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0

        301.
        2012.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ructural Performance Test of FRP-Concrete Composite Deck according to Existence of Shear Connecting Plates by Long Term Exposure was performed to study the Performance Evaluation. As the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is deck has sufficient serviceability and structural performance as a bridge deck.
        303.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급속시공을 위한 단지간의 슬래브 형식의 프리캐스트 모듈러교량의 종방향 연결부 상세를 제안하고자 한다. 슬래브 형식의 프리캐스트 모듈러교량은 횡방향으로 분절되어 제작되므로, 분절된 프리캐스트 모듈 사이에는 종방향의 연결부가 형성된다. 이에, 종방향 연결부의 형상과 제원을 결정하기 위해 전단키 개수, 폭, 높이, 경사각, 연결부 폭을 변수로 선정하여 해석적 연구와 실험적 연구를 함께 수행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서 연결부에 초기 균열이 발생하는 균열하중에 대한 경향을 검토하였으며, 종방향 연결부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효율계수(efficiency factor)를 제안하였다. 해석 및 실험에서 얻어진 균열하중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효율계수를 이용하여 연결부의 형상 및 제원을 결정하였다.
        304.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아의 또래관계 변화과정을 탐색하기 위하여 4개월 동안 8차에 걸쳐서 경기도 소재 A 유치원의 한 학급 유아 19명을 대상으로 또래지명법에 의해 또래관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연결망 구조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과 연결정도중앙성 분석에서는 <좋아하는 유아>와 <싫어하는 유아> 사회연결망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QAP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좋아하는 유아> 사회연결망의 경우 8차의 결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으나 <싫어하는 유아> 사회연결망의 경우에는 총 28개의 상관 가운데 3차-8차와 4차-5차를 포함하여 5개의 쌍에서만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좋아하는 유아> 사회연결망은 4개월 동안 비교적 안정적이고 큰 변화가 없었지만 <싫어하는 유아>의 사회연결망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가 또래관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개입이나 중재를 시도하고자 한다면, 싫어하는 유아들 간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를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305.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교량의 건설에서는 공사기간의 단축 등을 위해 조립식 형태의 교량 시공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대부분이 주 구조물인 교각, 거더와 바닥판 등에 국한되어 있고, 조립식 교량에 적합한 방호울타리와 같은 부대시설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립식 교량 적용을 위한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연결 시스템을 제안하고, 제안된 시스템의 구조적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적 실험을 수행 하였다. 변수는 볼트의 수직 수평 접합방식으로 기준실험체와의 비교를 통해 조립식 교량에 적합한 콘크리트 방호 울타리 연결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볼트의 수직접합이 구조적 성능 및 건전성이 일체형의 기준실험체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조립식교량 적용을 위한 연결시스템으로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306.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교량의 신설 및 교체 공사 중 요구되고 있는 교통 혼잡의 최소화, 환경 영향의 최소화, 공사기간의 단축, 품질과 시공성 향상 등을 위해 조립식 교량 시스템의 적용이 시대적 요구로 대두되고 있다. 조립식 교량 시공 중 거더 간의 연결 시 발생할 수 있는 전도 및 추락 사고는 교량 시스템에 적합한 가로보의 사용으로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에서는 가로보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하고 국내 외 적용현황을 분석하여 조립식 PSC T형 거더 교량에 접합한 가로보 대안을 설정하여 가로보 연결부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험체를 제작하여 정적 하중 재하실험을 실시하였다. 정적 하중 실험을 통하여 실험체의 접합부의 거동과 하중분배에 대해 살피고 실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실험을 통한 구조 성능의 결과 치, 시공성을 고려하여 조립식 PSC T형 거더 교량에 접합한 가로보 대안을 제안 하였다.
        307.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도로가 비대칭으로 연결되었을때 합류부 및 합류부 주위에서의 홍수흐름특성을 수리실험 및 3차원 유동모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적 분석 및 수치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적용된 수치모형은 1990년대 초반 영국원자력공사(UKAEA)와 캐나다의 ASC(Advance Science Computing)의 TASCflow로부터 개발되어 CFX-4와 CFX-TASCflow를 기반으로 발전된 CFD 해석모형인 ANSYS CFX모형이다. 모의 및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된 모형은 유입유량 및 유입각 조건에 따라 도로 합류부에서 변화되는 복잡한 수면양상을 비교적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로 합류부 내에서의 시간 및 공간적 수심변화와 두 개의 하류경계에서의 유출유량에 대한 모의결과는 측정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308.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소규모 지하통로, 저류시설 및 지중구조물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파형강판구조의 이음부강도를 실험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골형파형강판을 사용하는 지중 강구조물은 압축력에 대하여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장에서 볼트 연결되는 이음부가 강판의 두께, 캐스킷, 와셔, 슬롯홀과 같은 연결상세에 따라 강도가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이음부강도에 대한 실험적 이론적 결과가 설계에 반영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축적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결상세를 적용한 경우의 이음부 압축거동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강판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강판지압파괴에서 볼트전단의 형태로 파괴 형태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omm 이상의 플레이트에서는 개스킷과 슬롯홀을 적용한 이음부가 와셔를 적용한 경우보다 효과적인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309.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고성능콘크리트(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는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는 우수한 구조재료이다. 이러한 새로운 재료의 활용 기술은 경량의 슬림한 구조로서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구조물의 건설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하이브리드 사장교 적용을 위한 UHPC프리캐스트 바닥판 시스템 개발의 일부로서 정모멘트 구간에서 철근겹침이음 방식에 의하여 연결되는 이음부의 거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주요 실험변수는 철근겹침이음길이이며 실험변수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총 12개의 휨실험체를 제작하였고, 이에 대한 4점 휨재하실험을 수행하였다. 현행 도로교설계기준에서 철근겹침이음에 대한 최소길이 규정은 UHPC를 적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스템에서는 매우 보수적인 규정임을 실험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310.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mplified linearized dynamic equation for the propulsion force generation of an Ostraciiform fish robot with elastically jointed double caudal fins is derived in this paper. The caudal fin is divided into two segments and connected using an elastic joint. The second part of the caudal fin is actuated passively via the elastic joint connection by the actuation of the first part of it. It is demonstrated that the derived equation can be utilized for the design of effective caudal fins because the equation is given as an explicit form with several physical parameters. A simple Ostraciiform fish robot was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a microprocessor, a servo motor, and acrylic plastics. Through the experiment with the fish robot,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ropulsion force generated in the experiment matches well with the proposed equation, and the propulsion speed can be greatly improved using the elastically jointed double fins, improving the average speed more than 80%.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and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the derived dynamic equations, it is concluded that the main reason of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s resonance between two parts of the caudal fins.
        311.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축물의 단열은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이다. 중단열 콘크리트 외벽 시스템은 내/외측에 두 개의 콘크리트 벽체와 중앙부 단열재로 구성되어, 단열성능과 구조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중단열 콘크리트 외벽 시스템을 구조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와 단열재 부착면의 전단내력에 대한 검증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는 파형 FRP 전단연결재로 보강한 중단열 콘크리트 외벽 시스템의 전단연결재의 매립깊이, Pitch, 폭에 따른 전단내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실험결과 동일단면적에서 Pitch가 넓은 경우 전단내력이 소폭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매립깊이가 깊을수록 전단내력을 증가하였고, 폭 12mm 와 18mm의 경우 각 각 35, 40mm 이상의 매립깊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12.
        2010.09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의 목적은 일본인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한국어 연결어미 ‘-아/어서’와 ‘-고’에 대한 학습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먼저 한국어 연결어미 ‘-아/어서’와 ‘-고’에 대응하는 일본어 접속조사 ‘-て’의 의미 용법을 한일 대조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일본어의 ‘-て’의 용법을 분석한 결과, 순서, 나열, 수단․방법, 원인․이유, 역접 등 거의 모든 연결 관계에 걸쳐서 나타났다. 이에 오류의 원인을 과잉일반화와 모국어의 간섭에 주안점을 두고 학습자의 오류양상을 형태상의 시제오류와 의미상의 대치오류로 분류하였다. 시제오류에서는 ‘-ので’의 간섭으로 보고 반복적 활용연습에 초점을 두고 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치오류에서는 ‘-て’의 과잉일반화로 ‘-아/어서’와 ‘-고’에 대치되는것으로 보고 초급에서 중점으로 다루는 순차성과 수단 방법의 용법으로 범위를 제한하여 교수 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313.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조롭고 자연친화적이지 못한 기존 연안블록의 설계 및 시공으로 인하여, 연안침식방지 블록이 효과적으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또 다른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국민소득의 증대와 Waterfront 개념의 빠른 확산으로 연안 어항의 낙후된 시설개선 등에 많은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이러한 용도에 맞는 자연 친화형 구조물이 개발된 바 없어 기존의 Solid Block, Igloo Block, Tunnel Block 등이 일부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박이 계류하는 안벽이나 물양장 등에서 항내 진입파와 항파 등으로 인한 반사파의 발생에 의한 공진현상으로 항내파고가 높아져 정온도유지가 어렵고 선박의 계류 및 하역에 지장을 주게 되며, 선박과의 충돌 발생으로 인한 소형선박의 손괴 발생율이 높은 실정이므로 새로운 형태의 블록(Block)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개발한 C.E.(Coastal Environments)블록을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단키 부분의 내하력 평가가 요구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C.E. 블록의 연결부 시험편을 제작하여 C.E.블록 경계면의 마찰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에서 얻은 C.E.블록 연결부의 마찰계수를 유한요소 해석에 사용하여 C.E.블록의 블록과 블록 접촉면의 마찰 계수를 산정하고자 한다.
        314.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propose a formation-keeping and changing methods for outdoor multiple mobile robots in chained form. Our proposed method is designed to maintain the follower to its desired distance and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pole using the concept of virtual force such as potential field. The client robots use a behavior-based control to perform kinematic control to keep formation under the centralized system in our software framework. The relationship of each poles that is expressed by set of distance and angle is the description of the formation type and the type converting is performed using this set. In addition, we also examine the stability and capability in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s with real robots.
        315.
        2009.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에서는 인관관계 연결구 ‘-는 바람에’, ‘-는 통에’, ‘-는 탓에’의 어휘 형태와 통사적 제약을 살펴보고 의미· 화용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행 한국어 교재를 분석한 결과 교재마다 연결구의 제시 방법이나 연습 유형도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 다룬 세 연결구는 유사한 의미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앞에서 학습한 것과 비교하여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는 통에’를 학습할 때 앞에서 이미 학습된 ‘-는 바람에’와 비교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반복적인 문형 연습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표현영역인 말하기와 쓰기와도 연계하였다.
        317.
        200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하수위의 시간적인 변화가 지표수 유출, 증발산, 토양 수분 등 다른 수문성분에 미치는 개별적 영향을 평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 개발된 완전연동형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인 SWAT-MODFLOW 모형에서 토양층의 수분과 얕은 대수층의 지하수의 결합과정을 새롭게 개선하여 토양수분과 지하수간의 보다 현실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가변 토양층 구조 기법(The variable soil layer construction technique, VS
        319.
        200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강관 말뚝 두부보강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접방법과 훅형방법의 성능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강관 말뚝 두부 연결부에 작용하는 대표적 하중인 압축과 수평하중에 대한 정적 재하실험과 인장실험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압축하중은 강관말뚝이 부담하는 주된 하중이며, 수평력은 지진하중을 고려하여 설계할 때 필수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또한, 강관 파일 두부연결부의 인장내력은 안전성 검토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다.강관 말뚝 두부보강 성능평가 실험에서 고려된 실험변수는 Table 1과 같이 두부보강방법인 훅형과 용접형을 고려하였다. Table 1에 실험체 일람을 나타내었다.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