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71

        2321.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릉숲 양치식물을 중심으로 한 집중적인 조사를 통하여 이 지역에 분포하는 양치식물을 정확히 밝히고자 하였다. 광릉숲에는 9과 17속 43종 3변종 총 46종류의 양치식물이 분포하고 있으며, 지역별 출현식물을 보면, 쇠뜨기, 고사리삼 등 26종류가 광릉숲 전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꿩고비, 지리개관중 등 5종류가 소리봉 일대를 중심으로 하여 한정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림동물원 계곡부를 중심으로 낚시고사리, 광릉족제비고사리 등이 분포하였고, 왕지네고사리, 참새발고사리 등은 외국수목원 일대에 국한된 분포역을 형성하고 있었다.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Domancy form)은 H(Hemicryptophyte)의 비율이 56.5%로 가장 높았으며, HH(Hydatophyte)가 2.2%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번식형(Propagation form)의 지하기관형(Radicoid form)은 대부분이 근경이 짧게 분지하고 가장 좁은 범위의 연결체를 갖는 R3으로 39.1%이며, 근경이 옆으로 벋고 약간 넓은 범위의 연결체를 갖는 R2가 2.2%이었고, 산포기관형(Disseminule form)은 모두 포자가 바람이나 물에 의해 운반되는 D1이었다. 생육형(Growth form)은 t(Tussock)와 e(Erect)가 각각 67.4%와 32.6%로 나타나 광릉숲 양치식물의 대표적인 생활형은 H-R3-D1-t로 정리되었다. 광릉숲의 양치식물계수(Ptph.-Q.)는 1.28로 한반도 중부지역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이 지역이 학술림으로서 안정적으로 보전 관리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2322.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조사는 해안 도서지방인 신안군 임자도를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과 주요군락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1999년에는 14과(科) 45종(種), 2005년에는 14과(科) 54종(種)이 조사되었다. 그 결과 본 조사에서 능수참새그령, 들묵새, 미국개기장, 창명아주, 유럽점나도나물, 어저귀, 비짜루국화, 큰금계국, 노랑코스모스 등 9종이 추가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군락은 군락조성표에 따라서 미국자리공군락, 개보리군락, 개망초-망초군락, 달맞이꽃군락, 물참새군락, 들묵새군락, 노랑코스모스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주요군락의 분포면적이 변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귀화식물군락의 주요 분포지역은 귀화식물의 서식지 특성상 인가와 도로주변의 인위적인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2325.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Huff(1967) 방법의 국내유역 적용을 위한 개선방안으로서 유역내 외 관측소의 강우사상별로 점우량 25.4mm이상과 면적평균우량 12.7mm이상의 자료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강우지속기간 등급별 최빈분위의 대부분이 면적평균우량과 같은 분위가 선택되어 유역의 대표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설교통부(2000) Huff 방법과 본 연구의 방법으로 시간분포 시킨 결과 지속기간별 첨두강우강도의 크기는 본 연구의
        2326.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uff(1967)의 연구배경과 지형 및 강우특성을 국내유역과 비교하고 Huff(1967) 방법을 국내에 적용한 건설교통부(2000) Huff의 한계점을 파악하였으며, 국내 강우가 갖는 지속기간별 시간분포특성을 검토함으로써 국내유역에 적합한 Huff방법의 개선방안을 위한 기초연구를 목표로 하였다 Huff(1967)의 연구유역과 본 연구유역의 점강우가 갖는 특성에는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건설교통부(2000) Huff 방법은 관측소별로 분석되어 유역을 대
        2327.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구형펄스모형을 이용한 가뭄심도-지속기간-생기빈도 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전국 59개 지점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남한전체 가뭄심도의 공간분포를 특성화하였다. 먼저 일정재현기간에 대해 가뭄심도는 대체적으로 남부지방에서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형펄스의 중첩을 고려하는 경우와 고려하지 않는 경우 모두에 대해 이러한 경향은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지속기간이 증가하더라도 남부지방의 가뭄 심도는 타 지역에 비해 여전히 큰 것으로
        2328.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난류의 내부 영역의 유속은 단순한 공식으로 표현하기 매우 어려운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속도 분포를 기술하는 여러 가지 공식들이 제안된 바 있지만, 모든 공식들은 많은 항들을 가지거나 적분형 또는 음함수꼴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이 식들이 적용하기 힘들거나, 매개 변수들을 추정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매끄러운 바닥 위를 흐르는 난류 내부 영역의 유속 분포를 표현할 수 있는 간단한 형태의 새로운 공식을 제안하였다. 이 공식은 전통적인
        2329.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anoni가 1946년에 유사를 포함한 흐름에서는 Karman상수가 감소한다고 제안한 이후로 개수로 흐름에서 유사 입자가 평균 유속 분포를 변화시킨다는 것은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유사 입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떤 매개 변수가 변화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한편, 어떤 연구자들은 난류중에 유사입자가 투입되더라도 Karman 수는 변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arman 수의 변화에 대한 기존의
        2330.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문 인자, 특히 강우량의 공간 분포 해석은 수자원 분야에서 중요한 관심사 중 하나이다. 기존의 티센법(Thiessen), 역거리법, 등우선법이 공간적 연속성과 지형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일강우량에 대한 강우 공간분포 해석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월평균 자료와 평년 강우량 자료를 산출하여, 이들과 수집한 일강우량 자료간의 상관성 분석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지구통계학적 분석방법인 코크리깅(Co-kriging) 기법의 이
        2331.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공구조물의 위험도에 관한 불확실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빈도해석을 통하여 추정되는 설계홍수량의 분산량을 고려한 불확실성 해석을 실시하였다. Gumbel 분포형을 기본 분포형으로 가정하였으며, 모멘트법, 최우도법,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이용하여 각 매개변수 추정방법별로 추정된 설계홍수량에 대한 이론적인 분산량을 산정하였다. 이론적으로 유도한 분산량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며 다양한 표본크기와 설계연한, 비초과확률 및 변동계수조건에 대하여 Monte
        2332.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문학적인 가뭄평가를 위하여 SWSI 가뭄지수를 보완한 MSWSI 개발하였다. MSWSI의 적용을 위하여 가뭄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인자가 동질한 지역 즉, 댐, 하천, 지하수, 강수 지역으로 전국을 32개의 지역으로 분할하였다. 각각의 지역에 MSWSI를 적용하여 공간적으로 준분포형의 수문학적 가뭄 정보를 획득하였으며, 시간적으로 1974년부터 2001년까지의 한달 간격으로 평가하였다. 과거 가뭄 사상 년도에 대하여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PDSI와의 비교
        2333.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시정의 분포 특성과 그 변화 경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973~2004년의 기간에 대해 국내 24개 관측지점의 시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균 시정은 서울과 인천, 수도권이 위치한 중서부 지역에서 남부와 동부지역으로 갈수록 좋아진다. 계절별로는 가을철이 시정이 가장 좋으며, 겨울, 봄, 여름의 순이다. 양시정 일수는 우리나라 남서해안 지역으로 갈수록 증가하며 저시정 일수는 우리나라의 남동해안 지역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시정의 변화경향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지역에서 시정은 나빠지고 있다. 최근 10년 간 대부분의 지점에서 시정이 나빠졌지만, 수원, 포항, 대구, 울산, 부산 지점은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서울, 통영, 제주 지점은 변화가 없었다.
        2334.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04년까지 65개의 지상관측소와 309개의 AWS 지점의 일 최고 기온, 일 최저 기온, 일교차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의 기온 분포의 특성을 분석하고 인자 및 군집분석을 통하여 지역구분을 시도하였다. 우리나라 기온의 공간 분포는 기온 자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일 최고 기온은 고도가 높은 산지를 제외하고 남부지역으로 갈수록 높은 기온 분포를 보이며, 일 최저 기온은 지형과 해양의 영향을 많이 반영하며, 일교차는 해양과 대륙의 분포에 의한 공간 패턴을 보인다. 인자분석을 통해 고유값 1.0이 넘는 3개의 인자와 이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하여 5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지역구분은 국지 예보 구역 설정을 위한 연구와 국지규모에서의 기후 시나리오 작성 및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2335.
        200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re structures of activated carbons and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oluene vapor using dynamic adsorption method. The surface areas of below 10Å in the pore diameter of activated carbon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in the range of 72~93% of total cumulative surface area and the toluene vapor equilibrium adsorption capacities were in the range of 350~390mg/g. Activated carbons having larger toluene adsorption capacity than the compared activated carbons had relatively pores in the pore diameter range of 7~10Å. Linear relationship between equilibrium adsorption capacity and cumulative surface area was in the diameter range of over 7Å. It was thought that toluene vapor was relatively well adsorbed on surfaces of pores of over 7Å.
        2336.
        200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ve property of micropollutants in sediment around Gwang-yang bay using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of 310 chemicals. In the results, the major micropollutants detected were CH type chemicals such as aliphatic, polycyclic compounds, benzenes, and CHN(O) type chemicals aromatic amines, and pesticides. Insecticides of pesticide type were frequently detected at all sampling site. The total concentration of micropollutants were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and measured within the range of ND ~ 36.50㎍/L. Also, because of effect of seomjin river, GY6 of all sampling site detected by the highest concentration, GY10 and 11 located in Gwang-yang outside bay were not detected the micropollutant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 should estimated that the industrial complex located in Gwang-yang inside bay and an inflow of fresh water through the Seomjin river are major pollution sources of Gwang-yang bay.
        2338.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in the soil grown tomato plants in Damyang districts. We collected twenty one soil samples from the rhizosphere of tomato plants which were grown under structure. Number of spores/g in the soil sized over 500㎛, 355~500㎛, 251~354㎛, 107~250㎛ and 45~106㎛ were 0.01, 0.02, 0.09, 0.9, and 2.0. Total number of spores/g in the fresh soil were 3.02. Mycorrhizal root infection by vesicles, hyphae and arbuscules were 18.0%, 6.0% and 2.0%. To identify the genu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solated mycorrhizal spores from the soil grown tomato plants were inoculated into the host plant of sudangrass and mass propagated for 4 months. As a result of identification, mycorrhizal spores were identified as Glomus sp., Gigaspora sp. and Acaulospora sp.
        2339.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남 금산 서북부 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에 대해 암석화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지역에는 선캠브리아기의 흑운모편마암과 시대미상의 옥천층군, 그리고 이들을 관입 또는 분출한 중생대 쥬라기의 흑운모화강암 및 백악기의 화산암, 홍색장석화강암, 석영반암 등이 존재한다. 흑운모화강암은 연변부로 갈수록 점이적으로 우백질 암상을 나타내는데, 중심부로부터 연변부로 갈수록 SiO2, Na2O, K2O의 성분은 증가하는데 비해 Fe2O3, CaO, P2O5, MgO, TiO2 성분은 감소하는 등 역누대구조를 나타낸다. 흑운모화강암과 석영반암은 비알칼리계열에 속하며, 우백질 흑운모화강암은 알칼리계열에 속한다. 또한 이들 화성암은 모두 I-type화성암에 속하며, 동시에 칼크-알칼리계열의 결정분화작용에 부합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쥬라기의 흑운모화강암은 Eu의 부현상(negative anomaly)이 미약하여 마그마 분화초기의 특징을 나타내는 반면, 백악기의 석영반암은 부현상이 뚜렷하여 진화가 상당히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