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sis the facilities safety management of presbyterian churches in the central cities and urban areas. As a result, it need to support the knowledge of safety and protestant religious facilities partial help which located in urban areas.
A state-of-the-art safety management system of water infrastructures based on ICT Technology is now under development by incorporating 1) real-time safety evaluation system, 2) disaster risk management support system based on GIS, and 3)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for damage restoration equipped with multi sensor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such as UAV and CCTV. This study includes development of practical natural disaster scenarios for flooding, typhoon and earthquake events based on recorded data, and standardization of disaster management platform.
It is required development on the work process of the legal system, quality management and safety management for safety securement of co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and issues surrounding the current legal systems and proposes improvements of material for safety securement of construction.
Recently, demand for systematic and scientific management system is increasing as national consciousness of safety improved. Various studies on monitoring and management techniques of important facilities are being carried out, but it is difficult to conduct swift countermeasures in case of real disasters. Specially, damage inflicted by disasters would be preventable when stability of construction sites as in downtown area or tunnel construction sites where human and material damage is expected to be high can be identified promptly. This study developed a scene visualization measurement sensor using LED and applied on the safety management of structures. The scene visualization measurement technique can change the paradigm of existing measurement methods. The technique will allow users to determine safety of structures promptly and easily in real time without professional help. Also, it will reduce professional manpower for structure management during or after completing the construction, and it can minimize damage from disaster occurrence through quick response when unusual symptoms occur.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s been receiving a worldwide recognition as a scientific andsystemic sanitary management technology in the food safety. At present, mandatory HACCP for dairy products is appliedin dairy processing plants and milk collection stage, while it is not applied in dairy farm and transportation. Therefore, it isrequired to establish HACCP application in all dairy industrial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approach to implement HACCP chain system in domestic dairy products. Most lactic acid bacteria has been useful toimprove gastrointestinal disorders such as diarrhea, constipation and reduce colon cancer risk and hydrocholesterol inKorea.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as increasingly applied the HACCP-chain system to secure the safety oflivestock products. Therefore, we suggest for the introduction of HACCP chain system in the dairy industry as follows.First, the system needs political support to activate. Second, the enterprise needs to recognize that it is essential system inan era of a consumer. Third, it should be utilized as an effective tool to enhance a brand value in the market. If there areobstacles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for dairy products, governments, academia and relevant institutions should resolvea dispute together, which might enhance the level of livestock processing industry and hygiene safety management.
The maintenance costs will be increased due to the aging of the bridge. Thus, the maintenance strategy considering the damage characteristic of elements is needed for the efficient maintenance of the bridg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hat damage characteristic were estimated by analyzing the chang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mage to a structural member of the bridge for the detailed safety inspection conducted two or more times.
It is required development on the work process of the legal system, quality and safety management for safety securement of small sized buildings. Therefore, this is suggested the improvement on the quality and safety management for safety securement of small sized buildings.
A portable device which calculate and analysis the SOC structure data. This device can be used to estimate the building prior to install the sensing system. This sensing tools can help the system engineers to analyze the large SOC structure’s responses.
해상공사 현장에서 용선한 부선 안전관리의 책임 소재와 관련한 논란과 법적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상공사 에 투입된 부선의 용선계약은 소위 ‘선원부 선체용선계약’의 형식으로 계약이 이루어진다. 우리 상법 제5편 해상편에서는 정기용선계약이나 선체용선계약을 규정하고 있지만 여기에 명시된 내용으로는 해상공사에 투입된 부선의 안전에 대한 책임소재가 불분명하다. 또한 이로 인하 여 실제로 사고 발생 시 그 책임소재에 관한 논쟁이 발생하고 있으며 실무에서도 그 책임소재가 불분명하여 서로 책임을 전가하는 현상이 나 타나고 있고 그로 인한 유사 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상황이다. 그러나 부선의 관리를 맡고 있는 선두는 법적으로 자격요건이 정해진 바가 없으 며 평소의 업무 내용을 고려해 볼 때 선두에게 해기사로서의 전문적인 판단을 요구하는 업무를 요구할 수 없다. 또한 해상공사 현장에 투입된 부선은 장비임대차계약 또는 선체용선의 형태로 건설공사에 투입되었으므로 용선자의 공사현장 안전관리 조직의 관리대상이므로 용선자가 부선을 안전하게 관리하여야 하는 주의의무가 있다. 따라서 선체용선한 부선의 사용 중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기본적으로는 선체용선자의 책임이 된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재난관리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미래 기후변화에 따라 예상되는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인적·경제적 피해에 대비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함으로써 폭염 피해를 경감할 수 있는 새로운 대책 발굴 및 중장기적 추진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고, 건강, 보건·의료 분야의 화산재 관리기준 및 대응 매뉴얼 개발과 건강, 보건·의료 분야의 화산재 피해경감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삼풍사고 이후 지난 20년간 재난간호역량을 주제로 한 일차적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시도하였고, 세월호 침몰 재난 사례분석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재난관리 방향을 제시하고 해양재난 발생 시 국민의 생명 보호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한편, 우리나라의 재난안전 대책이 기술과 공법 중심의 하드웨어 대책과 재난안전의 통합적 관리를 지향하는 시스템화에 치중해온 한계를 넘어 재난안전의 사회가치화 전략의 필요성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자연재해경감을 위한 방재정보 관리의 효율화 방안으로 내용요소, 과정요소, 상황요소로 구분하여 제안코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기후의 변화가 인류의 문화적 문명사에 미친 영향을 역사적으로 새겨 봄으로써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대응할 수 있는 문화적 지혜를 함양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명시된 재난관리 책임기관과 주관기관에 의해 재난안전관리가 수행되고 있으며, 각 기관들은 개별적으로 시스템을 개발 또는 운영 하고 있다. 정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시스템 개발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여러 가지 문제들과 개발 후 시스템 적용에서 생긴 문제점들로 인해 실용화에 실패하였거나 유사한 시스템 개발로 인한 혼란 등이 야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시스템들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서비스의 강화, 신규 서비스 추가 등을 통해 혼재된 시스템들이 하나로 통합되거나 기존의 다양한 시스템과 연계되어 만들어지고 있으나 시스템들이나 구조적 측면, 운영/관리 측면에서의 개선은 아직까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재난방재분야 플랫폼 개발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기존 시스템으로부터 파악된 문제점과 그에 대한 방안들을 현재 개발 중에 있는 수변구조물 통합안전관리 플랫폼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개선 반영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목적, 대상 시설물 그리고 시스템 사용자가 고려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긴박하고 최악의 재난현장 상황에서 활동하는 구조인력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인명구조 등 정확하고 시의적절한 현장상황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업무는 중요하다. 최근 세월호 희생자 구난과정에서 제기된 재난 초동대응에서의 첨단 재난장비들의 적시적인 투입과 이를 활용한 과학적인 조사분석, 관련된 체계적인 기술개발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파주, 백령도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 추락사고를 계기로 무인항공기 기술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운용이 용이하면서도 고화질의 항공촬영까지 가능한 UAV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농업, 항공촬영업, 택배 등 물류업 등 공식적인 신고등록 기체수만 240대에 이르고 있다(‘14.4.). 이러한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수요가 폭증하면서 국가차원의 항공안전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관련 법제도가 개정되어 왔다. 국토부에서는 이미 ‘14년 4월, 관련 항공법 개정을 통해 활용목적, 성능 등을 고혀하여 장치 신고 및 비행허가, 자격증명, 안전성 검사 등 안전관리 기준을 강화하려고 움직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공안전관리 변화여건에 따라 재난관리 분야에서의 UAV 운용전략을 기술하고 있다. 특히, 재난관리 단계별, 재난 유형별 UAV의 운용가능성을 매트리스 분석기법으로 도출하고, 재난관리에 필요한 UAV 요구성능과 유형별 최적의 플랫폼, 재난용 탑재센서 설계 등 재난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UAV 운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건축물들의 화재와 안전사고 등의 철저한 관리와 불특정 다수인들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요 시설물에 대한 점검, 유지, 관리교육 등 기존 건축시설물의 관리현황들을 조사ㆍ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1. 조직적인 측면에서 시설관리자들의 자발적인 재난예방과 재난수습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높은 통솔력과 지휘감독권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것은 시설관리자에게 실질적인 예산의 편성 및 운용을 할 수 있는 권한을 주고 또한 실무자에게도 맡은 부분에 관하여 책임과 권한을 주는 제도적 장치도 필요하다.
2. 인력적 측면에서 시설물의 관리자 대부분은 30대와 40대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실무자는 30대(48%)에서 40대(24%)로 가면서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관리자 및 실무자의 경력에 있어서도 7~10년 미만과 15~20년 미만의 분포가 낮은 것은 건축물의 시설관리의 전문 인력이 부족한 현상으로 실무자들이 현장에 남아서 정년을 맞을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3. 시설관리자 및 실무자들의 근무 조건에서 시설관리자나 실무자 대다수는 근무형태가 불규칙한 근로 조건(71%)에서 근무하고, 급여의 조건도 미비하며 근무환경 역시 열악하였다. 따라서 이의 개선이 필요하며 현실적인 급여 등의 개선도 중요할 것이다.
4. 시설관리의 측면에서 시설물 관리자의 74%가 두 가지 이상의 시설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또한 넓은 관리면적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렇듯 시설물의 안전이나 충실한 관리 점검을 위해서도 관리자나 실무자들의 잡무 등은 줄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5. 교육의 측면에서 시설관리자들은 법정교육에 대해 89%가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교육의 내용을 살펴보면 이론위주의 교육이 83%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시설관리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무위주의 교육은 17%밖에 되지 않아 아쉽다고 하였다. 이렇듯 실무교육시간의 확대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를 설치 및 가동 중인 전국 치위생(학)과를 대상으로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방사선 안전 관리 실태를 설문 조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추이 분석하여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안전한 이용 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방사선 안전 관리와 관계되는 원자력 관계 법령 및 국내 방사선 안전성 평가 및 규제 기술 개발 현황에 대한 용역 보고서를 참고하여 포괄적인 문헌 조사를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방사선안전관리자의 위상, 방사선 안전관리 현황과 지식 및 의식 수준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교육기관 내 방사선안전관리자와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를 운전 가능한 학사 및 실습 조교, 전임 교원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설문 응답 누락 및 불충분한 응답을 제외한 95부를 회수하여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일반적 특성 및 방사선안전관리자의 위상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방사선 안전 관리 현황과 지식 및 의식 수준은 빈도 분석과 설문 문항별 연관성 분석을 위한 χ2 검정(chi-square test)과 수준간 연관성을 구하기 위한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운영은 대부분 대학 이상의 사회적 교육 수준이 높고 치위생학을 전공한 20대에서 40대의 여성이 담당하고 있었으며 남성과 비교하여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선형적 관계를 보였다(χ2 >5, 0.1<r<0.3, p<0.05). 또한 국가 기술 면허의 보유는 치과위생사가 55.4%로 가장 많았으나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자 일반 면허자(28.2%) 또는 방사선사 면허자(16.4%)와 비교하여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의식 및 지식 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뚜렷한 선형적 관계를 보였다(χ2 >5, 0.3<r<0.7, p<0.01). 특히 업무 경력이 증가할수록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지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의식 수준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χ2 >5, 0.3<r<0.7, p<0.01). 따라서 방사선 안전 관리에 대한 전문적 지식 체계의 확립과 국내 외 방사선 안전 관리 체계를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제도화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교육용 치과 엑스선 발생장치의 사용에 따른 방사선작업종사자와 주변 일반인의 방사선 위해로부터 방어를 위한 체계적인 방사선 안전 관리 지침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처분시설의 개발과정에서 안전성평가 문서관리는 체계적인 품질활동이 수반되어야 하며, 본 논문에서는 중·저준위 방사 성폐기물 처분시설의 건설단계에 보완된 부지특성, 지하수특성, 최종설계내용 및 모니터링 입력데이터를 포함하여 Safety Case를 위한 안전성평가 입력데이터 품질보증체계를 설명하였다. 현장/실험결과데이터, 실제 설계데이터 및 적치계획, 콘 크리트 물성데이터, 지하수, 기상, 지진에 대한 현장 모니터링데이터, 생태계데이터 및 핵종재고량데이터를 입력데이터 결 정원칙에 따라 선별하고 안전성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체계를 확보하였다. 이는 향후 처분시설 안전성평가의 데 이터 불확실성 저감 및 안전성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지정 폐기물처리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많아지면서 폐기물의 재활용과 안정화 처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에폭시수지는 내열성, 내화학성, 내수성, 절연성이 우수하며, 성형성이 좋고 경화시간이 짧아 도료, 토목, 건축 등에서 다양한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0년 이후로 매년 30만 톤 이상의 에폭시 수지를 생산하고 있고, 약 11만 톤 정도를 매년 수출하는 추세이다. 에폭시 수지 제조공정에서 나오는 폐기물은 폐합성수지 및 폐유기용제등의 지정폐기물로 포함되며, 그 중 폐합성수지는 2011년 기준으로 연간 약 1.5만 톤 이상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 수지 제조공정 중, 탈염분액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합성수지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탈염분액 공정에서는 제조공정 중에 사용된 주원료인 비스페놀A(BPA)와 액상 수지인 ECH (epichlorohydrin), 톨루엔, 세척제인 NaOH 등을 배제하고, 정제된 에폭시 수지를 얻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에폭시 수지와 탈염폐수의 중간체인 고체형 폐기물이 발생하게 되며, 이 폐기물에는 톨루엔을 비롯한 비스페놀A 등 수지들이 포함되어 지정폐기물로 분류되어 처리된다. 탈염분액 공정 폐기물은 폐기물공정시험법에 의해 pH, 수분함유량, 고형물, 회분, 가연분, 강열감량, 휘발성 고형물, 유기물 함량 등을 확인하였다. 폐기물의 pH는 약 11.2로 높은 알칼리성을 띄었고, 수분함유량은 약 51.6%, 고형물 함량은 48.4%, 강열감량은 약 94.7%를 보였다. 폐합성수지는 연소시 열량이 높은 장점을 갖고 있어 대부분의 재활용 업체에서 연료로 재활용하며, 폐기물의 처분시 주로 소각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폐합성수지에 포함된 다양한 위해성 물질에 의해 소각시 배출되는 물질에 대한 물질 수지가 확인이 되지 않고, 그 유해성에 대한 검증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폐기물 자체에 포함된 물질들의 정확한 분석을 통해 위해성을 갖는 물질에 대한 안정화를 진행하고, 안정화 이후의 폐기물에 대한 재활용 및 처분 방법에 대한 안전관리기법을 제시할 수 있다.
To the present, technology of tunnel has developed more significantly than before. Due to the difficulty in assessment of long-term durability, it is more important to persistently maintain the tunnel to save the budget efficiently since its completion. Some aspects of the focused management section were written for some of the road tunnels which was recently inspected by KISTEC according to the special law for safety management of Infra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