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시 구조물에 작용하는 동적토압은 구조물 관성력과 동적토압의 위상관계에 따라 구조물의 변위에 대한 하중 또는 저항력으로 발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상관계를 고려한 동적토압 산정 절차를 제안하고, 이 절차에 따라 교량 우물통 기초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구조물 관성력과 동적토압의 위상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반강성이 작아서 지반의 변위진폭이 구조물의 변위 진폭보다 큰 경우에는 동적토압이 구조물의 변위를 증가시키는 하중으로 발휘되며, 지반강성이 커서 지반의 변위진폭이 구조물의 변위진폭보다 작은 경우에는 동적토압이 구조물의 변위를 감소시키는 저항력으로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과 <그림 2>, <그림 3>은 통계 패키지(Econometric Views)를 사용하여 제조업용 로봇의 수출입을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추정한 값이며, 자료는 2001년도 이후의 관세청 수출입 실적자료를 활용하였다. <그림 1>은 SAENGF는 제조업용 로봇 국내생산의 추정치이며, 점선은 95% 신뢰구간을 의미한다. <그림 2>는 통계 패키지(Econometric Views)를 사용하여 제조업용 로봇의 수출을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추정한 값이며, EXPORTF는 제조업용 로봇 수출의 추정치이며, 점선은 95% 신뢰구간을 의미한다. <그림 3>은 통계 패키지(Econometric Views)를 사용하여 제조업용 로봇의 수입을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추정한 값이며, IMPORTF는 제조업용 로봇 수출의 추정치이며, 점선은 95% 신뢰구간을 의미한다. <표 1>은 국내 제조업용 로봇의 국내생산, 수출과 수입의 추정치이며, ARIMA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는 2001년도 이후의 데이터로 관세청 수출입 실적자료를 활용하였다.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s known as a useful tool for the group decision making methods. This tool has been area such as investment, R&D management, manufacturing, production and marketing. Typically, transportation problems have addressed by mathematical programming. In this paper, an optimal solution of transportation problem was determined b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미국 센서스 뷰로 데이터에 의하여 2차대전 후 민주당정부와 공화당정부의 실질 세전 소득증가율의 차이를 살펴볼 때 민주당정부 기간동안에 계층간의 소득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저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공화당정부 기간동안에는 소득불균형이 심화되면서 저소득계층보다 고소득계층의 소득증가율이 더 높았다. 소득계층에서 하위 20%의 계층은 공화당정부의 기간동안에 비하여 민주당정부의 기간에 4배의 높은 소득증가율을 가졌다. 이는 양 정부별 실업률 차이에서 비롯되는 데 민주당정부의 기간 동안에 평균 30% 낮았으며 GDP성장률은 평균 30% 높았음에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부별 차이는 1980년대 이후 세후 소득증가율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미국에서와 같이 저소득계층이 고소득계층 보다 거시경제정책에 따른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정부에서는 이전보다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적절한 타이밍(timing)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Analysis of Means(ANOM) is a visualization tool for comparing several means to the grand mean like control chart type. This paper reviews five ANOM methods for continuous data such as ANOM, ANOME (ANOM for Treatment Effects), ANCON (Analysis of Contrasts), ANOMV (ANOM for Variance), ANOMC (ANOM for Correaltion). Three ANOM tools for discrete data such as ANOMNP (ANOM for Nonconforming Proportions), ANOMNC (ANOM for Nonconforming Unit), ANOMNPU (ANOM for Nonconfirmities Per Unit) are also developed.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and typical characteristics on outbreak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small sized companies which are located at eastern area in Kangwon-Do. Musculoskeletal disorders are becoming a serious problem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Many researches have been focused on the analysis on outbreak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them. As a similar endeavor, this paper provides factor analysis on outbreak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Questionnaire surveys regard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were conducted for the total number of 250 field work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even independent variables(gender, age, career, housework, accident, trouble, and pain) are taken from questionnaires. The provided analysis result will be helpful as a starting point for root cause analysis and reduc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also for establishment of safe work environ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pplication of the Human Factors Analysis and Classification System(HFACS) to analyze an aircraft accident data. HFACS is a general human error framework originally developed and tested within the U.S military as a tool fo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human causes of aviation accidents. It was examined that HFACS reliably accommodate all human caus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mmercial accidents. We found that the HFACS could be used as a reliable tool for investigating aircraft accidents including a single accident analysis.
남해안은 우리나라 전체 항만의 입항척수의 58.1%출 차지하며, 위험화물 운반선의 척수를 기준으로 할 경우 68.9%를 차지하여 통항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따가서 남해안 주요항만에 입출항하는 선박의 교통량과 흐름을 조사하여 교통환경스트레스 모델을 적용하여 해역별 위험도를 평가하고, 위험도와 해양사고 및 입출항 척수와의 관계 분석을 통해 주요항만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마련할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환경오염이나 식품의 제조공정 과정 중에 생성될 수 있으며, 홍삼은 수증기로 찌고 건조하여 만들어진다. 시료를 핵산으로 추출한 후 물로 세척하고 후로리실 SPE 카트리지로 정제한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형광검출기로 분석하였다. 이동상으로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용액(8:2)을 사용하였으며 형광검출기의 여기파장은 294 nm이었고 형광파장은 404 nm이었다. 평균 회수율은 105%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0.5이었다. 대상 식품인 홍삼음료 중 벤조피렌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검역원의 선행요건 항목을 식약청 및 미국 FSIS의 선행요건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보완되어야 할 검역원 선행요건의 내용과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검역원과 식약청 모두 HACCP 고시에서 선행요건 평가항목을 제시하고 있으나 서로 상이한 부분이 많이 발견되므로 관리항목 범위와 내용을 조정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또한 HACCP 적용업소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 업종별 작업환경조건이 다양해지므로 HACCP 고시에서는 선행요건 관리항목의 기본 틀만 제시하고 세부지침 및 일치 불일치 조건은 별도로 명시하여 관리하는 것이 선행요건의 현장적용 활용성을 높이고 평가업무의 표준화를 이루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Oral malignant melanoma of the oral cavity is rare. Although the Asian population has a relatively high incidence of oral malignant melanoma in contrast to Caucasians, the clinical information in Korean has been rarely known. In addition,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classification of oral malignant melanoma has not been established up to now. So we investigated 26 cases of oral malignant melanomas on the basis of clinicopat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and reclassified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Oral malignant melanomas occurred at any age from 28 years to 73 years and their mean age was 58.6 years. Of 26 cases, 14 occurred in male and 12 in female. Oral malignant melanomas occurred almost in palate and/or maxillary gingiva (25 cases; 96.2%). Only one case occurred in mandibular gigiva. Oral malignant melanomas were clinically divided into macular(9 cases) and nodular type(17 cases), showing that the nodular type occurred more frequently. Oral malignant melanomas were histologically divided into in situ spreading(5 cases), invasive(13 cases), and combined type(8 cases), showing that the invasive type occurred most frequently. All cases showed positivity for S-100 and 15 cases(57.7%) for HMB-45 i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It was thought these results could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search on oral malignant melanoma in Korean and additional prospective and retrospective studies would be needed in order to find the relations with the prognosis of the patients
The present study contributes reviewing and suggesting various models for measurement system analysis (MSA). Measurement errors consist of accuracy, linearity, stability, part precision,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R&R). First, the major content presents split-plot design, and the combination method of crossed and nested design for obtaining gage R&R. Second, we propose x-s variable control chart for calculating the gage R&R and number of distinct category. Lastly, investigating the determination of gage performance curve which establishes the control specification propagating calibration uncertainties and measurement errors is describ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