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9

        1141.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내 혹은 협수로와 같은 제한수역에서 근접하여 항해중인 두 선박간의 상호 유체력 및 모멘트가 선박조종운동에 상당히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두 선박간의 상호간섭력은 종방향 거리, 횡방향 거리 및 두 선박의 속도의 함수로서 가정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접 항해중인 추월선박과 피 추월선박간의 상호유체력을 계산하고, 두 선박간의 횡방향 및 종방향 거리와 속도, 그리고 타 사용으로 인한 접근상황 및 충돌시간에 대해서 검토, 고찰하였다.
        1142.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Spray 장미 중 다섯 가지 색상을 가진 백색 ‘Crystal Fairly’, 주황색 ‘Lady Meilandina’, 분홍색 ‘Lovely Fairly’, 적색 ‘Prince Meilandina’, 황색 ‘Sun Sprinkles’ 5품종의 형태, 두께, 수분 함량, 화색을 조사하여 spray 장미의 색소 잔존율을 높여 압화 소재 로서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색 변화를 관찰하고 효과적인 건조 온도, 건조 시간 등을 알아보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색에 따라 건조 효과를 보면 ‘Sun Sprinkles’가 건조 효과가 가장 좋았고, ‘Lovely Fairly’와 ‘Lady Meilandina’, ‘Crystal Fairly’, ‘Prince Meilandina’ 순이었다. ‘Crystal Fairly’는 60℃에서 8시간 건조처리 하였을 때 색이 가장 좋았으므로, 60℃ 8시간 이상에서는 누렇게 변색 되어서 8시간 이하 짧은 시간에 건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이었다. ‘Lady Meilandina’와 ‘Lovely Fairly’는 각각 60℃에서 8시간과 40℃에서 24시간 건조처리 하였을 때 색이 가장 좋았으나, 고온에서 건조 할 경우 자연스러운 탈색을 유도할 수 있었다. ‘Prince Meilandina’는 30℃에서 24시간건조처리 하였을 때 색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고온에서 건조하였을 때 색이 많이 옅어지면서 변색이 됨으로 고온에서의 건조를 피하고 저온에서 오래하는 것이 건조효과를 높이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건조 효과가 가장 좋은 ‘Sun Sprinkles’는 40℃에서 24시간 건조처리 하였을 때 색이 가장 좋았으나, 건조 온도에 특별히 큰 영향을 받지 않아 생화의 색상을 그대로 유지 하였다. spray 장미의 건조 효과의 색차 값과 눈으로 보는 관능검사의 결과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1144.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 지속시간에 따른 정서와 EEG 대뇌반구 비대칭의 차이지표를 분석하여 운동 참여자들이 일회성 운동으로부터 심리적 혜택을 경험할 수 있는 최적의 운동 운동지속시간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는 20-25세의 여자대학생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평균나이는 21.1세였고, 운동 지속시간 과제(VO2max 60% 수준에서 10분, 20분, 30분, 40분)에 참가하였다. 연구의 실험설계는 운동 지속시간(VO2max 60% 수준에서 10분, 20분, 30분, 40분)에 의한 단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긴장, 우울, 분노, 활력, 피로, 혼란, 총정서장애 그리고 EEG 대뇌반구 비대칭 차이지표의 점수이다. 본 연구결과 부정적 정서인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란 그리고 총정서장애에서는 안정 시 조건과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긍정적 정서인 활력과 EEG 대뇌반구 비대칭 차이지표에서 안정 시 조건과 운동 지속시간 30분 조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고, 안정 시 조건과 40분 조건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 지속시간에 따른 정서와 EEG 대뇌반구 비대칭 차이지표(log R-log L)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본 연구의 결과는 30분 정도의 운동이 긍정적 정서변화의 효과를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40분 정도의 오랜 운동 지속시간은 “기분 좋아짐(feel better)" 현상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EEG 대뇌반구 비대칭 활성화를 이용한 본 연구방법은 운동이 정서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심리생리학적으로 이해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1145.
        200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자료수집과 적용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기존의 수치모형들 대신에 최소한의 유역정보를 이용해 오염물질의 이동시간과 확산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하천에서 오염물질의 이동속도, 시간에 따른 오염물질의 첨두농도, 오염물질이 하천의 한 점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장경 등의 요소들을 이용한 단위오염도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들 요소들의 추정을 위해서는 미국 내의 수많은 하천을 대상으로 개발된 회귀방정식을 이용하
        1148.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설기의 최적 배합비(쌀가루 100%, 수분 60%, 소금 1.5%, 설탕 15%)를 선정하여 찌는 압력(0.5, 1.0, 1.5 bar)과 찌는 시란(5, 10, 15분)을 달리하여 시료를 제조 후 저장기간(0, 4, 8, 12, 24시간)에 따른 백설기의 굳기변화와 굳기속도 및 관능적 특성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굳기는 저장기간 0시간에서 8시간은 완만하게 증가하였지만 12시간 이후에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찌는 압력이 1.0
        1149.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자력발전소 사고시 방사성물질이 발전소외 지역으로 유출될 경우 주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주민소개가 고려된다. 소개시간 산정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고, 각각의 인자에 대해 원전 주변의 현장자료를 토대로 부지주변의 교통환경 여건을 반영하여 울진원전의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내의 주민전체를 소개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였다. 평상교통, 여름철 첨두교통, 그리고 겨울철 첨두교통에 대해 각각 주간 및 야간, 평상기상 및 악기상의 경우로 나누어 12가지의 주민소개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비상계획구역 경계 남단과 북단에서 모든 소개차량(인구)이 비상계획구역을 벗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전체적으로는 분 정도로 예측되었다. 소개시간은 밤이 낮보다 약 45분 정도 더 소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1150.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주시자극에 대한 시각적 주의집중 정도와 운동시표의 발현 위치가 단순 및 선택반응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스포츠에서의 운동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시각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6명과 3명의 남성 피험자는 각각 3개의 단순반응 과제와 1개의 선택반응 과제에 참가하였고, 각 과제는 1블록 120시행의 합계 22블록으로 구성되었다. 각 피험자는 의자에 걸터앉아 눈이 컴퓨터 모니터에서 40cm 떨어진 위치에, 안면고정대를 이용하여 얼굴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했다. 그리고 나서, 피험자가 버튼을 누르면, 주시점의 위치에 5∼7개의 주시자극이 300ms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제시된다. 주시자극이 제시된 후, 제시된 주시자극의 중심으로부터 8방향 (시계의 12시 방향을 0°로 해, 시계회전 방향으로 45°, 90°, 135°, 180°, 225°, 270°, 315°) 의 주변거리 1°, 2°, 3°, 4°, 5°의 위치에 무작위로 운동 시표가 제시된다. 피험자는 주시자극을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다가, 시선의 중심 및 주변의 임의의 장소에서 나타나는 운동시표에 대해서, 가능한 한 빠르게 단순선택반응동작을 수행했다. 이 실험을 통해 얻어진 단순반응 시간에 대해서는 반복측정에 의한 3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선택반응 시간에 대해서는 반복측정에 의한 2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움직임 대상에 대해 주의를 많이 기울이며 운동시표에 대한 예측이 어려운 학습자는, 움직임이 예측되는 대상의 바로 위 3° 지점에 시선을 두는 것이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며 시각적 주의의 수준을 낮게 유지 할 수 있는 학습자는, 움직임 대상의 바로 위 1∼2° 지점에 시선을 두는 것으로 반응시간의 단축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1151.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 하천으로부터 홍수유출을 추정할 경우,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들 중의 하나는 지체시간이다. 지체 시간은 집수형상디스크립터로 표현될 수 있는 유역의 형태적 특성의 영향아래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Moussa(2003)에 의하여 제안된 등가타원의 기하학적 특성에 대한 개념을 유역 출구에 대한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GIUH)의 지체시간 산정에 적용한다. 강우-유출 관측 자료에 대한 지체시간은 Nash(1957)가 제안한 적률법을
        1154.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mor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noxic(anaerobic)-Oxic-Anoxic-Oxic (AO)2 sequencing batch biofilm reactors (SBBRs) at the low TOC concentration. The operating time in anoxic (anaerobic) time to oxic time was 1:1.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aeration time distribution on the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removal. Three lab-scale reactors were fed with synthetic wastewater based on glucose as carbon source. During studies, the operation mode was fixed. The first aeration time to the second aeration time in SBBR-1 was 2:3, and those in SBBR-2 and SBBR-3 were 1:4 and 3:2, respectively. The organic removal efficiency didn't show large difference among three reactors of different aeration time distribution. However, from these study results, the optimum aeration time distribution in the first and the second aeration time fo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was shown as 3:2. The release of phosphorus was inhibited at the second non-aeration period because of the low TOC concentration and the nitrate produced by the nitrification at the first aeration period.
        1156.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Moussa(2003)에 의하여 개발된 등가타원을 기반으로 한 신집수형상디스크립터에 대한 소개 및 수문학적 적용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두 디스크립터 a+b, a+b+과 지체시간 사이의 상관성 분석이 수행되었고 이를 Nash 모형 매개변수들의 대표치 산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강 수계의 평창강 유역, 금강 수계의 보청천 유역 그리고 낙동강 수계의 위천 유역들에 각각 이 디스크립터특이 적용되었다. 그 결과,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