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 hydroxides (Ni(OH)2) are synthesized on Ni foam by varying the hexamethylenetetramine (HMT) concentration using an electrodeposition process for pseudocapacitor (PC) applications. In addition, the effects of HMT concentration on the Ni(OH)2 structure an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PCs are investigated. HMT is the source of amine-based OH− in the solution; thus, the growth rate and morphological structure of Ni(OH)2 are influenced by HMT concentration. When Ni(OH)2 is electrodeposited at a constant voltage mode of -0.85 V vs. Ag/AgCl, the cathodic current and the number of nucleations a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HMT from 0 to 10 mM. Therefore, Ni(OH)2 is sparsely formed on the Ni foam with increasing HMT concentration, showing a layered double-hydroxide structure. However, loosely packed Ni(OH)2 grains that are spread on Ni foam maintain a much greater surface area for reaction and result in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electrode material due to the steric hindrance effect. It is suggested that the Ni(OH)2 electrodes with HMT concentration of 7.5 mM have the maximum specific capacitance (1023 F/g), which is attributed to the facile electrolyte penetration and fast proton exchange via optimized surface areas.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2013)’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overseas guidelines ASCE 41 - 06 is the most widely used procedure among domestic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guidelines in Korea. However, unlike ASCE 41 - 06, it stipulates that the final performance should be derived as the gravity load distribution ratio of the lateral force resistance system in the guideline. Therefore, in the case of a dual steel structure system with slender braces, where the internal moment frame is mostly responsible for the gravity load, the evaluation of slender braces based on gravity load distribution ratio is difficult to be achieved.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n objective evaluation process for such system by evaluating seismic performance for large-scale factory facilities as an example.
Nonlinear analysis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existing building usually takes 4~5 times more than linear analysis based on KBC code. To obtain accurate results from the nonlinear analysis, there are a lot of things to be considered for nonlinear analysis modeling. For example, reinforcing layout, applied load and seismic details affect behavior of structural members for the existing building. Engineer-oriented computerized system was developed for engineers to evaluate effective seismic performance of existing buildings with abiding by seismic design principles. Using the engineer-oriented program,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was performed. Nonlinear hinge properties were applied with real time multiple consideration such as section layout, section analysis result, applied load and performance levels. As a result, the building was evaluated to satisfy LS(Life Safety) performance level. A comparison between engineer-oriented and program-oriented results is presented to show how important the role of structural engineer is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existing buildings.
본 연구에서는 항암효과가 뛰어난 차가버섯의 초음파 추출 공정 최적화를 위해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추출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추출 시간(), 에탄올 농도(), 추출 온도()을 요인변수로 하고 추출 수율(), 총 페놀함량(),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갈색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시행 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 수율은 에탄올 농도와 추출 온도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안장점에서 추출 조건이 추출 시간 20.47min(), 에탄올 농도 42.85%(), 추출 온도 ()일 때, 최대값 18.02%로 나타났다. 총 페놀함량 또한 에탄올 농도와 추출 온도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최대값은 71.57mg GAE/g으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추출 조건은 추출시간 21.60min(), 에탄올 농도 45.19%(), 추출 온도 ()로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추출 온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안장점에서 추출 조건은 추출 시간 22.53min(), 에탄올 농도 46.37%(), 추출온도 ()였고 최대값은 35.98mg RE/g으로 예측되었다. 갈색도는 추출 시간, 에탄올 농도, 추출 온도 이 세가지 조건 모두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안장점일 때의 추출시간 22.00min(), 에탄올 농도 46.89%(), 추출 온도 ()의 조건에서 최대값이 예측되었다. 앞에서 얻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contour map을 분석한 결과 추출시간 21.50min, 에탄올 농도 44.87%, 추출 온도 의 최적 추출 조건이 예측되었다.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foods developed by gene recombination techniques from December, 1999 to April, 2000.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1,500 people, and the 1,101 people responded. The consumers were asked about knowledge, acceptance, intention of purchasing, and labeling information. Although the portion of the consumers (88.8%) knowing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GMF) was lower than that of the food expert group (98.7%), many consumers had some knowledge on the GMF, which may be influenced by news released from mass media. Seventy-nine percent of the consumers responded that gene recombination technology is necessary in food production, which is similar to the findings on the survey of the expert group. The portion of the consumers responding that these foods are potentially hazard was 88.1 %, which is a little higher than the data (80.9%) from the expert group. The consumers having greater knowledge less worried about a potential hazard of the gene recombinant foods (p<0.01). Although 62.9% of the consumers responded to be willing to purchase those foods, only 16.2% of them responded to purchase the foods with no conditions, which is lower to that from the expert group (23.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and the intention of purchasing. The ninety point three percent of the consumers wanted the information on gene recombination to be labeled on the foods. The data from this survey suggest that knowledge of the consumers on the GMF are not accurate, so proper strategy for consumer education may need to be develop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safety assessment sys0etn and analytical techniques for genetically modified foods (GMF) and to build pre- and post-market surveillance system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GMF labeling.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the food specialist to the food developed by gene recombination. The mail survey was distributed to 1,400 food specialists and received 464, a response rate of 33.1%. Respondents were asked about knowledge, concerns of potential hazards, purchasing and labeling of the gene recombination foods. Most respondents (98.7%) have some knowledge on the gene recombination foods. 91.3% of respondents recognized necessity of gene recombination technology. However, they also point out its potential hazards (80.9%). The groups with less knowledge showed their increased worry on the hazard in comparison with ones of having more knowledge(p$lt;0.01).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worry on the gene recombination foods. The groups with more knowledge showed their increased purchasing on gene recombination foods in comparison with ones of having less knowledge(p$lt;0.01).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urchase intent for gene recombination foods and knowledge. 68.4% of respondents showed their interest on purchasing the gene recombination foods. In this group, most of them (44.9%) has on condition that low cost (27.0%). In addition, they also have not use the foods for their children (17.9%) if they buy it. Most respondents (85.3%) want labeling on the gene recombination foods.
이 연구는 NCS 기반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학과에서 효과적으로 적용·운영하기 위한 평가 체계 및 평가 도구 개발 연구로 국내·외 문헌 연구, 검증위원(44) 및 검토·자문위원(5), CVR, FGI, BEI, 양적 및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검토·자문위원에 의해 평가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2차례 검증위원의 검증·수정 단계를 거 쳐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요소를 개발하였다. 또한 3차례 검토·자문위원의 논의 내용을 모두 반영·수정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체계를 개발하였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체계의 영역과 하위 내용을 검증위원 및 검토·자문위원을 대상으로 타당성을 실시한 결과 모두 .76 이상으로 우수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셋째, 검증된 평가 체계에 근거하여 3차례 검토·자문위원의 논의 내용을 모두 반영·수정하여 제1차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것을 검증위원을 대상으로 면접과 전자 우편을 통해 논의 내용을 모두 반영·수정하여 제2차(최종) NCS 기반 교육과정 평가 도구를 개발, 완성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 2년제 대학의 부사관 학과를 대상으로 고등직업교육기관에서 적용, 활용이 가능한 DACUM 기반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연구 방법은 PDCA 모형에 근거하 여 국내․외 문헌 고찰, 교육과정개발위원회, DACUM 직무 분석, 직무 모형, 결정 계수(중요 도, 난이도, 빈도), 기술 통계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과 단계별 개발 절차를 거쳐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 환경, 학교 및 학과의 요구 분석, 교육과정개발위원회 검토와 합의 내용에 근거하 여 학과의 인재양성유형과 교육 목표를 정의하였다. 둘째, 인재양성유형과 교육 목표를 토대로 학과의 직무인 ‘국방행정사무’ 를 정의하였다. 셋째, 직무의 정의를 토대로 직무의 모형을 설정, 배치(제1차)하여 6개(당초 9개)의 임무와 35개(당초 72개)의 작업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위원들의 검토 및 합의를 거쳐 최종 4개의 임무와 16개의 작업으로 배치(제2차)하였다. 넷 째, 직무 모형을 내용 타당도와 결정 계수에 근거하여 분석, 검증한 내용 타당도는 모두 1.00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였고, 결정 계수 또한 전체적으로 높은 순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작업 별 K-S-T(A)는 지식 20개와 기술 20개, 도구(태도)를 19개 각각 도출하였다. 여섯째, 작업별 K-S-T(A)에 근거하여 6개의 교과목을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작업/교과목 연계표를 개발, 작성하였다. 일곱째, 작업/교과목 연계표에 근거하여 교과목 명세서를 개발, 작성하였다. 여덟 째, 개발한 교과목 명세서를 토대로 학습자들을 위한 학년․학기별 교육과정을 수립하였다. 또 한 DACUM 기반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 편제표와 경력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로드맵을 각각 개발, 작성하였다.
이 연구는 DACUM법을 이용하여 충북 지역의 차세대전지 관련 분야의 산업체 전문가의 요구분석과 산업 실태를 근거로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필요성과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개발연구, 전문가협의회, 워크숍, 교육과정개발위원회 등의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태양전지과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Duty(8개) 및 Task(148개)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교과목 Profile을 근거하여 1학년은 총 5교과목으로 학기당 15이수 단위의 공업입문, 태양전지기초, 기초제도, 전기전자회로, 전자기계공작이며 2학년은 총 4교과목으로 학기당 12이수 단위의 자동화설비, 태양전지 공정이론, 태양전지설비제어이다. 또한 3학년은 총 4교과목에 학기당 28이수 단위로 전자전산응용, 전력설비,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종합실무이다. 그리고 전문교과 이수단위 편성에 대한 학교 및 현장에서 수행하는 작업 내용과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문가 5명으로부터 검토 의견을 수렴하였고 그 내용들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