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71

        1661.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the most destructive forces around greenhouses is wind. Wind loads can be obtained by multiplying velocity pressure by dimensionless wind force coefficient. Generally, wind force coefficients can be determined by wind tunnel experiments. The wind force coefficient distribution on a single - span arched greenhouse was estimated using experimental data and compared with reported values from various countri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coefficients obtained from this study agree with the values proposed by G. L. Nelson except about 0.5 of difference in the middle region of roof section. This discrepancy is mainly attributed to the dissimilarity of experimental conditions (or wind tunnel test such as Reynolds number, type of terrain, surface roughness of model, location of the lapping and measuring methods. 2. Considering that the wind force coefficients are varied along the height of a wall at wi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wall, structural analysis using subdivided wind force coefficient distribution is more resonable for wall. 3. It is recommendable that wind force coefficient distribution on a roof should take more subdivision than the existing four equal divisions for more accurate structural design. 4. Structural design using wind forces close to real values is more advantageous in safety and expense.
        4,000원
        1666.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667.
        199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지역에서 채집된 잎벌레류를 중심으로 분류동정한 결과로 68종에 대한 분포지역을 추가 기록하였으며, 이 중에서 Chrysomela cuprea Fabricius, Chrysomeia lapponica Linnaeus, Phratora polaris (Schneider), Longitarsus brunneus (Duftschmdt), Longitarsus nitidus Jacoby등 5종이 한반도산 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또한 Chrysomela cyaneoviridis sp. n., Phratora ryanggangensis sp. n., Aphthona merkli sp. n., Luperomorpha josifovi sp. n.등 4종은 신종으로 기재된다.
        4,000원
        1672.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부호주 밀재배 지역의 Durokoppin 자연보호 구역내 흰개미(Drepanotemes tamminensis(Hill)) 집의 분포와 밀도에 있어서 토양형보다는 식물상이 주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D. tamminensis의 집은 Woodland (우점종-Eucalyptus Capillosa)와 Casuarina (우점종-Allocasuarina campestris) 식물군에서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다. 비록 Booram 토양형에서 개미집 밀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개미집 분포에 있어서 토양형이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4,000원
        1674.
        1994.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소화염법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박막합성시 기판표면온도 및 온도분포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공정변수는 탄화수소량을 결정하는 산소/아세틸렌 가스의 혼합비(R=O2C2H2)이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가스비율 변화 (R=0.87-0.98)에 따른 기판표면온도 및 온도분포를 측정하고, 이들 변수에 따른 다이아몬드 박막의 생성 및 결정형상의 변화과정을 SEM관찰, Raman 분광분석 및 X-선 회절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혼합가스비율의 증가에 따라 다이아몬드의 생성입자 수밀도는 감소하였고, 이와 동시에 결정형상도 (111)면과 (100)면이 혼재된 cobo octahedron형에서 octahedron인 (111)면으로 변화되었다. 한편, 기판온도증가에 따라 생성입자의 수밀도가 증가하고 성장속도도 빨라져 조대한 결정을 얻었으며, 생성된 입자형성은 (111)면애 지배적이다가 (100)결정면이 점차 많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4,000원
        1675.
        199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일부 계층의 오락을 위한 자연환경 파괴 행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충청북도와 충청북도 영동군은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소재의 물한계곡의 자연생태계 6,000,000평방미터에 스키장, 골프장, 콘도미니엄 등의 대규모 휴양시설을 건설하려는 주식회사 동신레져의 계획을 추진하고 있어 이 지역 생물종의 심각한 감소가 우려된다. 본 연구는 대규모 위락시설 개발로 결과될 동물생태계 황폐화를 예견하고 그에 따른 경각심을 촉구하고자 현재까지 잘 보존된 민주지산 물한계곡 일대 의 양서ㆍ파충류상을 선행 조사하여 수행하였다. 1994년 6월 24일에서 6월 25일에 걸쳐 민주지산 물한계곡에서 관찰된 양서류는 2목 5과 8종, 파충류는 1목 2과 5종으로 한국 대부분의 국립공원과 유사한 정도로 다양한 양서 파충류상을 나타내었다. 관찰된 8종의 양서류 중4종(도롱뇽, 꼬리치레도롱뇽, 두꺼비, 북방산개구리), 파충류 5종 중 3종(무자치, 능구렁이, 까치살모사)이 특정 야생동물로, 보호대상종의 빈도가 높아 민주지산의 보존가치는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민주지산 일대는 덕유산국립 공원 지역과 함께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연결하는 생물지리 항상 그 중요성이 매우 높은 곳이다. 덕유산국립공원 구역의 무주리조트, 스키장 건설 등으로 이미 자연생태계가 심각하게 파괴되는 이때 민주지산의 대규모 위락시설의 건설 계획은 마땅히 철회되어야 한다. 민주지산의 자연생태계 보존으로 양서 파충류의 보존과 함께 동식물의 이동로를 보존해야 할 것이다.
        4,000원
        1678.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nd load is known to be one of major forces to influence the stability of agricultural structures. General flow field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flow characteristics over the envelop of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greenhouses with arched roof : single span, twin span greenhouses, and two single span greenhouses apart 3m inbetween. Pressure coefficients along the envelop of greenhouse were numerically calculated by the k-ε turbulence model, which lead to determine wind forces on it. Curvilinear coordinate for an arched roof and the upwind scheme were adopted for the study. The calculated pressure coefficients were validated with the avaliable data of Japanese Standard and NGAM Standard. The Magnitude of calculated forces over the envelop was not in good accordance with data except the windward wall. Even tile data of Japanese and NGAM Standard for validation deviated a lot from each other in quantity and quality. Such discrepancy may be attributed to different geometric and/or flow configuration conditions for experiments, or the insenstivity of the k-ε turbulence model to recirculation flow.
        4,000원
        1679.
        1994.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2-유리 섬유/폴리에스터 브레이드 복합재료에서 원공의 크기 및 원공간 거리 변화가 인장성질, 핀하중 인장성질, 굽힘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원공의 크기에 따른 복합재료의 인장강도의 저하는 Whitney와 Nuismer에 의해 제시된 이론값과 대체로 일치함을 보여주었으며 이때의 특성길이(do)는 브레이드 복합재료는 약 1.6mm, 직물 적층 복합재료는 약 1.8mm가 되었다. 브레이드 복합재료의 원공간 거리 변화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는 두 원공 중심 사이의 거리가 원공 지름의 4배 이상이면 원공간 상호작용이 없었다. 원공의 중심과 측면간 거리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는 원공의중심과 측면간 거리가 원공 지름의 3배 이상일 때 상호작용이 없었다. 핀하중 인장실험에서 브레이드 복합재료와 직물 적층 복합재료 모두 핀의 지름이 증가함에 따라 Bearing Stength는 감소하였다.
        4,000원
        1680.
        199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a new concept to reduce turbulent frictional drag by injecting micro-bubble into near the buffer layer of turbulent boundary layer on flat plate. The concentrations of micro bubble distribution in the boundary was calculater by eddy viscosity equations in the governing equations. When near region of the buffer layer of turbulent boundary layer is filled with micro-bulle of air and viscous of the region is kept low, the velocity profile in the near region should be changed substantially. Then the Reynolds stress in the region becomes less, which guide to lower velocity gradient there. It results in reduction of velocity gradient at the viscous sublayer, which gives the reduction of shear stress at the wall.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