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

        21.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상사료내의 지질에 철분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사료(Common feed)와 물을 혼합한 비정상 사료내에 Vitamin E와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정상사료(P<.05)와 비정상사료(P<.01)내의 Vitamin E 함량은 1.75mg/g(실험 1일째) 로부터 0.25mg/g(실험 11일째)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 2. 정상사료내의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23.8mg/g(대조군)로부터 17.6mg/g(20% 철분 혼합군)로 역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P<.01). 3. 비정상사료내의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23.9mg/g(대조군)로부터 17.4mg/g(20% 철분 혼합군)로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P<.01). 4. 정상사료내의 Vitamin E와 유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비정상사료내의 함량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정상사료와 비정상사료내의 Vitamin E와 유리불포화 지방산에 있어서 날짜 경과별 및 철분 혼합 수준별 간의 상호작용이 인정되었다.
        4,000원
        22.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쥐의 암컷에서 유리불포화지방산, 인지질, creatinine 및 prostaglandin의 혈액내 함량을 측정하여 실험 동물로써의 생리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또한 임신일수와 분만후 경과시간에 따른 이들 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여 임신과 분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예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마리의 임신하지 않는 쥐를 대조군으로 하고 임신한 쥐 35마리를 5마리씩 7군으로 나누어 (5개의 임신군과 2개의 분만군) 100일 동안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쥐 암컷의 혈청내 유리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의 범위였고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임신21일군이 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2) 쥐 암컷의 혈청내 인지질 함량은 의 범위였고 임신21일군과 분만후 36시간군이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지만, 각 실험군 및 전체임신군과 전체분만군의 평균함량간에는 현저한 차이는 없었다. 3) 쥐 암컷의 혈청내 creatinine 함량은 의 범위였고 각 실험군간에 현저한 차이가 안정되지 않았지만, 임신21일군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4) 쥐 암컷의 혈액내 prostaglandin 함량은 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임신9일(), 12일() 및 15일()군 등이 낮은 수준인데 비하여 임신18일군()부터 대조군보다 증가되기 시작하여 임신21일군()과 분만후 12시간군()까지 계속 증가하여 최고수준에 달했으며 분만후 36시간군()도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각 실험군간에는 현저한(p<0.01)차이가 안정되었고 특히 전체임신군의 평균함량이 로써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고, 전체분만군의 평균함량이 로써 대조군과 천체임신군의 평균함량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5) 쥐 암컷의 혈청내 유리불포화지방산, 인지질 및 creatinine 함량은 임신일수와 분만후 경과시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않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임신말기와 분만후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6) 쥐 암컷의 혈액내 prostaglandin 함량은 분만개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4,000원
        23.
        198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eraction of dietary Magnesium, Calcium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vegetable oils)on 3-Hydroxy-3-Methylglutaryl Co-A reductase activity was studied for a period of 30 days using isocalories and isonitrogenous as a basal diet . The subject rabbits were divided into 18 feeding group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tio of α1-lipoprotein par lipalbumin is 0.34 for control group, 0.38 the highest group fed 0.1 Mg(II) 10ml plus perilla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0.25 group fed 0.1M Mg(II) 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2. The ratio ratio of α2-lipoprotein per lipalbumin is 0.64 for control group. 0.95 as the highest for the group fed 0.1M Ca(II) 1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0.1M Ca(II) 5ml plus perilla oil and basal diet. 3. The ratio of β-lipoprotein per lipalbumin is 0.71 for control group, the highest 0.81 for the groups fed 0.1M Mg(II) 10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0.37 for the group fed 0.1M Mg(II) 15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4. In serum triglyceride, control group was 129.5mg%, the highest 155.4mg% for the group fed 0.1M Ca(II) 5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85.7mg% for the group fed 0.1M Mg(II) 10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5. In serum cholesterol, control group was 96.7mg%, the highest 152.5mg% for the group fed 0.1M Ca(II) 10ml plus sesame oil and basal diet, the lowest 80.5mg% for the group fed 0.1M Mg(II) 15ml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6. In case of HMG-CoA reductase activity, control group was 0.95, the highest 0.98 for the group fed 0.1M Ca(II) plus soybean oil and basal diet. 7. Interaction between metal(II) ions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vegetable oil) are soybean oil〉sesame oil〉perilla oil, for Mg(II). soybean oil〉perilla oil〉sesame oil, for Ca(II). Therefore, it is invetig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metal ion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is the higher, the cholesterol level is the lower, and HMG-CoA reductase activity is increased.
        4,000원
        25.
        202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vironmental contamination by organic compounds are not only restricted to water, but extends to soil and groundwater as well. However, highly oxidized compounds, such as halogenated organics and nitro-compounds, can be detoxified employing reducing methods. Permeable reactive barrier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chnologies where zero-valent metals (ZVMs) are employed for groundwater remediation. However, organics contaminates often contaminate the unsaturated zone above the groundwater. Despite the availability of technologies like soil vapor extraction and bioremediation, removing organic compounds from this zone represents several challenges. In this study, the reduction of nitrobenzene to aniline was achieved using zero-valent iron (ZVI) under unsaturated conditions.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ter content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is reaction. Under dry conditions (water content = 0.2%), the reduction reaction was inhibited; however, when the water content was between 10% and 25% (saturated condition), ZVI can reduce nitrobenzene. Palladized iron (Pd/Fe) can be used to reduce nitrobenzene when the water content is between 2.5% and 10%. The reaction was evaluated over a wide range of temperatures (10 – 40 °C),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creasing the temperature resulted in increased reaction rates under unsaturated conditions.
        26.
        201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불포화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분흡입력은 공학적방벽의 수리-역학적 성능평가 및 설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입력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에 보고된 불포화 다공성매질의 수분흡입력 측정기술과 구성모델을 분석하고, 고준위폐기물처분장의 벤토나이트 완충재에 적합한 수분흡입력 측정기술과 구성모델을 제안하였다. 문헌 분석결과,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분흡입력은 일반토질보다 훨씬 높은 값을 가지며, 매트릭수분흡입력과 삼투흡입력을 포함하는 총수분흡입력을 측정하여 사용하였다.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분흡입력 측정에는 상대습도센서를 이용한 측정방법(RH-Cell, RH-Cell/Sensor)이 적합하였으며, 핵종 붕괴열에 의한 온도변화와 측정 소요시간을 고려했을 때에는 RH-Cell/Sensor 방법이 더 선호되었다.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분보유모델은 실험을 통해 여러 가지 모델이 제안되었지만, 불포화 완충재의 수리-역학적 성능평가 구성모델로는 대부분 van Genuchten모델이 사용되었다.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분특성곡선은 벤토나이트의 종류, 건조밀도, 온도, 염도, 측정 시 시료상태와 이력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수분보유모델의 선정 및 모델인자 결정에는 신뢰도 향상을 위해 이러한 인자들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27.
        2017.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주 중·저준위처분장 2단계 표층처분시설의 폐쇄 후 안전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예측·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 었다. 다중덮개와 처분고의 건전/열화를 고려한 총4가지의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강우침투 시 예상되는 처분시설 내부의 유 체 이동을 모사하였다. 강우 조건은 총 30년(1985~2014) 간의 월평균 데이터를 적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기간은 제도적 관 리기간인 300년으로 설정하였다. 처분덮개와 처분고 콘크리트 모두 건전성을 유지하는 조건의 기본 시나리오 평가 결과, 처 분시설 내부의 처분고를 완전히 포화시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중 덮개층을 구성하는 8개 층의 각 매질의 모 세관 압력과 투과도 차이로 인하여 다중 덮개층이 효과적으로 차수·배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the metal oxide catalyst in the dimerization of waste vegetable oil was investigated. The high efficiency and recyclability has allowed different metal oxides to be used as catalysts in numerous synthetic reactions. Herein, clay, aluminum, titanium, calcium, magnesium and silicon oxide micro/nanoparticles are used in a Diels-Alder reaction to catalyze the production of the dimer acids. The metal oxides assist the electron transfers during cyclization to produce the desired product.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scopy (LC-MS)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were used to verify the production of dimer acids. For the confirmation of cyclization,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the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From the analysis, silylated or pristine clay showed its effectiveness as a catalyst in dimerization. Furthermore, alumina and alumina/silica composite showed successful performance in the reaction to yield cyclic dimer acids. These result suggested that metal oxides and montmorillonite might be used in synthesis of dimer acids for the recycle of waste vegetable oils.
        30.
        201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대습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벤토나이트 완충재 블록의 불포화 수리전도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불포화 매질에서의 물의 흐 름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분석해를 통해 상대습도를 통한 불포화 수리전도도 계산방안을 도출하였고, 이를 실제 수행한 실 내 물 유입 실험 결과에 적용하여 포화가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완충재 불포화 수리전도도 양상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인 포화 상태와는 확연히 다르게 수두 구배와 물의 유출량이 시간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벤토나이 트 완충재의 불포화 수리전도도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 흡수로 인한 벤토나이트 입자 팽창 때문으로 인한 매질 내 공극의 부피 및 크기 확대가 불포화 수리전도도값의 증가를 야기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완 충재 블록의 팽창 정도와 수리전도도의 상관성에 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불포화 수리 전도도 평가 방안은 방사성폐기물 처분 시 완충재의 장기적인 수리학적 성능평가에 유용한 기술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3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우로 인한 사면파괴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문제이다. 이러한 강우 지반 침투로 인해 발생되는 침투 및 유출은 불포화 지반에서 사면파괴 혹은 침식을 유발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불포화 지반의 침투 및 유출량을 산정하여 사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강우로 인한 침투 및 유출을 실제와 유사하게 모의하기 위해 2011년에 사면파괴가 발생한 춘천지역의 불포화 특성(함수특성곡선, 불포화 투수곡선)을 반영하였고, 확률론적 강우량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조건의 강우강도, 초기 모관흡수력, 투수계수 및 함수특성곡선 영향인자를 반영하여 침투 및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모델식과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32.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1999년부터 2011년까지 발생한 우기(6월~9월) 및 건기(10월~5월) 시 발생한 사면파괴 이력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사면파괴는 6~9월인 우기 시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해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사면파괴로 발생하는 도로 유실 및 가옥 매몰 등은 심각한 경제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를 유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전 국토면적의 70% 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사면파괴로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실제 사면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불포화 지반정수를 반영함과 동시에 사면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강우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 기존의 연구에서는 사면의 침투 및 안정해석 시 지속강우를 적용하여 강우강도의 변화만을 이용해 해석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가 사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국내의 강우패턴을 반영하여 불포화 사면의 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쌍봉형(Bimodal rainfall pattern), 단봉형(Unimodal rainfall pattern)의 강우를 적용하고 투수계수가 높은 지반과 낮은 지반에 대해 사면의 침투 및 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지반조건에 따라 강우패턴을 적용하였을 때, 사면의 안전율 변화 및 침투특성을 분석하였다.
        34.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우 발생시 지표면으로부터 일어나는 침투현상은 토양내 함수비와 물리적 특성에 따라 습윤전선이 지표면으로부터 지표하로 이동하게 되고, 습윤전선을 기준으로 토양 내 포화 및 불포화 상태의 침투흐름으로 구분된다. 토양의 침투능 지배인자들은 지반의 초기조건과 침투에 따라 모두 연속적인 거동을 나타내지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Horton 공식(1933)과 Green-Ampt 공식(1911)은 현장의 조건과는 다른 불연속적 침투흐름을 고려한 식으로 실제토양에 적용할 경우 다른 양상을 보이고, 침투흐름 특성을 합리적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 투수층의 침투흐름 방정식을 이용하여 토양 물성치에 따른 토양분류별 강우조건과 유효토심에 대한 침투도달시간을 산정하고 분석하였으며, 침투도달시간 산정법을 강우강도와 유효토심을 기준으로 검증하기위해 국립방재연구소의 2008년, 2009년에 시행된 투수성 보도블럭 침투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실험의 시행년도와 투수성 보도블럭의 형태에 따라 검증 케이스를 4가지로 분류하고, 강우조건 50mm/hr, 100mm/hr, 150mm/hr, 200mm/hr에 의해 불포화 투수층에서 나타난 실측치와 산정된 침투도달시간을 비교하였다. 검증 결과 아래 그림과 같이 2008년에 실시된 침투실험 데이터 A1, B1은 강우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측 침투도달시간에 비해 다소 짧게 산출되었고, 2009년의 침투실험 데이터 A2, B2는 50mm/hr 강우강도를 제외하고 모든 검증케이스는 실측 침투도달시간에 근접하게 나타났다. 이는 A1, B1의 실험조건이 선행토양 함수조건을 구분하지 않고 실험을 실시하였고, A2, B2는 선행토양 함수가 없는 조건으로 설정 후 실험을 실시한 이유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불포화 투수층의 침투해석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양층의 함수조건과 강우강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할 수 있으며 연속적인 침투거동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적합할 것이다.
        36.
        2007.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특정 구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이 해당 구획 내부에 순간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한다는 구획모델에 대한 기본가정의 한계로 인해, 전통적인 단일구획모델로는 불포화대에서 오염물질의 이동현상을 적절하게 예측할 수 없다. 한편 물리적으로 동일한 불포화대를 여러 개의 구획으로 구분한 다중구획모델링 기법은 실제 불포화대에서의 오염물질 이동 지연효과를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으나, 지금까지 일반적인 해석해가 보고된 바 없으며 고려하는 구획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모델링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류가 지배적인 조건 하에서 불포화대의 오염물질 이동현상에 대한 다중구획모델을 수립하고 이를 해석적인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는 일반해를 유도한 후, 다중구획모델을 단일구획모델로 근사할 수 있는 수학적 제약조건을 도출하였다. 단순화된 근사방법론의 유효성은 가상적인 조건 하에서 간단한 수치해석적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물리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갖는 불포화대를 단일 구획으로 가정할 경우, 불포화대로부터 포화대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전이율은 상수가 아닌 시간 종속적인 명목전이율로 표현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명목전이율은 불포화대 구획간 전이율에 민감하며 오염층으로부터의 전이율에 대한 민감도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단순화된 근사방법론은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다중구획 모델링을 통하지 않고 불포화대 오염물질 이동현상을 신속하고 합리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