 인구 1인당 문화재 수, 인구 1인당 학교 수, 인구 1인당 병상 수, 인구 1인당 복지비 규모 등에 공통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846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C-DAD-ESI/MS를 이용하여 국내 자색벼 품종에 대해 개별 안토시아닌 조성 및 함량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색벼 품종에서 분리된 모든 개별 안토시아닌의 화학구조는 MS fragment 패턴을 확인하여 cyanidin을 base로 한 unknown 화합물 1종을 포함, cyanidin 3,5-diglucoside, cyanidin 3-glucoside, peonidin 3-glucoside의 총 4가지 개별성분이 분리 및 동정되었다. 2. Cyanidin 3-glucoside 및 peonidin 3-glucoside이 주요성분으로 cyanidin 3-glucoside의 경우 90% 이상의 가장 높은 함량 비중을 나타냈으며, 개별성분별 평균 함량은 cyanidin 3-glucoside > peonidin 3-glucoside > cyanidin 3,5-diglucoside > unknown(cyanidin based)의 순으로 나타났다. 3. 흑진주벼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408 mg/100 g으로 흑남벼보다 약 6배 정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4,000원
        8468.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tural Ginger extract was extracted from Ginger component using ethanol as a solvent, and we tested various pharmaceutical characteristics in this extract. Characteristics experiment to use natural Ginger extract tested antimicrobial experiment using microbe, and analyzed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 with analysis instrument. From the result of characteristics experiment, some conclusions are obtained as follow. In this experiment, natural Ginger extract was obtained about 22.50 g-Ginger extract(extraction ratio : 1.80%) as liquid state of some viscous yellow-brown color. The result of antimicrobial experiment with staphylococcus aureus and aspergillus niger in microbe decreased more and more according to passage of reaction time. This phenomenon could know that Ginger extract has influenced to antimicrobial effect. In the result of instrumental analysis, aromatic organic components of benzimidazole(1.283), propyl isothiocyanate or isothiocyanic acid(1.477) etcs from Ginger extract were detected with GC/MS and inorganic component of Ca(27.6 ppm), K(24.08 ppm), Mg(6.03 ppm), Na(1.02 ppm), Zn(1.02 ppm), Sb(0.711 ppm) and Li(0.079 ppm) etcs from Ginger extract were detected with ICP/OES.
        4,000원
        847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적외선 분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참깨의 지방함량의 신속측정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검량식의 기본 모형은 다중 회귀 모형으로 하였으며, 회귀 모형의 독립 변수의 선택은 step-wise법을 이용하였다. 1. 참깨의 121점 중 지방산 함량 분포는 palmitic acid(IT028899-7.2%, IT169359-10.0%), stearic acid(IT028897-4.5%, IT028910-7.0%), oleic acid(IT170020-32.2%, IT156371-46.5%), linoleic acid(IT156348-36.5, IT169926-49.6%), 그리고 linolenic acid(IT169316-0.2%, IT156367-0.6%)로 나타났다. 2. 지방함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검량선 작성시 종래의 화학적 방법에 의한 분석치와 NIRS 분석치 와의 상관계수는 oleic acid(r2-0.834) and linoleic acid(r2-0.925)로 판단되어 linoleic acid의 이용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847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imple, selective and sensitive procedure for the confirmation of 14 sulfonamide antibacterials in milk was developed. The milk samples were homogenized, extracted and deproteinized by acetonitrile and defatted by n-hexane. Analysis was performed by liquid chromatography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in positive mode for all 14 analytes. Mass spectral acquisition was performed in the multi reaction monitoring mode (MRM), selecting two structurally significant transitions per compound. The calibrations were performed in sample matrixes and the interference effect of sample matrixes on the ionization was effectively eliminated. Good linear relationship (R2=0.992~ 0.999) were observed at 6 concentrations of 2.5~100 ng/g. Satisfied recoveries (86.3~110.2%) of all sulfonamides were demonstrated in spiked milk at three levels from 5 to 20 ng/g. The limits of quantitation (LOQs) for sulfonamides ranged from 0.25~2.1 ng/g.
        4,000원
        8474.
        201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rehend the plasma proteins expressed specifically during early pregnancy in pregnant or non-pregnant Hanwoo using proteomic analysis technique. Plasma samples (0, 2, 3, 4, 7, and 11 weeks after AI) were obtained from pregnant (P, n=3) or non-pregnant (NP, n=4) Hanwoo, respectively. To evaluate proteins differentially expressed,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2DE) was conducted. Normalized protein spots were selected for the significant expression variation deviated over two fold in its expression level between two groups. Molecular functions of the proteins were DNA binding, protein binding, hemoglobin binding, ferrochelatase and transporter activity and arylestera, respectively. According to western blotting, haptoglobin was specifically expressed only in NP group during early pregnancy; however, paraoxonase 1 was highly expressed in pregna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pregnancy was maintained successfully by the activation of specific plasma proteins associated with immune system and antioxidant regulation during early pregnancy in Hanwoo
        4,000원
        847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합성형 성장호르몬으로 천연 프로게스테론에 비해 20~30배 강하게 작용하는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에 대한 정량한계, 표준물질의 직선성, 회수율 등의 유효성 평가 및 내부표준물질 선정을 통한 분석방법 최적화를 식품공전의 시험법을 기초로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유통식육 내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의 잔류량을 조사 하였다. 그 결과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의 검출한계는 1.5 ug/kg, 정량한계는 5.0 ug/kg 으로 나타났으며 표준물질의 좋은 직선성 (r2= 0.9968)을 확인 하였다. 내부표준물질 의 비교결과 식품에 오염될 우려가 없는 progesterone-D9으 로 선정하였다. 이를 시험한 결과 7.69분의 머무름 시간을 가지며, 정량이온은 m/z 324-100, 정성이온은 m/z 324-113 으로 설정하였다. 내부표준물질에 대한 정량의 회수율 실험결과 67.5~109.5%로 높아진 회수율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전국의 서울특별시 및 6개 광역시에서 수거한 국내산 쇠고기 46건, 수입산 쇠고기 43건, 국내산 돼지고 기 60건, 수입산 돼지고기 12건과 국내산 닭고기 35건의 초산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의 잔류량을 실태 조사한 결과 검출된 경우는 한건도 없었다. 따라서, 초산메드록시프로게 스테론에 대한 유통 식육은 안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8478.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re had been the first human outbreak of novel influenza A/H1N1 in Mexico, it has become pandemic throughout the world.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first human case was on May, 2009 and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NVRQS) has started monitoring novel influenza A/H1N1 on domestic swine farms. The first positive case was detected on 14, Dec, 2009 and until now, we have had total 17 positive cases. From the first case, we did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n introduction and transmission of virus to pigs. We have concluded that virus had been introduced from humans to pigs, possibly from October to November, 2009 in our country. There were direct and indirect factors including the vehicles transporting veterinary medicine, feed, etc. related to transmission of virus from farm to farm. However, breeding pigs seem to be extrinsic to transmitting factors. Upon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the off-limits of visitors to farms and the disinfection is thought to be critical for blocking the introduction and transmission of novel influenza A/H1N1. In addition,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genetic informations of influenza virus is important for predicting and handling the new pandemic influenza in the future.
        4,000원
        8479.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종류의 폴리스티렌 용기를 대상으로 용출조건에 따른 용기내 증류수로 용출되는 5종의 VOCs(톨루엔, 스티렌, 에틸벤젠, 이소프로필벤젠 및 n-프로필벤젠)를 Purge&Trap 장치를 연결하여GC-FID로 분석하였다. 각 표준물질은 1~50 ng/ mL의 농도범위에서 직선성(r2 =0.9976~0.9995)을 나타냈으며, 검출한계는 0.041~0.092 ng/mL, 정량한계는 0.135~0.304 ng/mL 이었다. 용출조건은 첫째, 60oC에서 30분, 둘째, 95oC에서 30분, 셋째, 실생활에서 컵라면 섭취시를 고려하여 끓은 물을 부은 후 뚜껑을 덮고 3분간 유지한 다음 뚜껑을 열고 5분 동안 개방하여 용출시키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톨루엔, 에틸벤젠, 이소프로필벤젠 및 n-프로필벤젠은 평균용출량이 모든 조건에서 5 ng/mL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스티렌의 경우는 60oC에서 평균용출량이 4.02 ng/mL, 95oC에서는 52.71 ng/mL, 컵라면 섭취시의 조건에서는 17.23 ng/mL로 검출되었다.
        4,000원
        8480.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심비디움속 유전자원 48품종에 대하여 RAPD와 URP를 이용하여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RAPD분석에 는 10mer에 해당하는 random primer (Operon사) 80개 를, URP는 20 mer에 해당하는 12종의 상용 primer를 이 용하였다. 48 품종의 심비디움에는 34종의 동양 심비디움, 7종의 동서양란 교잡종, 7종의 서양 심비디움이 포함되어 있다. 선별된 41개의 random primer와 6개의 URP primer로부터 각각 407, 56개의 다형성 밴드를 획득 하여 총 463개의 마커를 이용하였다. 이들 마커의 크기 범위는 0.4 kb 에서 1.5 kb 에 해당하였다. 유전적 유사도 를 바탕으로 UPGMA clusterin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endrogram을 작성하였는데 유전자원 48품종은 유사도 0.638 수준에서 총 4그룹으로 구분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