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최근 경영학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는 플랫폼전략에 근거하여 전통 문화마을의 생태계를 연구 하고 있다. 전통 문화마을이 국내 관광의 중요한 명소로서 개발되고 있는데, 공진화의 플랫폼전략 관점 에서 분석되고 발전될 필요가 있다. 문화생태계에 대한 플랫폼전략은 관광산업에서 매우 유용할 것이다. 이 논문은 국내 한옥마을 중 전통 문화의 콘텐츠가 잘 활용되고 있는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문화생 태계의 플랫폼을 분석하고 있다. 전주 한옥마을이라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SPICE 모델과 CPNT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한국의 전통문화는 한국이라는 브랜드를 세계 속에 알릴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파생되는 다양한 비즈니스의 효과도 매우 클 것이다. 문화생태계의 이해를 통하여, 관광산업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논문에서 거시적 관점으로 적용되고 있는 플랫폼 개념이 문화생태계에서도 활용된다면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입학사정관 전형(기회균형선발 특별전형I)으로 입학한 신입생을 위한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 뒤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전형으 로 입학한 재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학업적 특성과 실태 및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심층면담을 수행하 였고,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일대일 학습코칭을 결합 한 형태의 학습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참여 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 사후 검 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참여 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았고, 특히 자아존중감은 상승하여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보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 측면에서도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본 프로그 램을 통하여 학생들은 같은 전형으로서의 동질감을 느끼게 되어 안정감을 얻었으며, 그룹 활동을 통해 함께 학습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사이버대학과 일반 오프라인 대학은 수업운영 방식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특성에서도 많은 차이점이 있다. 즉, 사이버대학의 수업은 콘텐츠 기반의 온라인 중심으로 운영되며 학습자들은 연령층과 직업분 야, 입학동기 등이 다양하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역량이 요구되며, 대학 차원에서 는 성인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수-학습지원을 해야 한다. 특히 사이버대학은 학습자들의 상황적 요인에 의한 중도탈락율이 일반대학에 비해 높은 편으로 입학에서 졸업까지의 지속적인 학습지 도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요구분석에 기초한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를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B 사이버대학 재학생으로 학습실태 조사를 기반으로 한 요구조사 분석을 토대로 1) 디지털 리터러시 강 화, 2)상호작용 강화, 3) 대학생활 안정화, 4) 실무능력 강화, 그리고 5) 학습자 맞춤형 콘텐츠 개발과 운영 등 다섯 가지 영역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서 는 사이버대학의 특성과 학습자들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학습동기와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사 이버대학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교수-학습지원이 이루 어져한다.
Lifting plan in the large spacial structur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efficiency and economy of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riving the requirements for lifting techniques as the basic research in the double spoke wheel roof structure construction. In the lift up erection method, management plan of the interference error in the column and outer-ring was needed that occur during lifting roof structure. In the bent erection method, material usage reduction plan was required by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temporary bent. In the hybrid erection method, lifting plan was needed that minimizes weather condition and crane usage. All lifting techniques were required Value Engineering model for reduction of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A Gyeongju earthquake in the magnitude of 5.8 on the Richter scale (the moment magnitude of 5.4), which was recorded as the strongest earthquake in Korea, occurred in September 12, 2016. Compared with the 2011 Virginia earthquake, the moment magnitude was slightly smaller and its duration was 3 seconds, much shorter than 10 seconds of the Virginia earthquake, resulting in relatively minor damage. But the two earthquakes are quite similar in terms of the overall scale, unexpectedness, and social situation. The North Anna Nuclear Power Plant, which is a nuclear power plant located at 18 km away from the epicenter of the Virginia earthquake, had no damage to nuclear reactors because the reactors were automatically shut down as the design basis earthquake value was exceeded. Ground accelerations of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did not exceed the threshold value but the manual shutdown was carried out so that Wolsong Nuclear Power Site was not damaged. Damaged historic homestead house and masonry structures due to the Virginia earthquake have been repaired, reinforced, and rebuilt based on a long-term earthquake recovery project. Likewise, it will be necessary to carefully carry out an earthquake recovery planning program to improve overall seismic performance and to reconstruct the historic buildings and structures damaged as a result of the Gyeongju earthquake.
과학기술 전문가가 근거를 제시하고 정책관료가 결정을 내리던 기존의 정책결정체계와는 달리, 불확실성과 이해관계 대립으로 특징지어지는 기술위험 영역에서 참여적 의사결정방법이 바람직한 모델로 상정되어왔다. 이어 여러 가지 정책실험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 ‘누가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다양한 견해가존재한다. 본 연구는 기술위험 거버넌스에 대한 사회적 배경이 다른 두 나라인 영국과 한국에서 각각 수행된 방사성폐기물 관리방안 모색을 위한 공론화 프로그램을 역할분담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본고는 영국과 한국의 공론화 프로그램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참여자그룹이 어떻게 정의되고, 어떠한 근거로 역할이 상정되며, 적용된 의사결정방법은 무엇인지에 관해 논의한다. 공론화과정의 사례연구를 통해 많은 기술선진 민주주의 사회에서 지지 받고 있는 ‘참여를 통한 의사결정’이라는 기술위험 거버넌스의 규범이자 방법론이 실제 각기다른 정치사회 환경에서 어떻게 구현되는 지를 살펴본다. 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공론화에 대한 오랜 경험을 가진 영국과의 비교분석은 한국의 방사성폐기물 관리정책과 나아가 기술위험 거버넌스를 위한 정책도구를 정교화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국민을 참여시킨 X-프로젝트를 분석, 국민이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극적인 관심을 갖게 하는 과정과 실제적 참여, 그리고 사회적 효과와한계는 무엇인지 논의한다. X-프로젝트는 2015년 12명의 민간 위원이 추진하고 미래창조과학부가 후원하며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지원한 사업이다. 국민은 일상에서 겪는 아픔이나문제를 반영한 6,212개의 질문을 제기했으며, X-프로젝트 위원, 학계와 출연연 전문가, 정부정책담당자가 모여 50개 질문으로 국민의 요청을 연구과제화하고 연구팀을 공모했다. 대학, 정부출연연 연구자뿐 아니라 고등학생, 대학원생, 일반인, 기업인 포함 310개 연구팀이 신청했고 최종 54개 연구팀이 선정됐다.
X-프로젝트 참여자, 비참여자 및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이 연구는 첫째, 국민참여형 국가 연구개발 사업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 광범위한 사회적 공감대를 발견했다. 대중의 아픔, 불편을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 연구의 필요성은 물론 이 연구에 대중의 직접 참여가 가능함을 발견했다. 둘째, 시민들이 생산한 지식이 전문가들의 시각에서도 유용하다는 발견이다. 전문 연구자들은 국민이 제기한 질문이 매우 참신하고 유용하다고 평가했다. 셋째, 국민참여형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실행으로 시민들이 과학기술 발전의 수혜자가 아닌 발전에 기여하는주체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인식했다는 발견이다. 그러나 국민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동기 부여, 국가 연구개발 사업의 아이디어 제기부터 연구에 이르는 전과정에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의 개선, 일반인 연구자와 전문 연구자가 협업할 수 있는 방법 및 제도의 개선은 앞으로의 과제로 지적되었다.
본 사례는 공작기계산업의 A사에서 수행한 R&D 개발완료 과제 79건을 대상으로 R&D 효율성을 DEA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DEA 분석에서투입변수는 R&D 투자비와 연구인력 맨먼스, 산출변수는 개발기간 목표달성률과 예상매출액(5년간)으로 설정하였으며, 표본은 제품, 선행기술, 제어기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여기서선행기술은 제품성능을 위한 요소기술과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고 제어기술은 컴퓨터를 토대로 수치제어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제품, 제어기술, 선행기술 순으로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선행기술의 효율성이 가장 낮았다. 그 이유는 선행기술의 불학실성에 기인한다. 선행기술은 개발목표를 정하기 어렵고 개발계획도 수립하기 어렵다. 심지어 운영하는 과정에도 환경변화가 영향을 미친다. 투자효율성 분석결과에서 CRS는 제품 34.6%, 선행기술 14.3%, 제어기술 38.9%이다. IRS는 제품 53.8%, 선행기술 85.7%, 제어기술 38.9%이다. DRS는 제품 11.5%, 선행기술0%, 제어기술 22.2%이다.
전체적으로 본 사례는 과다투입보다는 과소투입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R&D 투자 부족을 의미한다. 주목할 부분은 기업의 미래 경쟁력이 될 수 있는 응용기술에 대한 과소투입이 심각하다는 것이다. 비효율적 DMU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최적의 투입량을 관리해야하며, 이것은 준거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구할 수 있다.
Recently, Product-Service System(PSS) is a rising paradigm that enables integration between products and services offering. Also, academic interests for product-service design using the house of quality (HOQ) have been emerged.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HOQ are usually extracted by experts. However, as the new technologies were merged,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optimum expert for extracting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in the fusion technology. Therefore, this paper applies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using patent data to extract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which considers not only products features but also services characteristics. Also, a case study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our approach with augmented reality-head mounted display. It was conducted to make the HOQ with distinct four steps. First, the customer needs were collected through the latest device review from website and grouped into the representative customer needs. Second,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augmented reality-head mounted display were extracted by using the US patent data of augmented reality head mounted display through the topic modeling technique. Third, the correlation degree of product - service characteristics was drawn by using the extracted topic’s cosine similarity. Finally, the relationship matrix of customer needs and engineering characteristics was filled with experts. After which we suggest product-service business concepts from HOQ. Main advantage is appeared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aper is that it can provide the business concepts of the integrated product-services to reflect the customer requirements. This business concepts are utilized for the early phase in R&D planning.
This thesis mainly deals with how ‘count of Ryang’ was used in the Daehan Empire. Count of Ryang means how many purlins were used in the building with longitudinal section. As a result, the notion of Ryang in the Daehan Empire does not differ from now one. But the usages of that are different from the Joseon Dynasty, and from the present. In the Daehan Empire, count of Ryang mainly was appeared with another word, count of Kan. In the Joseon Dynasty, they used the count of Ryang combined with Kan. Count of Kan had the meaning of purlin-directional length. By doing that, count of Ryang indicates the size of flank, count of Kan indicates the length of front. But in the Daehan Empire, count of Kan, especially the beam-directional length was considered at first, and then count of Ryang. Separately they used another count of Kan meaning the area of building. By using the combined words, count of Kan and Ryang in the beam direction, they got focused on the frame of wooden structure than before.
우리 삶에서 중요한 가치기준 중에 하나인 인과응보라는 개념은 인과설 수준으로 아직 논리적 타당성이 입증된 인과 론이 되지 못하고 있다. 3차원의 물질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작용과 반작용은 자연계의 법칙으로서 반드시 물리학에서 정 의된 법칙에 따라 원인과 결과의 예측이 가능해야만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과응보의 원리와 구조적 작용 메커니즘이 규명된다면, 인류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지금까지 발견된 어떤 자연법칙보다도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과응보 라는 메커니즘을 학계에서는 카르마의 부메랑 현상이라는 개념으로 정의하여 객관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평생 업고 가야 하는 이 업이라는 카르마가 현생에 작용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에너지나 작용이 어떤 매체 에 저장되어 있다가 현생의 개체에 선악의 업보로 상보적 되갚음이라는 작용을 한다는 구조적 메커니즘이 성립되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본 학회에서는 카르마의 부메랑 현상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장기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1단계 에서는 개인과 부부의 업을 공개 채널링에 의해서 확인하고, 그 카르마에 의해서 발생하는 억울함과 고통으로 나타나는 부메랑 효과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세 번째로 전인창조과학회 일본지부의 오재문씨에 대한 사례를 중심으로 카르마를 분석하고 영계해방 전후의 결과를 비교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