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44

        501.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50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on the changing pattern of fish-and-shellfish uses during the last two thirds of Chosun period on the premise that they are influenced by development of fishing technology. With a literary approach, this paper researches how fish-and-shellfish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 changed, especially in relation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fisheries. First, we examine into the changes of fishery production. And next, we analyze the kind and cooking method of fish-and-shellfish in [Eum-sik-di-mi-bang](1670) and [Gyu-hap-chong-seo](1815). The analysis of two book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sh-and-shellfish uses. Because the two books were written with a gap of 145 years and the development of fishing technology and remarkable changes of fishery production affected on the fish-and-shellfish uses. Due to primitive fishing tools and skills, fresh-water and reverse-river-fish and shellfish had been caught in substantial amount until the middle ages of Chosun period. As a result, the availability of seafood were limited extremely even in the upper classes. These situations are evidenced by the analysis of [Eum-sik-di-mi-bang]. Only 12 kinds of fish-and-shellfish are described in [Eum-sik-di-mi-bang]. Most of the sesfoods is mollusc which is easy to catch. As for the salt-water fish, dried cod and dried herring were mentioned. Mullet, the reverse-water-fish, is used most frequently. Only one kind of 'Hoe', which needs extreme freshness, is described. This means that the use of fresh fish-and-shellfish was very limited to some kinds which could be caught near the village. As the netting fishery began to be developed in the 18th century, the production of some salt-water fishes, such as anchovy, shrimp, yellow corvina, pollack, and herring, had increased remarkably to make marine resources more available. Small fish, such as anchovy and shrimp were preserved as 'Jeot-gal' and sold nationwide. Therefore, 'Jeot-gal' and seafood could be used in Kimchi around this time and had a deep influence on the change of Kimchi in taste and nutrition. In [Gyu-hap-chong-seo], 33 kinds of fish-and-shellfish are described. Including cod and herring, 17 kinds of sea water fish and mollusc are mentioned. Some of these are consumed in fresh state, neither as dried nor as salted. Because the merchants promoted the transport of seafoods to other regions according to the growth of commercial economy. As a result the diet of the people could be enriched by the various seafoods.
        4,300원
        504.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an attempt to practice Jungian ways into a great poem of Yeats’s, “Among School Children,” over which home and foreign academic societies concerned have been under much controversy till now. But it is very regrettable that I have no belief if the views issued from some noted scholars in the societies have been plausible or appropriate. In the sense, as suggested by the title, the encounter between Great psychologist C. G. Jung and Great poet W. B. Yeat is very significant in that they both had pursued the same ultimate subject as a supreme state of humanity respectively represented as archetype of ‘Self’ and ‘Unity of Being.’ For Jungian ways applied to the poem, first symbols, images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lurking in it can be useful as the interpretative clues. These representations can function as faithful agents helping us to reach the gate of the poetic truth, urging us to mobilize Jungian esoteric terms corresponded to several kinds of psychological situations people must go through. ‘Great Mother,’ maternal archetype, who stands for earth and womb and takes two characteristics, construction and destruction, possessing opposite qualities of Witch Kali and Virgin Mary, exercises serious effect upon a male child as an earthly hero. Some ideal aim or mission that the hero strives to grasp is just equivalent to hurriedly return to the womb as his biological origin, namely secular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entrophy’ meaning the second principle of thermodynamics; does mean the hero’s life whatever else? It can be associated with the biblical situation, Pieta, the holy picture describing Mary’s lamenting in bitter grief with embracing his dead son, Jesus Christ. In fact, the hero is determined to death resulting from energetic emission of burning libido, which can be embellished with either establishment of duty or sacrifice to community. Thus, ‘Great mother’ longing for the runaway baby from her womb, in turn, is expecting his death to suffice emptiness of womb and heal her chronic complex, hysteria. In conclusion, in the poem, we can find that the destiny that after “children” in the “school” go through a initial step of ‘individuation,’ the perfect state which further can be indivisible, they, absurd beings, are cast into the tough world with each secular mission is just to aid the scheme of ‘Great Mother.’ “school” is a temple teaching “dance” and “children” in it dancers learning “dance.” Accordingly, the enigmatic relation of “dancer” and “dance” in the eighth stanza would be unraveled: The former can come under an archetypal pattern and the latter can correspond to its practitioner. Thus, “dance,” playing a role of ‘complex’ as compelling force and driving us to imitate it, tires us, dancers, finally to death, as an erotic dancer Salome’s dance murdered a spiritual dancer John the Baptist. After all, we can never get to the core of “dance” only to hang around its brink, which Yeats should know. As usual, getting captivated by “dance,” we continually shout hoarse to others: Shall we dance?
        6,000원
        50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상황버섯은 한번 접종하여 4년간 재배되는 버섯으로서, 원목의 일부를 땅에 묻어서 재배하는 지면재배 방식으로 상업적 재배가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보다 집약적인 재배방식으로 원목을 덕(균상)에 매달아서 재배하는 지상재배가 시도되고 있다. 지상재배는 덕(균상)을 만들어 많은 숫자의 골목을 매달아 재배하는 것을 제외하면 그 재배과정이나 작업요령에는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지상재배는 덕(균상)이라는 시설투자에 5,678,230원이 더 들고, 원목이 지면재배 5,200본의 2.8배인 14,400본이 소요되어 368만원의 원목비와 그에 따른 종균비 1,104,000원 등이 더 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재배사 100평을 기준으로 한 4년간의 생산비는, 지면재배가 20,180,971원 지상재배가 37,953,825원으로, 지상재배가 지면재배의 1.9배에 이르고, 경영비는 지면재배가 12,077,712원, 지상재배가 24,075,432원으로, 지상재배가 지면재배의 2.0배가 되었다. 순수익은 4년간 100평에서 지면재배가 5억 8,094만원, 지상재배가 16억 8,330만원으로, 지상재배가 2.9배 많았고, 소득은 지면재배가 5억 8,904만원, 지상재배가 16억 9,718만원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득도 지상재배가 지면재배의 2.9배가 되었다. 이는 재배 원목수의 차이 2.8배에 골목 1본당 수확량의 차이 1.03(541g : 523g)가 더해진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생산비 차이 1.9배나 경영비 차이 2.0배보다 훨씬 크다. 이상을 종합하면, 지면재배는 지상재배에 비하여 투자비는 적게 들지만, 소득도 그만큼 낮고, 재배 원목과 버섯 수확량이 지상재배에 비하여 적기 때문에 저투입-저수익 재배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고, 지상재배는 투자비와 노동력 투입이 많지만, 수익은 그보다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현금흐름 측면에서는, 지면재배의 경우는 첫해의 자금지출은 지상재배보다 적지만, 첫해에 수확이 전혀 없기 때문에 투자 후 2년 정도가 지나야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지만, 지상재배는 비록 첫해의 자금수요는 그보다 크지만, 첫해부터 수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부는 아니더라도 첫해부터 투자비 회수가 가능하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하겠다.
        4,300원
        506.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눈꽃동충하초 분생자경속을 형성하는데 액체배양을 이용한 접종원의 배지는 PDB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분생자경속 형성에 유리한 배양온도는 20℃로 나타났다. 조명은 500lx.에서 가장 양호한 성장을 하였으며 광조사 시간은 18hr이 가장 유리한 분생자경형성 조건을 나타내었다. 알맞은 배지 조건은 번데기와 현미를 50 : 50 의 비율에 증류수를 현미에 1 : 1비율로 첨가한 혼합배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번데기배지는 원형상태와 분쇄상태 중에서는 분쇄된 상태에서 번데기배지의 공극률이 높아 균사의 침입이 용이하여 분생자경속 회수율과 균사의 배지내에 형성이 원형상태의 번데기보다 더욱 높게 나타났으며, 균사의 생장도 역시 분쇄한 번데기에서 더욱 빠르고 고르게 나타났다. 종균 접종량은 15㎖의 종균을 접종하면 분생자경속이 잘 형성되었다. 눈꽃동충하초 재배에 가장 안정하게 재배하려면 분쇄한 번데기에 현미와 혼합한 배지에 종균 15 ㎖를 접종하여 24 에서 발이를 시킨 후 20℃의 배양실에서 재배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09.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반의 횡파 속도 단면은 주로 다운흘 탄성파 탐사에 의존해 왔으나 최근에 MASW와 같은 표면파 탐사방법과 SCPT와 같은 탄성파 콘 관입시험법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고결 퇴적물에서 다운홀 탄성파 탐사, MASW, SCPT 등을 사용하여 횡파 속도 단면을 구하고 이들을 시추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퇴적물상의변화와 횡파 속도 변화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세 가지 횡파 속도 단면 중 SCPT가 퇴적물상의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CPT 결과 퇴적층 내 약 8∼l2m 깊이에 주로 점토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는 저속도 층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10.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생종인 가막사리 (Bidens tripartita), 도깨비바늘 (B. bipinnata), 귀화종인 미국가막사리 (B. frondosa), 흰도깨비바늘 (B. pilosa var. minor)의 도깨비바늘속(Bidens) 4분류군의 성장반응과 생태적 지위폭을 비교ㆍ분석하기 위하여 광도, 토양함수량, 토양무기영양소의 3가지 환경요인별, 구배별 재배실험을 하였다. Phonology는 구배별로 큰 차이가 없으나, 종별로는 차이를 나타내어 귀화종인 2종이
        4,000원
        512.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 분포하고 있는 개구리 속에 대한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상호 비교하여 종간 유전적 변이 정도를 밝히고자 한국산 개구리 속 6종과 일본산 개구리 속 1종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165 rDNA를 분석하였으며, Gene-bank에 수록된 일본산 산개구리류 3종도 함께 비교 분석하여 총 437 bp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산개구리류 7종에 대한 similarity는 91.3∼97.3%이며, 참개구리류는 96.1∼97.3%로 나타났다. 또한, 참개구리류와 옴
        4,000원
        513.
        200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름이 평지위의 난류속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스페인 빌라프리아 공항에 설치된 9 m 기상관측탑에서 얻은 역학 및 열역학 자료를 경도법으로 분석하였다. 일몰에 따른 표면 냉각은 표층 풍속을 감소시켰다. 현열속과 운동량속은 열역학적 인자 보다는 역학적 인자에 따라 증가하였고, 현열속은 열적인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구름이 존재하는 경우 전천일사량이 현열속 변화를 주도하지 못했고 대기 표층은 오히려 바람의 강도에 영향을 받았다.
        4,000원
        514.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식품을 오염시켜 식중독을 유발하는 주요 식중독 세균인 Escherichia, Salmonella, Shigella, Vibrio, Listeria 등 5속의 병원성 세균들을 반복성 염기성열을 이용한 ERIC-PCR을 이용하여 동시에 동정할 때 이용되는 주요 PCR 반응성분인 MgCl_2, dNTPs, primer, template DNA의 최적 농도를 결정하였다. MgCl_2 반응성분은 2 mM을 적용하였을 때부터 일정한 fingerprinting pattern을 얻을 수 있었으므로 2 mM을 MgCl_2의 최적농도로 결정하였다. dNTPs의 농도는 250 μM까지 증가함에 따라서 6균주 모두 200 μM까지는 농도 증가와 비례하여 단편의 수와 강도가 점증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단편의 수와 강도가 일정하였다. 그러므로 일정한 fingerprinting pattern을 얻기 위하여 200 μM의 dNTPs만으로도 충분하였다. ERIC primer들은 2 μM의 농도를 적용했을 때부터 일정한 fingerprinting pattern을 나타낼 수 있었으며, 그 이상의 농도를 적용했을 때 단지 단편들의 강도만이 증가하였다. Template DNA도 다른 PCR 반응성분에 대한 실험과 마찬가지로 적용한 DNA양의 증가에 따라 단편의 강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적용 균주들에 대하여 DNA의 양이 최소일 때와 최대일 때 각각의 얻어진 fingerprinting pattern들을 비교할 때 단편의 수는 별 차이가 없었다.
        4,000원
        515.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framework of linear perturbation theory and linear approximation of spacetime anisotropy, we investigated the formulae for the CMBR temperature anisotropy and fluctuation spectrum which have their origin in the primordial tensor perturbations of the perturbed Bianchi type I universe model. The resulting formula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flat Friedmann model.
        4,000원
        516.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복성 염기서열을 응용한 PCR법인 REP-PCR을 사용하여 식중독 미생물의 분리와 동정을 위한 연구에 적용하기 위하여 주요 식중독 유발세균 5속(genus), 6종의 균주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PCR 구성성분인 MgCl2, dNTPs, REP sequence primer, 주형 DNA의 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한 연구 결과, MgCl2의 농도가 2.0 mM과 2.5 mM일 때, 균주들의 fingerprinting pattern의 변화가 없거나 적은 것으로 관찰되어, 모든 속의 균주를 단일조건으로 분리?동정하기 위해서 MgCl2의 농도는 2.5 mM이 최적인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dNTPs는 50 μM의 농도를 적용하였을 때부터 전체 fingerprinting pattern범위의 주 단편들을 나타내는 균주들도 있었으나 총 단편의 수가 완벽하게 나타나지는 않았고, 200 μM의 적용시점에서 6종의 균주 모두 단편의 수나 강도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fingerprinting pattern의 파악을 위한 목적에는 200 μM의 dNTPs 농도만으로도 충분하였다. REP primer는 적용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편의 수와 강도가 증가하였으며 Vibrio를 제외한 5종의 균주가 2.0 μM의 primer를 적용했을 때 고유한 fingerprinting pattern을 나타냈다. 주형 DNA의 양을 변화시켜 적용하였을 때 DNA 양의 비율이 2배에서 5배까지 증가하여도 초기 미량 적용 시 생성되었던 fingerprinting pattern은 많은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적용되는 DNA 양에 따라 단편들의 강도와 수가 약간씩 점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4,000원
        51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온기 분식 칼랑코에 재배에 있어 문제는 고온 스트레서에 의한 생장의 억제로, 본 연구는 지하부 및 지상부의 생장을 촉진을 시킬 수 있다고 알려진 근권 생장촉진미생물(Pseudomonas sp. B와 Pseudomonas sp. D2)을 선발하여 사용하였으며 천연물로서는 alginoligosaccharide와 glucosamine oligosaccharide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들의 AG-용액과 단일 및 복합 처리하여 재배 온도차이를 부여한 경우 칼랑코에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상이한 지하부 온도조건은 25℃, 30℃ 및 35℃로 처리하여, 2주후 초장, 엽장,엽폭, 엽면적, 엽중, 지상부 생체중, 근장, 근중을 조사하였다. 25℃처리구에서는 초장, 엽면적, 엽중, 근중 모두 Pseudomonas sp. B와 glucosamine oligosaccharide를 혼합한 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30℃의 경우 초장과 엽중은 glusosamine oligosaccharide처리에서, 엽면적과 근중은 Pseudomonas sp. D2와 algin-oligosaccharide를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생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35℃의 경우는 초장, 엽면적, 엽중, 근중 모두 Pseudomonas sp. B와 glucosamine oligosaccharide를 혼합한 처리구에서 효과가 컸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온기 칼랑코에의 분화 재배시 문제가 되는 생장억제현상은 천연제재와 미생물 제재를 혼합처리 함으로써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
        4,000원
        519.
        200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리속(屬) 식물의 엽초는 품종에 따라 엽위별 형태와 숫자가 큰 차이를 보여 품종별로 식재깊이에 따른 엽초수를 조사하고, 엽초를 제거한 후 생육 반응을 알아보았다. 품종별 엽초는 0cm로 식재한 경우 'Jolanda'는 6매엽, 'Dream Land'는 5매엽과 'Casablanca'는 11매엽으로, 6cm로 식재한 경우 'Jolanda'는 6매엽, 'Dream Land'는 5매엽과 'Casablanca'는 14매엽으로 밝혀져 'Jolanda'와 'Dream Land'는 식재깊이에 따라 엽초수의 차이가 없었으나 'Casablanca'는 6cm로 식재한 것이 0cm로 식재한 것에 비해 엽초가 3장이 더 많아졌다, 한편 엽초를 제거함으로써 'Le Reve'와 'Casablanca' 두 품종 모두 초장이 작아졌으며 stem root의 생육이 나빠졌다. basal root의 생육과 꽃수는 품종별로 다른 양상을 나타냈으며 줄기 직경, 개화소요일수와 꽃의 크기는 차이가 없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