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frigerated convenience foods for Koreans, 492 house-wives residing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surveyed concerning satisfaction of buying precooked convenience foods, frequency of using them, preferred Korean dishes, and willingness to buy the convenience foods if they are developed.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AS package program. The satisfaction mean score of the marketed precooked convenience foods was 2.73 out of 5 and the housewives were least satisfied with feed additives and sanitation factors.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in purchasing were sanitation, taste, variety of type, nutrition, price, and food additives for side-dishes sold refrigerated or at room temperature, and taste, sanitation, variety of type, price, nutrition, and food additives for frozen prepared foods in order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using the precooked convenience foods was generally low but that of using the pickled dishes, Jokbal Soondae, and frozen prepared foods was relatively high. The answer of 'the thought that meals should be prepared in households' was the primary reason for avoiding using the precooked convenience foods and 'no time to cook' was the most frequent answer among the reasons for using them. Currently, the precooked convenience foods were used for snacks mainly, but the usages to be expected to increase were for lunchbox, main dishes, snacks, side dishes, special occasions foods, and leisure foods in order. Based on preference and buying priority, the dishes needed to be developed as refrigerated convenience foods among Korean dishes were identified. The result showed that 'preference' was not consistent with buying priority and the housewives perceived the factor of 'convenience' more importantly than 'preference' in purchasing the convenience f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inds and way of using traditional foods for korean traditional days, and to identify prohibitive foods for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and sick people taking into account the cultural aspects and the belief of korean housewives in Yanbia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December of 1995 in Yanbian area of China. The questionaire was designed to find traditional and prohibitive foods for them. The results provide some implications regarding the impact of cultures in understanding the perceptions to traditional foods as well as prohibitive foods. The perception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fast food and traditional food and menu is higher in Yanbian area than in korea but the frequency to use traditional fast food is similar in two areas.
전통적인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얇은 탄성 구조물을 해석하는 경우, 전단 및 막 록킹에 의하여 해석결과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더욱이 수치결과의 록킹방생 여부를 다른 참고할 만한 자료와 비교하지 않고 감지한다는 것은 그다지 쉽지 않다. 본 논문은 록킹에 대한 이론적 해석과 더불어 후 록킹인식을 위한 신뢰성이 있는 한가지 간단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이론적인 결과를 입증하기 위한 수치결과도 주어져 있다.
1. 레이저변위계 및 x-y로봇을 이용하여 계측한 3차원 데이터를 컴퓨터실의 PC/AT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Visual Basic(Microsoft)을 이용하여 프로그램화한 화상처리시스템에 의해 머스크멜론 네트의 추출과 그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시용 배양액농도 및 배양액 시용시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네트의 높이 및 폭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했다. 3. 머스크멜론 네트의 특징인 높이 및 폭은 시용 배양액농도에 따라서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양액의 농도가 낮을수록 네트의 점유율은 낮아지고, 폭은 넓어지는 경향이 보였다.
건강식품 및 원료의 유효성분 및 위해요소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의 기초조사로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건강식품에 관한 이용실태 조사와 건강식품에 대한 객관적 지식정도 조사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방문 및 협조가 가능한 20세 이상의 일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1995년 10월부터 96년 2월에 걸쳐 직접 방문하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명한 후 조사대상자가 직접 기입하게 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882부를 회수(회수율 88%)하였으나 이중 불완전한 응답 23부를 제외한 859부(유효회수율 86%)를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대하여는 단순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교차표를 이용하여 결혼 여부, 월수입, 교육정도 등의 사회 경제적 여건과의 통계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건강식품에 관한 이용실태 조사결과로는 응답자의 58.8%가 건강식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었으며 68.2%는 건강식품의 효능을 믿는다고 응답하고 있어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에 대한 가장 큰 기대효과는 전체적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는 것(59.8%)이라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큰 부정적 견해로는 과대선전(52.1%)이라고 응답하였다. 건강식품에 대한 정보 선택 경로로는 주로 친지의 권유나 소개(30.6%)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우리나라 식품법에서 건강보조식품의 등록관리사실은 63.7%가 모르고 있다고 응답하여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건강식품의 행정적 관리사실에 무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의 등록관리 사실을 알고 있는 건강식품의 종류로는 로얄제리(22.7%), 스쿠알렌(16.0%), 정제어유(15.1%), 유산균(10.6%), 알로에(8.8%)순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과 약품(또는 한약)과의 차별인식 조사결과에서는 응답자의 84.2%가 건강식품과 한약이 다르다고 생각하면서도 가장 잘 알고있는 건강식품의 종류와 약품(또는 한약)의 종류를 묻는 두 문항에 모두 인삼(22.7%, 41.7%)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건강식품과 약품의 구별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위한 계몽과 교육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건강식품 및 원료의 유효성분 및 위해요소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의 기초조사로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차적으로 건강과 식습관에 관한 소비자 의식구조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방문 및 협조가 가능한 20세 이상의 일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1995년 10월부터 96년 2월에 걸쳐 직접 방문하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명한 후 조사 대상자가 직접 기입하게 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882부를 회수(회수율 88%)하였으나 이중 불완전한 응답 23부를 제외한 859부(유효회수율 86%)를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대하여는 단순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교차표를 이용하여 결혼 여부, 월수입, 교육정도 등의 사회경제적 여건과의 통계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건강유지를 위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식습관(39.8%)이라고 답하였으며 93.9%가 식습관에 의해 질병에 걸릴 수 있다고, 97.1%가 식습관에 의해 질병이 치료될 수 있다고 믿고 있어 건강과 식습관이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염려되는 질병으로는 암(30.6%), 성인병(14.1%), 사고에 의한 질병(12.6%), 비만(10%) 순이였고 식습관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고 믿는 질병의 종류에는 당뇨병(35.6%), 비만증(22.4%), 고혈압(12.8%), 변비(12.7%), 암(7.9%) 순이였으며 식습관에 의해 치료할 수 있다고 믿는 질병의 종류에는 당뇨병(40.1%), 비만증(25.9%), 변비(16.5%), 고혈압(7.4%), 암(3.3%) 순으로 나타나 당뇨병과 비만증은 식습관과 매우 밀접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가장 염려되는 암에 대해서는 큰 기대를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종로구 소재 탑골공원에 모여 있는 남자 노인을 대상으로 식사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 건강 및 균형된 식사의 유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연령은 70대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초등 학교 졸업, 전직업으로는 노동 및 농부가 대부분이었다. 아들과 함께 사는 남자 노인이 56.1%였으나 노인 부부 가구 27.3% 및 독신가구 9.1%를 보여 남자 노인 부부 및 독신 가구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한달 용돈으로 5만원 이하를 사용하는 노인이 가장 많았다. 2. 남자 노인의 41.5%가 불규칙적인 식사를 하였고 이 가운데 대부분이 먹을 것이 없거나 돈이 없어서 점심을 굶는 비율이 높았다. 노인의 식사 준비는 며느리, 부인, 본인, 딸, 복지시설의 순서로 하였으며 식사 준비시 부인이 남자 노인의 식성을 가장 많이 고려하였고, 며느리와 복지시설이 가장 고려하지 않았다(p〈.05). 남자노인의 식사 횟수는 함께 식사하는 사람에 따라 유의적 차이(p〈.01)를 보여 동거하는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할 경우 하루 3회 규칙적인 식사를 하였으나, 독신가구를 형성하고 있는 노인의 식사는 매우 불규칙하였다. 3. 완전의치 및 무치 노인이 32.4%를 차지하여 남자노인의 치아상태가 매우 좋지않았으며 이들은 저작 장애를 보였으나 자연치 노인의 대부분은 식사시 문제가 없었다(p〈.05). 노인의 만성질병은 관절염, 소화불량, 고혈압이 비교적 많았고 변비, 당뇨병, 심장병 등도 있었다. 질병에 대한 식이요법보다는 치료약을 복용하는 사람이 더 많았으며 식이요법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먹고 싶은 것을 먹는 것이 더 좋다', '식습관의 변화가 어려워'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들의 건강보조식품의 섭취 빈도는 매우 낮았으며 다섯 가지 기초식품군에 해당하는 식품들이 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건강유지를 위하여 즐거운 마음으로 균형된 식사를 하고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4. 조사대상자의 식습관은 보통수준으로 판정되었으며, 양로원과 같은 복지기관에서 생활하는 노인의 식습관이 가장 좋았고 딸이 식사준비를 할 때 낮았으며(p〈.05), 노인의 식성을 고려하여 식사준비를 할 때 높았고 식성이 고려되지 않을 경우 낮았다(p〈.001).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남자 노인일수록 식습관 점수가 높았다(p〈.001). 5. 아침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노인이 77.5%였으며 식사시 식품의 배합을 고려하거나 규칙적으로 녹황색 채소 및 과일을 섭취하는 조사 대상자는 매우 드물었으며 고기·생선·계란 및 콩 등의 단백질 식품, 우유, 과일, 해조류식품이 건강에 유익하다고 알고 있으나 실제 섭취 빈도는 낮았으며, 특히 우유의 섭취가 매우 저조하였다(p〈.01). 이상과 같은 결과로 탑골공원에 모여 소일하는 남자노인이 비교적 건강하였고 식습관이 보통 수준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노인 혼자 식사할수록 불규칙한 식사를 하였고 식습관이 좋지 않았다. 대체적으로 결식 특히 점심결식 비율이 다소 높았는데 그 이유는 식욕이 없거나 경제적인 여유가 없어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우리 나라에서도 미국의 'Lunch program'과 같은 노인 영양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식사의 동기유발을 불러일으키고 최소한 하루의 한끼는 저가의 균형잡힌 식사를 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하겠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food choice, specific dietary changes over past few years and to find out consumer opinions concerning the use of yogurt and oligosaccharide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ree most important factors in food selection were taste (52.5%), nutrition (23.4%) and safety (15.8%). Three most important nutritive factors were protein (26.3%), calorie (19.2%) and vitamin (13.8%). Specific dietary changes of the respondent over past few years didn't affect meat intake, but increased vegetable and fruit intakes. Majority of the respondent (52.3%) ate yogurt more than 3 times per week and 35.6% of them ate 3~4 times per month. Reasons for intake of oligosaccharides were as follows; low calorie (40.8%), sweetener (28.3%)and bifidogenic factor (25.0%). The respondent regarded that yogurt had more preventive effect of disease than that of oligosaccharide.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assess the early nutrition-related knowledge,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the types of messages that their mothers give to them about nutrition and to analysis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The children of this study showed the uncooperative eating behaviors most frequently when they had breakfast and vegetables. In these cases the most frequent mother's messages given to the children was encourage eating some of each food. Children's eating problems as perceived by mothers were mainly low dietary intake and an unbalanced diet. The most frequent messages given to the children in the presentation of new foods were telling the child taste them and general nutrition about the new food. General topics in nutrition the mothers had discussed with their children were about nutrients, food groups, food transformations and food origins. Children whom mothers provided more information about these topic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concepts of food transformation, food origins and the total nutrition knowledge score. It is clear from this study that preschool children begin to learn about nutrition through these parental messages. Both parents and caretakers of young children should recognize the potential importance of these early interaction patterns.
The difference between self-evaluated obesity and obesity index of RBW and BMI as well as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were studied among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area. The subjects of 307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asked to categorize their body shape into 5 groups and to record their body weight and height. We found that average RBW and BMI of the students were 95.7% and 20.6, respectively. By RBW, 30.6% of students belonged to underweight and severe-underweight groups whereas 14.0% overweight and obesity ones. The female students showed lower obesity indice than the male. Self-evaluated obesity seemed likely to overestimate their body shapes above RBW and BMI, which lead to high unsatisfactioin toward their body shape. The overestimation was profound in normal weighted female students up to 20%. Misunderstanding about their obesity, especially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should be corrected necessarily by proper nutrition counseling and nutrition education, unless malnutrition could be serious in colleg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