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71

        2483.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96년 4월1일부터 1998년 3월 31일까지 지리산의 국립공원에서 많은 고등균류를 채집하였다. 그것들을 생태적 자원면에서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희귀 균류는 진균문에서는 줄솔밭버섯(Omphalina ericetorum)을 포함하여 15종이고 변형균문에서는 아재비털먼지(Trichia affinis), 청황색 자루먼지(Physarum viride var. aurantium)을 2종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식용가능한 균류는 135종, 재배 가능한 버섯은 16종, 독버섯은 35종, 항암버섯(약용포함)은 68종, 균근형성균은 51종, 목재부후균(낙엽분해균포함)은 177종이었다.
        2484.
        199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남부 지방 농촌 소하천 제방 지역에 분포하는 죽림의 제방 보강역할을 파악하기 위해서 경남 진주시에 위치한 소하천 제방에 분포하는 죽림(분죽)과 잔디의 지중 뿌리 밀도 및 각 제방 토양의 관입 저항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나무의 경우 토양 깊이가 깊어질수록 뿌리 분포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잔디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지중 20-30cm 구간에서 가장 높고 지표면(0-l0cm)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잔디는 지표면(0-10cm)에서 가장 높은 뿌리 밀도를 보였으며, 지중 20-30cm 구간에서 가장 낮은 뿌리 밀도를 보였다. 또한, 지중 30cm까지의 전체 뿌리 분포량은 대나무가 잔디의 약 2.5배에 이른다. 죽근의 경우 지중 50cm 이상까지 분포함을 고려할 때, 실제로는 이보다 차이가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2. 시료채취를 위한 관 삽입 시 소요되는 타격수는 지중 뿌리의 밀도에 따라서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데 죽근의 관입 저항치(평균 21회)가 잔디(평균 8회)의 3배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2485.
        199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three-dimensional ecosystem model is applied to the Suyoung Bay, located at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to study of the material distribution in the time scale of several tens days. The model has included of the DIN(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P(Dissolved Inorganic Phosphate), phytoplankton, zooplankton and detritus, and also was coupled with the physical processe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a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e model is determined by the physical and chemical-biological parameters. The horizontal distributions of the DIN, DIP and chlorophyll-a are decreased from the coast to the off-shore, though the nutrients show some more complicated pattern than the chlorophyll-a. The nutrient contents in the off shore are low, and thus a relatively low productivity(chlorophyll-a) are presented. On the whole, the distribution of the results of model are smoother than the observed ones and some small scale variation in the observed data cannot be reproduced by the model due to the resolution limits of model. However, the basic pattern and the quantitavities has been reproduced by the model well.
        2491.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배수시스템의 설계시 임계지속기간의 개념을 도입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임계지속기간 산정시 설계강우분포의 선정은 명확한 기준없이 임의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의 도시화된 산본유역에 ILLUDAS 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강우분표형태가 임계지속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형결과의 분석으로부터 강우분포형태(등분포, 삼각형분포, 사다리꼴분포, Huff 분포, IDF 를 이용한 중앙집중분포)는 임계지속기
        2492.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Korean endemic and evergreen small tree ' Dendropanax morbifera LEV.(Araliaceae)' is a component of evergreen forest and mainly idstributein sourthern region and islands in Korea. A local population of D. morbifera which is located between evergreen and deciduous forest within 50m x 50m quadrate was investigated to ascertain the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emergence and growth dynamics of seedlings and saplings, and pattern of spatial distribution by the temproal and spatial expansion of population . The result of analysis of population structure by Importnace Value(IV), evergreen forest showed a high species diversity of evergreen tree species such as Cinnamomum japonicum, Machilus japonica, Neolitsea serica, Daphniphyllum macropodum, Ligustrum japonicum, and etc, in middle and under story than in upper story where Camelia japonica and Quercus acuta were dominant. And in conterminous deciduous fores, the major component of evergreen forest in this region, Camellia japonica, Quercus acuta, evergreen tree of Lauraceae and etc. were abundant in only under story. IV of D. morbifera differed from among three story. In comparative analysis of emergence and growth dynamics of D. morbifera seedlings and saplings between evergreen and deciduous forest, emergece and density of seedling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evergreen than in deciduous forest, and growth of height and basal diameter of seedlings and saplings were slightly larger in evergreen than in deciduous forest.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by Moristia's index mapping of indivuduals using a lattice method of XY axis within this population showed that seedlings(age up to 2 years) and saplings (age〉2 years and height〈1m) both evergreen and deciduous forest were more or less aggregated apart from mature trees, and thougth intermediate trees(height〉1m and dbh〈10cm) had a aggregated distribution pattern, mature trees(dbh〉10cm were uniform. In conclusion , the expansion of D. morbfera population from evergreen to deciduous forest accompanied with a mumber of evergreen woody species, and also, emergence and recruitment, and growth of seedlings were greatly influenced moisture and canopy by around community structure.
        2493.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clarify the seasonal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zooplankton community in Macheon Bay. the study was carried out trimonthly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6 to January 1997. 37 taxa and 7 unconfirmed species of zooplankton was identified. It consisted of 28 species of Protozoa. 1 species of Cnidaria, 1 species of Annelida, 2 larva of Mollusca, 3 species of Rotifera, 4 species and 4 larva of Arthropoda and 1 larva of Echinodermata, respectively. Seasonal succession of the dominant species was Tintinnopsis beroidea in the spring. Copepodite in the summer. Tintinnopsis directa in the autumn and Ceratium fusus in the winter. Abundance of zooplankton ranged from 4.720 to 4 1.215 inds./ . It was high in the summer (4 1.215 inds./ ) and low in the spring (4.720 inds./ 1 ). Dominant index ranged from 0.133 (in the spring) to O. 551 (in the winter). Species diversity index ranged from 1.114 (in the winter) to 1.996 (in the spring).
        2494.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orphlogical characteristics and cytotoxic acitivity for14 local varieties fo Codonopsis lanceolata collected from Korea were examined to get basic data for breeding and selection of good cultivars. Plant height ranged from 197.2 cm to 253.2 com, that from Beakunsan(No.11) was the highest and and that form Samcheok(No.5) was the lowest. Generally, plant height of those form northern area of Korea tends to be shorter than those from Southern area. Leaf width and length of that form Husando (No. 12) was the largest While that form chejudo(No.4) was the smallest and those from other area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to the number of branches, that form Yanggu(No.1) was theleast and those from other areas did not show Chejudo(No.14) were the heaviest. Among 14 varieties tested, Heongseong(No.3) and Huksando(No.6) exhibited strong cytotoxicity , which showed 45.0 an d62.0μg. ml respectively.
        2497.
        199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역의 지형특성에 근거를 두고 유출기여면적의 변화를 고려한 분포형 모형인 TOPMODEL을 이용하여 홍수유출해석에 대한 적용성을 연구하였다. 건설교통부에서 설치운영중인 위천대표시험유역의 소유역인 동곡 및 고로지점을 분석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1/25,000 지형도를 이용하여 수치고도지도를 작성하였고 지형인자분석은 지리정보 시스템 도구인 Arc/Info를 이용하였다. 두 소유역의 지형상수가 서로 비슷하였고 각 연도별 동일호우사상에 대한 모형매개변수도
        2498.
        199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천과 대수층이 연결된 계에서 분산오염원이 유입될 경우에 지하수 수질을 평가할 수 있는 공간적분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공간적분모형은 불포화대의 영향이 고려되었으며, 다양한 수문 및 대수층 모의 조건에서 Richards 방정식과 이송-분산 방정식의 공간분포모형에 대한 수치해와 비교를 통하여 공간적분모형을 테스트하였다. 비교 결과에 의하면, 분산도비와 대수층의 두께가 큰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간적분모형과 공간분포모형사이의 포화대수층의 평균농도 및 지하수유
        2499.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ongbok lake water before and after alum coagulation an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organic contents, molecular weight distributuin (MWD), and UV-absorbance. Dissolved organic compounds in the Dongbok lake were fractionated into three molecular size classes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fractionation was reasonably successful in isolating compounds with MW>10,000 (Fraction Ⅰ) and those with 3,000MW (Fraction Ⅲ. The bulk of the dissolved carbon was present in compounds of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3,000∼10,000. Alum coagulation preferentially treated molecules of high molecular weight, which has molecules larger than 10,000. The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removal after activated carbon adsorption was high in the Fraction Ⅱ, Ⅲ. The A_260/DOC ratio after alum and activated carbon treatment was high in the Fraction Ⅰ, Ⅱ.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organics remaining after each treatment has a 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2500.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건답직파재배에서 전체 시비량의 50%를 차지하는 기비의 양을 줄이므로 인해 나타나는 토양내 질소의 농도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비의 시용량을 이앙재배의 일반적인 시비량인 70kg-N/10a에 대해 75%, 50%, 25%, 무시용구로 하여 각각의 토양 내의 암모니아태 질소, 질산태 질소의 처리 후 농도변화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암모니아태 질소의 농도는 전체 시비량 140kg-N/ha의 50%를 기비로 시용한 처리구에 대해 75%, 50%, 25%, 0%의 수준으로 절비처리한 토양에서 기비의 시용량이 적을수록, 토심이 깊어질수록 낮아졌으며, 기비처리 후 27일이 경과한 후로는 모든 처리구에서 처리 전과 비슷한 양의 농도를 보였다. 2. 질산태 질소의 농도 또한 기비시용량이 적을수록, 토심이 깊어질수록 낮았다. 기비처리 후 27일 후에는 기비를 70kg-N/ha의 수준으로 시비한 토양에서는 기비를 주지 않은 토양보다 5배 정도 많은 양이 잔존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처리구는 처리 전의 농도보다는 다소 높았지만 처리 후 초기보다는 많은 양이 감소하였다. 3. Pot 실험을 통해 담수상태에서의 질산태 질소의 용탈량을 조사한 결과 시비 14일 후에는 질소시비량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양이 용탈되었다. (감수심≒20mm /일) 4. 40∼50cm 깊이의 토양에 존재하는 암모니아의 농도와 질산의 농도를 누적시킨 결과를 통해 시비처리한 비료의 대부분은 중력수와 함께 계속해서 하향이동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이들은 대부분 그대로 용탈된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