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방산의 자연생태계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13개 지점에서 1995년 7월부터 1996년 6월까지 서식환경과 4목 1아목 6과 7아과 20종 1,908개체의 담수어류상을 조사하였으며 그 상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채집 장소의 하천형태는 Aa, Ab형의 산간 계류형이고, 하상구조는 자갈, 모래, 바위가 섞인 형태를 보였다. 속사천의 수 환경요인은 평균 pH(7.41), [COND.(0.051), TURB.(10.00), DO(8.66), W.T.(15.4)]이었고, 계방천은 pH(7.44), [COND.(0.097), TURB.(21.59), DO(9.35), W.T.(15.4)]로 담수어류가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판단되었다. 2. 총 20종의 어류중에서 일차담수어는 18종(99.98%), 주연성담수어는 2종(0.02%)이다. 이 중 한국고유종은 금강모치(Moroco kumgangensis), 배가사리(Microphysogobio longidoralis), 새코미꾸리(Cobitis rotundicudata), 미꾸리(Misgurnus anguillicaudatus), 쉬리(Coreoleucosus splendidus), 왕종개(Cobitis longicorpus), 산천어(Oncorhynchus masou ishikawai), 열목어(Brachymystax lenok), 참마자(Hemibarbus longirostris), 미유기(Silurus microdorsalis), 참종개(Cobitis koreensis koreensis) 그리고 어름치(Hemibarbus mylodon) 등 12종이었다. 3. 총 20종의 채집어류 중 금강수계와 계방산에만 서식하고 있는 한국고유종인 금강모치가 46.85%로 우점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27.35%로 갈겨니였다.
미국과 캐나다는 한국에 분포하는 잎응애속(Tetranychus)중 범세계적 분포종인 점박이응애(T. urticae Koch)를 제외한 벚나무응애(Tetranychus vienensis Zacher), 차응애(T. kanzawai Kishida), 뽕나무응애(T. truncatus Ehara)를 검역대항으로 하고 있다. 잎응애속 응애들은 암컷성충으로 월동휴면에 들어가는데 기존의 수컷생색기의 형태를 위주로 한 동정방법으로는 이 휴면태의 암컷을 정확히 동정하기 어렵다. 월동을 위해 사과 과실 꼭지부에 우발적으로 부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우려되는 잎응애속 응애들의 월동휴면태에 대한 신속, 정확한 동정법이 수출검역현장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사과의 주요해충인 점박이응애와 과수원 주변에서 발견되는 벚나무응애, 뽕나무응애, 차응애의 미토콘드리아 DNA(mtDNA)내 cytochrome oxidase subunit I(CO-I) 유전자를 PCR로 증폭하고 증폭된 DNA의 종간 변이를 이용하여 발육영기나 암수에 관계없이 동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쌍의 primer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유전자 일부(680 bp)를 중복되게 증폭하였고 증폭된 유전자는 제한효소 AluI, DdeI, Sau3A 대하여 응애종간 특이적 인식부위를 가지고 있었다. 제한효소에 의해 절단되는 특이적 DNA 단편은 Tetranychus 응애류를 동정하는데 유용한 표식인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증폭한 CO-I 유전자내의 제한효소 인식부위에 대한 이들 4종 응애의 유전자지도를 작성하였다.
In this study, the alteration of Jook was studi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ingredients of Jook appeared in the reference of cookbooks from 1611 to 1958. 121 kinds of Jooks were mentioned 371 times. The Jooks made only with grains, mostly Hin Jook (white Gruel) made of rice, were recorded 31 times in 10 kinds. Rice or processed rice appeared most (194 times) as main ingredients in Jooks other than Hin Jook. As for condiments, honey and sugar were mentioned 37 times, accounting for one third of the condiments recorded as used for Jooks. The basic ingredient of Jooks were rice, but mostly the Jooks were named after the subsidiary materials. Chinese medicinal ingredients were most among the subsidiary materials; 35 kinds of them were mentioned 73 times. As regards the ingredients of the Jook, the other ingredients were added to the grain ingredients between the 17th century and the 19th century whereas only grains were put into Jook during the 20th century.
대만산 과실파리과의 신종, Cornutrypeta taiwanensis를 그림과 함께 기재한다. 이 종은 대만에서 최초로 기록되는 Cornutrypeta 속이며, 노랑접시트랩을 사용하여 동일 지역에서 채집한 각각 2개체씩의 수컷과 암컷들을 모식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 종의 계통학적 유연관계는 분지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한국산 Acantholyad속은 A.erythrocephala(Linnaeus), A. posticalis(Matsumura)및 A. parki sp. nov.등 3종으로 정리된다. 이중 분류상의 어려움이 많아 명명학적으로 혼동이 많았던 이들 종들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졌다. 또한 잣나무의 주요해충으로 알렸던 잣나무넓적잎벌은 현재까지 A. posticalis posticalis M.로 기록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Acantholyda nemoralis T.로 정리되어 있으나 일본 북해도대학에 소장되어 있는 동종의 모식표본을 검경한 결과 분류학적으로 다른 별도종으로 확인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주특이성과 생태적으로 차이점을 보여 신종인 A. parki sp. nov.으로 기재하였다.
중국 중부와 동부에서만 기록되어 있던 Sineugraphe stolidoprocta Boursin (중국쌍검은밤나방 신칭)이 우리나라에서 새로이 발견되었기에 보고한다. 이로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Sineugaph2속 은 4종이 되며, 이들 4종의 생식기특징을 도해하고, 국내외 분포 및 형태적 특징을 논하였다.
본 연구는 Allium속의 중금속 흡착력을 구명하고자 식물체의 식용부위별, 시료의 입자별, 중금속의 농도별, 용액의 온도별, pH별 실험 결과이다. Allium속에 의한 중금속의 흡착 량은 Allium속의 종류에 관계없이 Cd이 Zn보다 훨씬 많았다. 대파, 쪽파는 입자가 클 수록 Cd 흡착이 잘 되었으나 Zn은 입자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농도별 중금속 흡착력은 용액중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일정하지 않았다. 온도에 따른 중금속의 흡착력은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예외적으로 달래는 Cd 흡착량이 감소하였다. pH에 따른 중금속의 흡착량은 두 금속 모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중금속의 흡착에 미치는 Allium속 성분함량간의 관계는 함황 아미노산과 비타민 B_2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본 연구는 Allium속의 중금속 흡착력을 구명하고자 식물체의 식용부위별, 시료의 입자별, 중금속 농도별, 용액의 온도별, pH별 실험 결과이다. Allium속에 의한 중금속의 흡착량은 Allium속의 종류에 관계 없이 Pb이 Ni, Cu보다 훨씬 많았다. 대파, 쪽파는 Cu에 대하여 시료 입자가 클수록 흡착이 잘 되었으나 Ni, Pb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농도별 중금속 흡착력은 농도가 높을 수록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일정하지 않았다. 온도에 따른 중금속의 흡착력은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Ni은 대파, 달래, 부추에서 Pb은 쪽파, 달래, 부추에서 감소하였다. Pb의 흡착력은 pH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Ni 및 Cu는 pH 영향을 많이 받았다. Ni은 pH증가에 달라 흡착량이 증가되었고, Cu는 오히려 감소되었다. 중금속들의 흡착에 미치는 Allium속 성분함량사이의 관계는 함황 아미노산과 비타민 B_2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전압형제어에 의한 유도전동기의 토크 속응제어법의 메카니즘이 기술되어 졌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펄스전압 인가에 의한 과도토크 소거원리를 전류레벨에서 해석함과 동시에 직관적 이해를 돕기 위해 벡터표현을 이용하여 제안 방식의 이론적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이상의 검토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압형제어에 있어서는 임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스텝응답을 실현할 수 있다. (2) 유한 미소정정시간 δ를 매개로 정식화를 행함으로써, 토크의 스텝응답을 실현할 수 있는 이론적인 전압해 및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전압해를 동시에 구할 수 있다. (3) 토크 속응제어를 δ이후의 과도전류가 0으로 되는 전압지령에 의해 실현하므로 펄스전압인가에 의한 스파이크 전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4) 전동기 정수가 불변 또는 실시간으로 동정된다면, 제안방식은 제어지령을 결정함에 있어서 전류정보에 직접 의존하지 않고도 피드포워드적으로 전압지령의 연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 구성의 간략화와 동시에 제어정도가 전류정보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제어계의 구축이 가능하다
DGEBA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MDA(4,4'-methylene dianiline)/SN(succinonitrile)계와 DGEBA/MDA/SN/HQ(hydroquinone)계의 경화반응 속도론을 Kissinger equation 및 Fractional life 법에 의해 85~150˚C에서 DSC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경화반응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반응속도는 증가하는 반면, 반응차수는 거의 일정하였다. 또한 촉매로 HQ를 첨가한 계가 첨가하지 않은 계보다 반응속도는 크게 증가했으며, 활성화 에너지 값은 약 20% 정도 감소하였다 또한, 경화반응 시작온도는 30˚C 정도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