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97

        124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조 후 장식용 리스를 만들기 적합한 자생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2004년 4월부터 12월까지 한국 여러 지역을 탐사하여 21cm×21cm×6cm의 포장상자에 맞는 크기로 제작한 장식가치가 있는 자생식물은 46종류로 조사되었다. 이 중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으며 건조 하기 쉽고 제작하기 쉬우며 외국에서 제작 판매하지 않는 식물은, 비름과의 비름, 국화과의 사철쑥, 산쑥, 물쑥, 화본과의 참억새, 갈대, 금강아지풀, 강아지풀, 꿀풀과의 배초향, 향유, 꽃향유, 마편초과의 순비기나 무, 그리고 글리세린 처리 잎을 이용한 측백나무과의 향나무, 눈향나무, 소나무과의 구상나무, 오엽송, 주목 과의 주목, 그리고 가지를 이용한 노박덩굴과의 화살나 무인 18종류로 조사되었다.
        4,000원
        124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페레니얼 라이그래스의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효율적인 식물체 재분화조건을 체계적으로 확립하였다.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auxin으로는 2,4-D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9 mg/L 2,4-D와 0.1 mg/L BA가 첨가된 MS 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가장 높은 빈도로 유도되었다. 식물체 재분화는 배발생 캘러스를 1 mg/L 2,4-D와 5 mg/L BA가 첨가된 N6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5
        4,000원
        124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압화의 분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 고 있는 풍경화 작품에 대해 조사하였다. 2000~2007 년 출품작 중에서 풍경화 80작품을 선택하여 풍경화작 품에 사용되는 식물소재 및 부재료 등을 조사하였다. 풍경화 작품에서 사용된 주요 식물소재의 종류를 조사 한 결과 초본식물 소재의 사용이 67%로 목본식물 소 재의 33%보다 사용되는 비중이 컸다. 많이 사용된 초 본식물 소재는 루모라고사리, 이끼, 아디안텀, 냉이 등 이었고, 목본식물 소재는 편백, 황금편백, 포도나무 등 이었다. 봄 풍경화작품에 많이 사용된 식물소재는 냉 이, 포도나무, 조팝나무 등이고, 여름 풍경화작품에는 편백, 세라기넬라, 아디안텀, 가을 풍경화작품은 기린 초, 편백, 단풍나무, 겨울 풍경화작품에는 포도나무, 백 묘국, 에버라스팅 순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식물 소재의 염색 유무조사에서 거의 대부분이 무염색 식물 소재였고, 일부 염색되는 식물소재는 조팝나무, 냉이, 쉬땅나무, 까치수염 등 흰색의 꽃과 편백, 세라기넬라 등의 잎이었다. 식물소재의 변색 정도에서 사계절 모두 변색이 잘 안 되는 소재가 67% 이상 사용되고 있었다. 식물소재 이외에 사용되는 부재료의 경우 바탕지는 압화전용 종이 65%, 한지 21%, 아크릴판 9% 등의 순이었고, 바탕지 위에 첨가된 부재료는 아크릴물감, 한지, 락카, 솜 등의 순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4,000원
        1245.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icheongol nature recreation forest at Yangyang. Vascular plants surveyed were consisted of 285 taxa, i.e., 254 species, 2 subspecies, 28 varieties, and 1 formae. Korean endemic plants were Cirsium setidens, Viola diamantica, Hanabusaya asiatica, Deutzia coreana, Aster koraiensis, Tilia taquetii,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Salvia chanryonica, Filipendula glaberrima, Tilia rufa, Salix caprea and Anemone koraiensis. Also, the conservatory plants classified from first to fifth grade were distributed 47 taxa in the Micheongol nature recreation forest are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found 12 taxa. Especially, Leontice microrrhyncha S. Moore, rare and endangered species, was found in this area firstly.
        4,000원
        1246.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resources vascular plants of North-East slope in Mt. Songni (1,057.7 m). This work was investigated during the period of April to October 2006. Resources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79 families, 215 genera, 296 species, 4 subspecies, 33 varieties and 6 formae, totaling 339 taxa. Among the investigated resources plants, 15 taxa (2.63%) were Korean endemic species. The special plants based on floral region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38 taxa; V rank species 2 taxa, IV rank species 2 taxa, III rank species 10 taxa, II rank species 10 taxa and I rank species 14 taxa. A naturalized plants were 8 species, correspond to 2.74% of totaling 292 naturalized species appeared in South Korea.
        4,600원
        1247.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assay were used to analyze anticancer activities from herbal pl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hibit the human lung cancer(A549) cell line in vitro. The 1C50 value of cytotoxicity showed range of 127.83-2018 .1 9μg/m~. Especially Coriander( 127.83μg/mR} and Catnip(140.68μg/me.) showed more stronger activity than other plants, respectively.
        4,000원
        1248.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investigated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42 herbs. The herbs grown at Dankook university practice greenhouse. Through the examination of methanol, ethanol , and water extracts from 42 herbs for radical scavenging effects using DPPH method. Antioxidant activities of each solvent extracts were not similar or lower than that ascorbic acid. The IC50 value of antioxidant activities have range 400-200 in about 25% of herbs and water extract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more than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Antioxidant activities in methanol extract were in order of lemon balm>pappermint>oregano, ethanol extract of sweet majoram>oregano>spearmint, and water extract of beramot mixed>lemon balm> oregano. Lemon balm, oregano, red basil , spearmint among 42 herbs showed the highest antioxidive activity and water extract was excellent results than other extracts.
        4,000원
        1249.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Z. -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충북지역의 박달산, 계명산, 보련산, 월악산, 천등산, 조령산, 국망산, 부용산, 두타산, 만뢰산, 미동산, 감악산, 시루봉, 십자봉, 용산봉 일대의 산지대 하부의 참나무림을 분류하고 그 환경조건을 해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 일대의 참나무림 식생은 A. 굴참나무군락(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1. 상수리나무하위군락(Quercus acutissima subcommunity), A-2. 전형하위군락(Typical subcommunity), B. 신갈나무군락(Quercus mongolica community), C. 떡갈나무군락(Quercus dentat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생단위는 인위 및 해발과 같은 환경복합의 경도에 의해 배비되었으며, 종의 우점도에 근거한 집괴분석(군평균법)의 결과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4,000원
        1250.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운문산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한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3과 235속 338종 3아종 54변종 12품종 총 407분류군으로 동정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산작약과 솔나리 2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참개별꽃, 진범, 할미밀망, 털둥근이질풀, 자주꿩의다리 등을 포함한 13과 19속 15종 4변종 2품종 총 2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고란초, 승마, 산작약, 솔나리, 천마 등 35과 50속 51종 4변종 총 5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4과 10속 9종 1변종 총 10분류군이며 도시화지수(U.I) 및 귀화율(N.I)은 3.51%, 2.46%이다. 생활형조성은 H-R5-D4-e type으로 나타났다.
        5,100원
        1251.
        200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검역이란 식물에 해를 끼치는 병해충의 국가간 · 지역간 이동을 차단함으로서 자연 환경과 농림업 생산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식물검역소에는 전국 공항만을 중심으로 499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수출입 식물류에 대한 국경겸역, 국가간 식물검역 국제협력, 격리재배검사, 외래병해충 발생조사, 소독 및 방제 동의 업무를 수행하여 식물병해충 유입에 따른 피해를 적극 차단하고 있다. 한편 세계 자유화의 큰 흐름에 따라 농산물의 국가 간 교역이 활발해 지면서 우리나라의 검역수요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립식물검역소에서는 2003년 인터넷 민원처리 시스템을 시작으로 빠르면서도 정확한 식물검역을 수행할 수 있는 식물검역처리시스렘을 구축해 나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수출입 식물검역 전 과정이 시스템화 되어 언제 어디서든 검사 신청과 결과조회가 가능해졌으며 검사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도 있게 되었다. 현재 식물검역의 99.8%가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 50% 이상의 업무 효율성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농산물 시장개방 확대 등 급변하는 여건변화로 인해 새로운 대내 · 외 도전요인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검역대상 물품 및 수입국의 다양화 · 다변화와 병해충 발견빈도 증가 등 해외 병해충의 국내유입 위험성 한충 고조되고 있으며,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욕구 증대로 수입농산물에 대한 검역문제가 사회적 주요 관심사로 계속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립식물검역소에서는 현행 식물검역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점검과 분석 · 평가를 통하여 국민의 기대수준에 부응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단기 · 중장기적 관점의 식물검역정책을 개발 · 제시하는 식물검역발전 10개년 계획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국립식물검역소는 앞으로도 식물병해충의 피해로부터 농업과 자연환경 보호를 위해 국제사회와 공동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며, 전 세계에서 가장 모범이 되는 식물검역기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혁신해 나갈 것이다.
        6,900원
        1254.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dum속 식물을 이용하여 저관리 경량형 시스템으 로 만든 옥상녹화지에서 무관리 상태에서 3년간 생장 및 인공토양 변화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서울 시립대 자연과학관 6층 옥상에 2003년 6월에 9종의 Sedum 식물을 식재하여 3년간 무관리 식물상태를 관 찰한 결과 Sedum 식물 9종(돌나물, 땅채송화, 바위채 송화, 큰꿩의비름, 기린초, 섬기린초, 가는잎기린초, ‘Spurium’, ‘Diffusum’) 중 땅채송화와 바위채송화는 1년차 때도 생육이 좋지 않았고 3년차 때는 완전히 사라지고 다른 이입식물로 채워졌다. 기린초와 가는잎 기린초는 1년차에 비해 생육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 으나 다른 5종의 식물은 대부분 생장이 증가하였고 관 상가치도 높았다. 돌나물을 6가지(Pm1Pr1, Pm1Pr1V1, Pr1C1, Pr1V1C1, Pm1V1, V1C1) 배지에 재식한 후 배 지 간 변화를 살펴본 결과 pH는 2003년과 2005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EC는 2005에 확연히 높 았다. 질소, 인, 칼륨은 식재년도(2003)에 비해 2005 년도에는 유사하거나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4,000원
        1255.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장조절물질과 광도가 국화 경정배양에 미치는 영향 을 조사하였다. 다신초(multiple shoots) 형성은 국화 경 정을 MS배지에 kinetin 2.0mg · L-1와 NAA 0.2mg · L-1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촉진되었으며, 형성된 다 신초는 MS배지에 kinetin 2.0mg · L-1와 NAA 0.02 mg · L-1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생육이 촉진되었 다. 한편, 국화 경정을 NAA 0.2mg·L-1와 BA 1.0mg · L- 1가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을 경우에는 절편체당 신초 형성 수가 6.9개로 가장 많았으나 형성된 신초의 대부분 이 유리질화 되었다. 기내에서 국화묘의 생장은 광도 100 μmol · m-2 · s-1 PPFD에서 신초의 길이와 엽록소 함량이 가장 높았다.
        4,000원
        1258.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ioxidant activity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lygonatum stenophyllum, Angelica gigas, Acanthopanax sessiliflorus and Angelica pubescens extracts cultivated in Jecheon prepared with different solvents were determined by 1,1-diphenyl-2-picrylhydrzyl(DPPH) radical scarvenging ability and thiocyanate method . The highest hydroxy radical scarvenging activity was shown in Acanthopanax sessiliflorus, while the lowest was in Polygonatum stenophyllum. Angelica gigas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by thiocyanate method. Methanol extracts and water extracts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ethanol extracts. Angelica pubescens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s and Acanthopanax sessiliflorus showed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s.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s or flavonoid contents was established by simple regression(r>0.8) in each solvent extracts. Among medicinal plants cultivated in Jecheon, Acanthopanax sessiliflorus and Angelica pubescens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hanol or water extracts of several medicinal plant cultivated in Jecheon could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s.
        4,000원
        125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내 1100도로와 5 16도로변의 식물상 및 식생을 조사하여 귀화식물의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내 도로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62과 145속 총 197분류군이었으며, 이중 귀화식물은 11과 29속 37분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변 식생구조는 1100도로변인 경우 큰김의털-오리새 군집으로 대부분 이루어졌으며, 이 군집은 붉은토끼풀-창질경이 아군집과 제주조릿대-풀고사리 아군집으로 구분되었다. 5 16 도로변인 경우 큰김의털-오리새 군집과 주름조개풀-양지꽃 군집 및 돼지풀-고마리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1년생 식물이 전체 51.4%를 차지하였으며, 유럽원산이 70.3%로 가장 높은 구성율을 보였다. 도입배경은 사료 또는 곡물에 혼입되거나 목초용으로 유입된 경우가 각각 35.1%, 21.6%로 나타나 다른 도입경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한라산국립공원내 도로변에는 귀화식물인 큰김의털-오리새 군집이 대부분의 도로변에서 형성되어 있고 다양한 귀화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는데, 이는 도로 개설이나 확장, 정비 등에 따른 훼손지역 녹화용으로 큰김의털과 오리새 등이 주로 사용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126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ink bug species and host plants occurred in fallow lands for rice product regulation were studied in Honam area from 2004 to 2005. A total of 26 bug species in 8 families were surveyed in the fallow lands. Population density of Cletus punctiger adult reached its peak in July and was higher in fallow lands close to mountain area in Muan. Population density of stink bug species occurred in plain area of Wanju were significantly low in 2004 and population density of C. punctiger adult reached its peak in July and August in fallow lands in 2005. Five species of stink bug including C. punctiger immigrated from fallow lands to rice fields in August, and three other species including Cletus schmidti in September. Eight stink bug species which were observed to feed on weeds in fallow lands were C. punctiger, C. schmidti, Eurydema gebleri, Pachygrontha antennata, Trigonotylus caelestialium, Aelia fieberi, Eysarcoris aeneus, and Nezara antennata.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