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English unstressed pronouns, i.e., unstressed personal pronouns. English unstressed pronouns sometimes have a unique distribution different from their referential counterparts in phrasal-verb constructions, dative constructions, subject-verb inversed sentences, etc. This study shows that their unique distribution is due to the two properties that they have. One is that they are old in information structure, thus they choose to come earlier if possible in a sentence. The other is that they are clitic in that they are phonologically bound to their preceding Case assigner.
Telomere란 진핵세포에 존재하는 DNA-protein 복합체로서 염색체의 말단부에 tandem repeated DNA 서열 (TTAGGG)과 특정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 분열이 진행함에 따라 이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일정 길이 이하가 되면 세포의 사망이 유발된다. 반면 telomerase는 ribonucleoprotein으로서 telomeric DNA의 합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염색체의 말단에 telomeric DNA의 소실을 보충하는 역할
Butyltin compounds (BTs), namely tributyltin (TBT), dibutyltin (DBT) and monobutyltin (MBT), were measured in surface sediments collected in 2001 inside Hallim Harbor where a lot of shipping occurs as one of major harbors of Jeju Island, in order to evaluate their distribution. BTs were detected in surface sediments of all stations 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comparable to those in surface sediments of other sites of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e main species among BTs was MBT, although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with a survey site. No correlations were obtained between organic matter or particles size of surface sediments and total BTs, indicating that these factors did not affect on the distribution of BTs. It was estimated that more complex factors including BTs loads and surrounding sedimentary environments, affected on the distribution of BTs. The high correlations between BTs indicated that DBT and MBT were mainly degraded from TBT based on antifouling paints of vessel etc. and other sources, such as DBT and MBT, could be ignored. The butyltin degradation indexes ([DBT] + [MBT]/[TBT]) were in the range of 1.5~3.3 (mean 2.5), indicating that the parent compound, TBT, were inflowed into the surface sediments a long years ago and degraded.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assess important species of phytoplankton in the ocean and bay in Korea from 32 references. The number of important species assessed from 50 genera 116 species. Of them, Bacillariophycea (diatoms) 34 genera 89 speceis(76.6%), Dinophyceae(dinoflagellates) 11 genera 22 species(18.9%), Chrysophyceae 2 genera 2 species(1.7%), Cyanophycea(blue-green algae), Raphidophyceae, Euglenophyceae(euglenoids) 1 genera 1 species(0.9%) respectively. By ecological characters, the number of dominant species were 79 species including Actinoptychus seranius, 50 species including Coscinodiscus centralis were recorded as frequently apperaing species and 36 species including Cochlodinium polykrikoides were recorded as red-tide causative organism. Also, 11 species including Prorocentrum micans were surveyed as the indicator including all ecological characters.
Distributional patterns of microalgae were studied in the tidal flats of Gamami Beach(Young-Gwang, Korea) from November 1999 to 2000 July. The tidal flats of Gamami Beach was composed mainly of sandy sediment.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s were low compared with other tidal flats. In the present study, 68 species of microalgal flora were identified. These were comprised of 25 species of benthic microalgae and 59 species of planktonic microalgae. Diatoms predominated the benthic microalgae with 96.0% of total species occurred. Dominant species were Amphora sp., Cocconeis sp., Coscinodiscus asteromphalus, Coscinodiscus sp., Nitzschia sigma var. intermedia, Nitzschia distans, Navicula spp., Paralia sulcata, Pleurosigma sp. Skeletonema coastatum, and Surirella sp. Among them, Amphora sp., Paralia sulcata, and species of Pleurosigma and Nitzschia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studied period. Planktonic microalgae of Gamami Beach was also predominated by diatoms. They occupied 88.1% of total planktonic microalgae. The density of microalgal population was higher in silty sediment than in sandy sediment. The population density of microalgae was higher in high tide zone than that in low tide zone. The density of the benthic microalgae in the surface layer of tidal flats showed increasing tendency for 2 hours after the beginning of ebb tide. On the contrary, benthic microalgal density of subsurface layer was decreased during the period.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 a from sediment and water were not synchroniz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fore,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the benthic microalgae and planktonic algae seemed not to be related. Chlorophyll a of water was highly 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NH4-N, whereas, chlorophyll a of sediment was related with NO3-N concentration.
신고 배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품질등급화를 위해 주요산지인 나주, 상주, 안성, 울산, 아산에서 생산되는 신고 배를 3년에 걸쳐 수집하여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신고배의 품질 특성 분석인자로는 외관 품질로서 녹색도(100-황색도), 균일도, 물리적 요인 및 병충해에 의한 흠을 조사하였고 크기 기준에 의한 품질로는 종횡의 크기와 중량을 조사하였으며 내부 품질로는 당도, 경도, pH 및 적정산도를 조사하였다. 신고 배의 녹색도는 3년 평균 25.
본 연구는 경기도 안성지역에 소재하는 노거수의 합리적인 보전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안성지역에 분포하는 노거수는 총 6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수종은 느티나무, 은행나무, 음나무, 참배나무, 취앙네, 소나무 등의 순으로 전형적 온대기후대에서 수명이 상대적으로 긴 수종들임을 알 수 있었다. 그 가운데 느티나무는 전체 수종 가운데 73.5%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본 조사에서 나타난 노거수들의 흉고직경은 전체의 76.4%가 1.5 m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수고는 10-14 m 범위가 47.1%를 차지하였다. 노거수의 추정연령 은 200∼299년 범위가 38.2%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으며 500년 이상도 20.6%나 조사되었다. 또한 안성시 노거수의 64.7%는 민속신앙 또는 전설, 고사 등의 전승 유래를 지니고 있어 매우 중요한 생물 문화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성 지역의 대부분 노거수에는 조류 및 착생식물 등의 생물이 함께 서식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노거수에 대한 관리실태는 전체에서 98.3%가 병충해 및 가지절단 등과 같은 심각한 훼손상태로 방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조사 노거수의 47.1%는 근원부 주변이 콘크리트 및 아스콘 등으로 포장되어 투수 및 통기조건이 매우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완전히 없어져 버린 노거수도 1종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설계확률강우량에 대한 다양한 강우의 시간적 분포유형을 시화호 유역에 적용하여 강우분포유형에 따른 유출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시화호의 저수지 추적을 통하여 저수위에 미치는 강우분포유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수지추적시 외조위 조건을 고려하였으며, 저수위를 산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IWSEA)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저수지 유입 홍수유량은 Mononobe분포식을 적용할 때 제일 크게 나타났고, 최고저수위는 외조위 조건이 소조일 때,
기상레이더와 지형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홍수사상에 기초하고, 운동역학적이며, 초과강우가 고려된 분포형 강우-유출 유역모형이 개발되었다. 이 유역모형에서 강우로 인한 지표면 유출 및 지표면 흐름과 관련된 각종 변수의 공간적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인식하고 설명한다. 개발된 모형은 래스터 지형정보시스템과 공간적ㆍ시간적으로 변하는 강우자료와 호환된다. 몬테칼로 모의와 우도값이 이 모형의 검정을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검정 모형으로부터 반응되는 시스템의 가능범위가 허
Clark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순간단위도를 gamma 분포형 함수로 가정하여 매개변수를 추정한 후 이를 Clark 모형의 매개변수로 전환하는 간접 추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전통적인 Clark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방법의 개연적인 부정확성을 개선하는 특징과 더불어 Nash 모형과의 상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제안된 매개변수 추정방법을 위천 유역에 적용한 결과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추정값을 얻을 수 있었으
강우의 지속시간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AMC조건과 강우의 시간분포인(1차, 2차, 3차, 4차 모멘트)가 유출에 미치는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강우를 10분위로 고려하는 경우, CN은 AMCIII조건에서 1차 및 2차 모멘트와 상관성을 보였으나 그 외의 조건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또한 첨두유출비(QP/Q)는 AMC I조건에서 3차 및 4차 모멘트와 상관성을 보였으며, AMCIII조건에서는 1차 및 2차 모멘트와 상관성을 보였다. 강우의 전체
본 연구에서는 강우가 공간적으로 균질하며 아울러 그 공간상관구조도 지수함수를 따른다고 가정하여 남한강 유역의 강우관측망을 평가하였고 아울러 WMO의 기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남한강유역은 WMO의 기준으로 볼 때 산지도 평지도 아닌 중간적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남한강 상류부에서 관측된강우의 공간상관거리는 남한강 하류부에서 관측된 강우의 공간상관거리에 비해 짧게 나타나며 따라서 상류부와 하류부는 그 강우특성이 구별된다
벼의 산지 및 품종별로는 중온 및 고온성 세균의 분포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도정도가 낮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수록 각각의 균들이 많이 존재하였다. 전기밥솥에서 고온성 세균의 증식은 75이하에서 보온온도가 낮을수록 빠르게 나타났으며, 보온 초기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8∼24시간 사이에 증식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기밥솥 밥의 고온성 세균수와 이상취 발생의 상관성은 있었으며, 고온성 세균수는 오븐내 밥의 표면중앙이 중심이나 밑바닥에 비하
제주도를 5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생 감귤을 3년간 구입한 후 감귤의 품질인자로서 색도, 크기(종, 횡), 중량, 균일도, 당도, pH 및 적정산도를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를 이용하여 각 품질인자의 연도별, 지역별 분포를 분석하였다. 감귤의 3년 평균 녹색도(100-황색도)는 2.58%로 대부분이 황색을 띠었으나 편차가 9.04%로 년도별 차이가 심하였다. 종과 횡의 크기는 3년 평균값이 각각 47.64mm 와 56.05mm 이었으며, 중량은 3년
본 연구는 제주도 돼지 풀 군락군(Ambrosia artemisiifolia val. elatior community group)의 현존 식생을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된 식물상의 총 출현종수는 48과 156속, 200종 28변종 2품종(귀화식물 20과 54속 69종 3변종 포함)이 생육하고 있다. 제주도 돼지풀 (Ambrosia artemisitfolia var. elatior)군락군은 개망초 - 큰망초군락(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community Miyawaki, 1982)과 환삼덩굴- 왕고들빼기 군집(Lactuco indicae - Humuletum japonicae Okuda, 1978), 개보리 - 울산도깨비 바늘 군락(Bromus tectorum - Bidens pilose community Miyawaki, 1982), 강아지 풀- 왕바랭이 군락(Setaria viridis - Eleusine indica community Miyawaki, 1982 )으로 대별되었다. 돼지풀은 해안에서 해발 1,500미터 한라산 영실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돼지풀의 우점도와 군도가 가장 높은 곳은 해발 345미터, 조천읍 선흘리 근처이며 ,가장 낮은 곳은 해발 1,020미터인 국립공원 서귀포시 영실, 근처이다.
Thirty sediment samples of the <63㎛ fraction collected from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were analysed for their heavy metal (Fe, Mn, Cr, Co, Cu, Ni, Zn and Pb) concentration. The results show that sediment texture plays a controlling role on the total metal concentrations and their spatial distribution. A single 1M HCl extraction procedure was used in order to assess the environmental risk of heavy metals in bottom sediments. The non-residual fraction was the most abundant pool for Mn and Pb in most samples, which means that this metals are highly avaliable in these sediments. Cr, Ni, Fe, Co, Zn and Cu were mainly associated with the residual fraction, suggesting that their concentrations are controlled significantly by transport processes with the fine particles as carriers from diffuse pollution source. Concentration enrichment ratios(CER) were calculated from the non-residual contents and their values allowed us to classify the sediments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al r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