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3

        281.
        201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연속형 강우-유출모형과 앙상블 칼만 필터 기법을 연계하여 실시간 하천유량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자료동화로 인한 정확도 개선 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유역은 안동댐 상류유역을 선정하고 2006.7.1~8.18과 2007.8.1~9.30의 홍수기간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자료동화를 위한 모형 상태변수는 유역의 토양수분과 저류량 및 하도 저류량을 선정하였으며 하류 댐 지점의 관측유량을 이용하여 상태변수를 갱신하도록 모형을 설계하였다. 상태
        282.
        2011.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이 유아의 공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만 5세 유아 39명을 실험집단(20명)과 통제잡단(19명)으로 하여 12주간 12회의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을 처치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생활주제에 따른 유치원 일과운영에 따라 활동을 이행한 뒤 사전-사후 검사에서의 증가분에 대한 집단 간 차이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명화감상과 연계된 확장활동은 유아의 공간능력 하위요소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3.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안동댐 조정지에서 낙동강 하구 사이의 낙동강 구간에 대하여 4대강 사업에 의한 하도 준설과 보(수문) 건설이 낙동강 본류의 하류 측 홍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하도의 홍수추적 모형인 HEC-RAS(River Analysis System) 4.1.0 Version 부정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도준설 전·후에 대한 각각의 계산 모형을 구축하였고, 2011년 5월에서 7월 사이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각 보 및 주요 수위표 지점에서 관측수위와 수문완전개방(Full Open Gate) 상태의 홍수위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하도준설 후 모형에서는 HEC-RAS 모형 내의 Rule Operation 기법을 적용하여 보의 상류 및 상류 수위표의 수위에 따른 가동보 수문을 개방하는 4가지 운영방안을 제시하였고 주요 지점별 수문운영 조건에 따른 수위수문곡선 그리고 계획홍수위, 관리수위, 운영조건, 수문완전개방 상태를 비교한 수위곡선 마지막으로 낙동강 전 구간에 대한 수문운영 및 수문완전개방 그리고 수문운영 및 계획홍수위의 홍수위를 비교하였다.
        284.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기후변화, 도시화 등으로 재난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고밀화·입체화·복합화된 도시지역에서는 재난 발생의 잠재적 위험과 연쇄적 확산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어 개별적인 방재대책으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 도시지역에서 재난을 예방하고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공간계획을 담당하는 도시계획과 각종 방재대책이 긴밀하게 연계·운영되어야 하며. 도시의 계획 및 설계·관리 단계에서부터 방재개념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현재 「자연재해대책법」에 근거한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서는 풍수해 유형별 위험지구에 대한 관리 지침을 마련하고 있고,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도시기본계획에서는 도시계획 수립 시 방재와 관련된 사항들을 포함하도록 하고 있으나, 실제 활용적 측면에서는 실용성과 구체성이 미흡하다. 또한 각각의 방재대책들이 도시계획에 효율적으로 반영되기 위한 제도적 수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국, 시·도, 시·군·구 등 공간 단위의 방재계획과 도시계획 수립 현황을 조사하고 계획의 체계 및 내용적 연계 여부에 대해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방재계획과 도시계획 간 상호 연계가 미흡하다. 대부분 도시계획에서 방재 관련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나, 현재 수립되어 있는 방재계획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둘째, 공간계획 체계별 방재 관련 내용의 수준 및 방향성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하위계획으로 갈수록 계획의 방향과 목표가 흐려지며, 상위계획에서 명시한 방재관련 사항들이 구체화되거나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지역별 최상위 방재계획으로서 수립되는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이 도시계획의 토지이용 부문에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은 방재시설 위주의 대책으로 구성되어 토지이용과 같은 비구조적 대책을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서 지정하고 있는 침수예상구역, 사면재해 및 토사재해 위험지구 대부분이 비도시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도로 및 주거, 상업 기능이 밀집된 도시화지역에 대한 대책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위험지구의 지정 및 관리, 방재시설에 대한 구조적 대책에 초점을 두고 있는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은 도시계획에 활용하기 위한 기능적 보완이 필요하며,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에서는 방재관련 사항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거나, 저류지, 유수지 등 방재시설 설치에 대한 개별대책만을 고려하고 있어 도시의 방재성능 향상을 위한 구조적·비구조적 대책을 폭넓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285.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바일 위치기반 서비스는 화면형태에 따라 지도, 조감화면, 사진 이미지, 현장영상 기반으로 구분 된다. 이 중 증강현실로 대표되는 현장영상 기반의 화면형태는 현재 사실적인 화면을 통해 현장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장 감성적으로 어필을 하고 있지만 이를 이상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교한 패턴 매칭 방식 알고리즘이 요구되고, 서비스 지역이 사용자의 실제 위치 주변으로 제약되는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미러월드의 도입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안하고 시제품을 제작한다. 제안하는 서비스는 미러월드 데이터와 연계하여 매칭 알고리즘이나 사용자가 서비스 대상 지역에 있어야 하는 한계 없이 사용자에게 해당 지역을 사실적인 영상을 통해 현장감을 효과적으로 줄 수 있다.
        28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aily living area can be delimi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at area is to be focused. Based on regional interaction,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living areas focusing on rural area and ones relying on urban area. We established two types of living areas in Busan-Ulsan mega city with different focus areas (rural versus urban), using travel OD data (2006). According to the result, the fonn of spatial clusters in urban living area differed from that of spatial clusters in rural area; the boundaries of living area were not fit to those of administrative areas in both types; and living areas in both types tended to extend over more than two administrative areas. The results cast some implications concerning spatial planning and policy for living area delimitation. First, since the spatial structure and interconnection of urban area differs to those of rural area, it is required to delimit living areas discriminatively depending on the objectives of the spatial plan. Additionally, the living area should be established more specifically and systematically by further subdividing the form of spaces depending on the objectives and types of the plan. Second, the administrative areas should be consolidated now that the difference of boundaries of administrative and living areas lead to inconvenience of residents, increased administration costs and scale diseconomy. Lastly, the living areas should be delimited by the metropolitan or mega city planning and thus be reflected to its offsprings.
        288.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8년부터 한국교원대에서는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에 대한 이론적 준거를 연구해 왔으며, 2009년에는 교실친화적 교사의 개념을 정립하고 각 교과별로 실제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의 양성과 교원 임용 시험의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전문가 협의회 및 포럼 논의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의 개념은 ‘학교의 기술실 및 교실에서 바람직한 교육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적 능력을 지니고 이를 실행하는 기술 교사’로 정의하였다.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한국교원대 기술교육과에서는 교육과정을 개편하였으며, 임용시험에서의 논술형 문제에 대비하기 위하여 ‘기술 논술’ 과목도 신설하였다. 그리고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원 양성을 위한 기본이수과목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술교육과 교육과정을 개편하였다. 2009학년도 기술 교사 임용시험 문제를 분석한 결과, 대학의 교육과정 과목과 임용 시험의 출제 비율 및 출제 범위가 일치되지 못하는 부분은 추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9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중 열차페리와 한일 해저터널이 대륙횡단철도 및 아시안 하이웨이와 연계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이들 사업이 우리나라 국토공간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연계 시 국토공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인 것으로 도출되었다. 부분적인 결과를 볼 때 모든 지역이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중국의 환황해권은 기존의 해상경로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 지역은 연계될 시 그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못한 연구분야의 연구 시발점이라는 점에서, 후속연구와 관심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진다. 또한 대규모 인프라 연계사업이 국토공간내 연계에 따른 파급의 규모, 영향권 변화, 균형발전의 기여정도를 네트워크를 구축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적 제언을 시도한 점에서 학문적 기여가 있다고 사료된다.
        291.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지역 축제와 행사 및 체험학교, 실내외 조경업체 및 화훼업체와의 취업연계를 위한 수요자 맞춤형 직업교육과정개발로 환경과 문화를 연계한 신 산업형 에코디자인 교육과정모델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개발을 위해 지역의 취업현황을 문헌조사하고 충남 지역 에코관련 산업체 전문가 및 에코디자인 교육전문가 20명을 전문패널로 구성하여 브레인스토밍 방식에 의한 인터뷰조사를 통해 핵심직무능력을 도출하고 이를 교육내용과 연계하여 에코교육프로그램을 시험적으로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천안거주 대졸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시험적 교육과정을 실행하였다. 이때 참가자의 프로그램별 만족도 및 요구도를 분석하고 전문패널의 검증을 거쳐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과 핵심 과목을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산학연계 교육과정모델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은 수요에 맞춘 내용으로 산업체의 요구에 따라 변화할 수 있도록 필수 교육내용을 제시한 후 계속 교육환경변화에 따라 탄력적으로 첨삭할 수 있도록 전문 직업 강좌, 이론 강좌, 실습 강좌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지역의 기술센터, 문화센터, 복지관, 식물원, 대안학교 등과 취업 연계 및 정보교환으로 교육내용을 피드백하는 유기적 교육모델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 본 연구는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교재 및 교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보완 된다면 궁극적 목표인 실무중심 교육과정 모델로 정착 될 수 있을 것이다.
        292.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앙상블 칼만필터 기법과 연속형 저류함수모형을 연계하여 개발한 추계학적 연속형 저류함수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유역은 안동댐과 임하댐을 포함하는 지보 수위관측소 상류유역을 선정하였으며 2006년과 2007년 홍수기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확정론적 모형을 적용한 결과 장기간의 모의기간에 대해 유출해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앙상블 칼만필터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Monte Carlo 모의기법을 적용하여 모형입력자료
        293.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국내 홍수예경보 시스템의 유출해석모형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단일 호우사상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유역 및 하도 저류함수모형을 추계학적 연속형 저류함수모형으로 개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저류함수모형에 토양수분 산정 컴포넌트를 추가하고 지표면유출, 중간유출, 지하수유출 및 실제증발산량을 토양수분의 함수로 나타내어 각 수문성분에 대한 연속적인 모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실시간 관측유량자료 동화를 위해 앙상블 칼만 필터
        294.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부고속철도(대구~부산) 도심통과 노반신설 공사중 기존 부산지하철 1호선 및 부산지하철 2호선 구간에 대한 안정성에 관한 연구로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대상시설물의 외관상태, 품질상태 및 내구성능 등을 평가하고 MIDAS/GTS를 이용한 수치해석을 통해 대상시설물 및 본선터널의 안정성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하수위 하에서 터널이 시공되는 기본 메카니즘과 3차원 유한요소해석 응력-간극수압 연계해석을 수행한 후 라이닝 작용하중, 막장안정성, 지표침하 등 지하수와 터널굴착의 상호관계를 고찰하였다. 수치해석의 결과 1, 2호선의 최대침하, 부등침하, 라이닝응력 등은 허용치 이내이며 손상정도는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경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터널 시공시 막장거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필요시 Pre-Grouting을 시행하여 터널 굴착시 터널내 유출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95.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Jeju island, the surface runoff characteristic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inland. Most of streams show dried characteristics by means of large portion of recharge which goes to the deep aquifer. For this reason, the accurate estimation of hydrologic components by using watershed model like SWAT is very difficult. 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is able to simulate the complex runoff structure including stream-aquifer interaction, spatial-temporal groundwater recharge and so on.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Pyoseon region in Jeju island show that the amount of groundwater discharge to stream is very small, but it might be added to the discharge into the sea.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SWAT-MODFLOW's results represent better than SWAT's. Also, SWAT-MODFLOW produces a reasonable water budget which shows a quite similar pattern of observed one. This result proves that the integrated SWAT-MODFLOW can be used as a proper tool for hydrologic analysis of entire Jeju island.
        296.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objectiv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performing sensitivity analysis and parameter estimation of RMA2 and RMA4 models for the West-Nakdong River, 2) drawing up alternatives of gates-operation for water-quality enhancement, and 3) quantitative evaluation of methodology of 'flow-restoration by gates-operation' among 'Comprehensive Plan Improving Water-Quality in the West-Nakdong River(WNR)' with the target water-quality(BOD at Nakbon-N point: below 4.3 mg/L). The parameters for the RMA2 (depth-averaged two-dimensional flow model) and RMA4 (depth-averaged two-dimensional water-quality model) were determined by sensitivity analysis. Result of parameter estimation for RMA2 and RMA4 models is 1,000 Pa․s of the eddy viscosity, 20 of the Peclet number, 0.025 of the Manning coefficient, and 1.0 m2/s of the diffusion coefficient. We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water-quality enhancement of the selected alternatives by numerical simulation technique with the models under the steady-state flow condition and the time-variant transport condition. Because of no-resuspension from river bottom and considering BOD as conservative matter, these simulation results slightly differ from real phenomena. In the case of 50 m3/s of Daejeo-gate inflow, two-dimensional flow pn results result represents that small velocity occurs in the Pyungkang Stream and no flow in the Maekdo River. In the WNR, there occurs the most rapid flow near timhae-bridge. In the WNR, changes of water-quality for the four selected simulation cases(6, 10, 30, 50 m3/s of the Daejeo-gate inflow) were predicted. Since the Daejeo-Gate and the Noksan-Gate can be opened up to 7 days, it would be found that sustainable inflow of 30 m3/s at the Daejeo-gate makes BOD in the WNR to be under the target of water-quality.
        297.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has attem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 in terms of the management of urban green tract and suggest a way of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nature by proposing a plan to establish green network using an urban green zone based on ‘linear concept’ instead of point and plane concepts. The results have turned out as follows: 1. According to current status of forest functions, forest recreation area has reached 39.6%, satisfying citizens’ needs. However, the space for living environment is just about 20% with a lack of a green zone. Therefore, it’s been necessary to establish green network using roadside trees and take advantage of them as sustainable living space along with existing green tract. 2. With forest in the suburbs and Geumhogang which is the tributary to the Nakdonggang, Sincheon (stream) flows through the downtown. It connects mountains including Waryongsan from the south to the north around Duryu Park and Dalseong Park. Therefore, the water system that passes through Palgongsan (Mt.) and Biseulsan (Mt.) would make it possible to connect with the parks in the downtown. 3. According to this paper, it appears that it’s necessary to establish green network through roof or wall greening by focusing on the existing green tract in the urban parks and suburbs and taking advantage of roadside trees and water system.
        298.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수기에 집중되는 유출량을 갈수기에 적절히 활용하기 위한 대표적인 구조물이 댐이다. 제한된 용수공급량을 적절히 분배해 용수수요량을 만족시키면서 미래 갈수기시 용수공급을 대비하여 댐 저류량을 조절하는 것이 댐 운영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갈수 시 댐 저류량에 따라 댐 계획방류량을 일정비율 줄여주는 Hedging Rule을 5단계로 적용하여 댐의 상시만수위 저류량에 대한 실제 저류량의 편차, 수요에 대한 용수공급 부족량, 그리고 하천유지
        299.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아동과 연계한 원예치료 프로그햄이 노인의 욕구충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 하였다. 또한 욕구충족을 통해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D노인주간보호소 에셔 보호를 받고 있는 노인 7명을 대상으로 2005년 2월 14일부터 12월 26일까지 주 1회씩 총 41회를 실시 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햄은 노인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셜계하였다. 안정욕과 인정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전반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한 작업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식물심기와 감자 속 파기 둥과 같은 과거 익숙한 작업을 션택하여 노인들이 쉽게 배워서 아동에게 가르쳐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무, 감자, 당근, 보리, 창포 둥 과거 친숙한 소재를 제공함 으로써 과거 일을 회상하여 아동에게 많은 이야기를 들려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건강을 자랑하고 싶은 생존욕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당한 힘이 요구되는 작업을 선택하여 아동 스스로 할 수 없을 때 노인들이 도와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노인의 욕구 충족에 의한 생활만족도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원예치료 실시 전은 42.86검에서 실시 후 49 점으로 유의하게(p=.038)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생활만족도의 하위항목별 변화는 과거 차원에서는 원예치료 실시 전 14.57점에서 실시 후 16.86.으로, 현재 차원에서는 18.14점에서 21.43점으로, 미래 차원에서는 10.14점에서 10.71점으로 조금씩 향상되기는 하였으나 유의생은 없었다. 아동과 연계하여 실시한 원예치료 프로그햄은 우선적으로 유대관계형성에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아동들이 대상자에게 많은 것을 묻고 대답하게 하는 과정을 통해서 대상자들은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 었다. 뿐만 아니라 늘 몸이 불편하여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나약한 존재로만 여겨왔던 것이 이번 활동을 통해 비록 어린 아동이었지만 그들에게 자신들의 능력과 정력을 폰중받을 수 있었던 좋은 계기가 되었다. 노인들은 본능적으로 자식이나 젊은이에게 사랑을 베풀고 싶어 한다. 이러한 내리사랑을 배풀 수 없을 때에 노인들은 외로움을 느낀다. 이번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노인틀에게 잠시나마 그러한 내리사랑을 베풀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준 것이 상당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300.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학교 음악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청각 인지 능력의 중요성과 그 신장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어린이에게 음악 외적인 이미지 관련 모방이나 기술 습득 위주의 교육이 아닌 학생 스스로 음악을 대할 때 의미를 느끼고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는 청각 인지 능력의 습득은 현 초등 음악교육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 방안 계획 시 Edwin.E.Gordon(이하 Gordon)의 기능학습연계를 축으로 하여 수업 연계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고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수업 연계 계획을 정리하여 몇 개 제재곡의 차시별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수업 자체가 청각적 능력을 신장하는 지도 방안인 만큼 수업 방법에 있어 중요하게 언급된 수업 원리도 함께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