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명지산 식생의 보전방안의 수립과 생태계의 건전한 이용을 위해 수행되었다. 인위적인 훼손이 지속되는 등산로 주변은 질경이군란과 쑥-미국쑥부쟁이군락 등 노변식물 군락으로 나타났으며, 등산로 주변과 벌목지는 중부지방에서 잡목림이라 할 수 있는 고추나무-산뽕나무군락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부지방에 위치한 명지산의 기후적 극상림인 낙엽활렵수림의 군락은 표고 300m 이상의 깊은 계곡과 정상부근에 극상림에 가까운 신갈나무-당단풍군락으로 잔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갈나무-당단풍군락 주변에는 비교적 인위적인 영향을 크게 받은 병꽃나무-조록싸리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이들 군락 내에서는 금강초롱꽃, 백작약, 도깨비부채, 개족도리 등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경상북도 낙동상 상류부에 위치한 하천변 식물군락에 대해 식물사회적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아래처럼 10군강에 속하는 30군락단위와 상급단위 미결정의 1군락단위를 식별하였다. 특히, 과거에 인위적 영향을 반영하여 쑥군강에 속하는 군집 군락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A. 관목식물군락-A-1나도버들군장, 버드나무군단: 버드나무-왕버들군집, 버드나무군집, 시무나무군집, 갯버들군집, 눈갯버들군집, 선버들군집, A-2 찔레꽃 군강: 국수나무군락, 구기자나무군락: A-3 상급단위 미결정의 군락: 누리장나무군락; B, 초본식물군락 B-1 가래군강: 노랑어리연꽃군집, 마름군락, B-2 좀개구리밥군강: 좀 개구리밥-개구리밥군랍, B-3 가막사리군강: 고마리군집, 미꾸라지낚시-여뀌군집, 개기장-여뀌군집, B-4 갈대군강; 창포군집, 갈풀-미나리군집, 달뿌리풀군집, 물억새군집, 갈대군락, B-5 쑥군강:물쑥군집, 쑥군락, 물봉선군락, 왕고들빼기-환삼덩굴군집, 칡-환삼덩굴군집, 수크려군랑, B-6 명아주군강: 물피군락, 바랭이군란, 큰개여뀌군락, B-7 억새군강: 억새군락, B-8 질경이군강: 비노리-질경이군락, 이들 식생단위는 거의가 일본의 것과 공통하고 있어 한국에 고유한 하천변 식생은 매우 드물다는 사실을 나타내었다. 한편 하천에는 고유한 군강의 군집, 군락은 하류에서 상류로 감에 따라 양적으로 증가 하였으마, 귀화식물의 수는 그 반대였다. 또, 각 군락과 환경과의 관계, 하천변 식생의 복원생태 및 자연보호 등에 관해 상세히 논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생태관 조성계획지인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 노동계곡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자연생태관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노동계곡의 조사구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총 56과 121속 152종 24변종 2품종이며, 본 조사에서 감소추세종으로 관중과 도깨비부채가, 한국특산종으로 노랑무늬붓꽃이 출현하였다. 식물군락은 자연군락인 신갈나무-당단풍군락과 인공군락인 일본잎갈나무군락, 잣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당단풍군
conditions for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n from seeds of lawngrass (Zoysia japonica Steud.)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MS (Murashige and Skoog) medium containg 2,4-D 3 or 5mg/l was used for callus induction, and MS medium with different volu
In an effort to optimize tissue culture responses of tall fescue, the effects of basic medium and carbon sources on seed culturability and genotypic difference of plant regenerability were investigated. The MS basal medium was superior to 6/ and in enhanc
Green Tea consists of 15-30% catechins (a type of polyphenol), which act as super antioxidants, inhibitory action against aging process. Antioxidants fight radical-free oxygen, an agent which can begin the process of cancer by damaging essential body chemicals and harming DNA. This study was peformed to develop the elderly diet using Green Tea as an inhibitory action against aging process. Nokchaborijook (Baley gruel added rice powder and Green Tea) was manufactured by various levels of Green Tea(1, 4, 7%) and the grinding period(15, 30, 45 sec). The optimum levels of added Green Tea and grinding periods on Nokchaborijook were determined with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analysis of composition. The Anti-oxidant Vitamin A, C, E and Flavonoid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levels of Green Tea and grinding periods be decreased. As the levels of Green Tea and grinding periods were increased, the green color and penetrated force became stronger. Among the sensory attributes, Bitterness, Green Tea Flavor and Hashness were greater depending on increasing Green Tea. Jujube flavor was greater relying on decreasing Green Tea. Greenness and spreadability of particles were increased as both the amounts of Green Tea and the grinding period were increased. This result was us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of adding levels of Green Tea and grinding periods. The optimum conditions of Nokchaborijook was established as adding of 5.8% Green Tea grinded for 15 seco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