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에서 로봇으로 사석 고르기 작업을 실시할 경우 로봇 주위의 지형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야 원격조종이 가능하다. 현 위치로 부터 주변지형의 높낮이를 보여줘야 운전자가 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전복과 같은 사고도 예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지형인식은 멀티 빔 소나에 의해 이뤄졌는데 이는 작업 전후의 품질을 평가하는 용도만 사용되었지 원격조종에서 필요한 실시간 정보로는 사용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수중 사석 고르기 작업을 위한 실시간 지형인식 방법을 개발한다. 버킷이 지면을 누를 때 전달되는 힘을 측정해 접촉여부를 판단하고, 실린더의 길이를 읽어 접촉위치를 계산한다. 버킷의 위치제어를 위해 가변 뱅뱅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숙련된 굴삭기 운전자의 작업패턴을 프로 그램화해 지형인식, 긁기, 밀기, 전진 등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개발된 방법은 로봇 몸체로부터 버킷의 거리에 따라 3차원 격자 지형을 상대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지형을 인식하고 지형에 따라 작업계획을 세우도록 한다.
이 연구는 근대 일본의 대표적 관찬사료인 『조선국 교제 시말 내탐서』, 『죽도고증』, 『태정관 지령』에 나타난 울릉도·독도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19세기 후반 일본정부에서 발행한 이 사료들은 울릉도⋅독도가 역사적⋅지리적으로 한국의 영토였음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17세기말 안용복사건에 의해 촉발된 울릉도쟁계(죽도일건)를 통해 확인된 ‘울릉도와 독도는 조선영토’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는 사료들이다. 먼저 『조선국 교제 시말 내탐서』13항 ‘죽도와 송도가 조선의 부속이 된 경위’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일본 외무성이 “울릉도(죽도)는 물론이고 독도(송도)에 관해서도 기록된 서류가 없다”고 인정함으로써, 울 릉도와 독도가 하나의 세트로 인식되었으며, 역사적·지리적으로도 조선의 영토였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죽도고증』에서 기타자와 마사나리는 울릉도에 대해서는 한국의 영유권을 인정하면서 독도에 대해서는 일본의 영유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1860년대 이후로 당시 일본이 울릉도와 독도의 명칭과 지리적 인식에 대해 매우 혼란스러웠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것은 당시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일본의 역사적⋅지리적 인식이 매우 부족했 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태정관 지령』에 대한 검토에서는 “죽도 외일도는 본방 과 관계없음”을 확언한 태정관지령과 첨부지도 ‘기죽도약도’를 통해 독도가 역사적·지리적 으로 한국의 고유한 영토임을 확인할 수 있다. 기죽도약도에서 표기된 조선동해-울릉도-독도-오키섬 간의 지리적 거리도 현재의 거리와 수치적으로 거의 일치하고 있으므로 ‘외일도 =송도(독도)’는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인 것이다. 결국 근대 일본의 대표적 관찬사료인 『조선 국 교제 시말 내탐서』, 『죽도고증』, 『태정관 지령』을 검토해 봐도 울릉도⋅독도가 역사적 ⋅지리적으로 한국 영토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17세기 중반 이래 독도에 대해 실효적 지배를 해왔다는 일본의 ‘고유영토론’은 조작된, 허구적 주장이라는 사실이 한층 더 명백해 졌다.
일본 메이지시기 오카무라가 집필한 『新撰地誌』⋅『明治地誌』 등은 문부성의 검정을 받아 널리 사용되었던 대표적인 소학교 지리교과서로 손꼽힌다. 그는 일본영토의 확장과정에 관심을 갖고 지리교과서에 일본영토의 경계와 범주를 정확히 서술하거나 그려놓았다. 따라서 이글에서는 오카무라가 지리교과서에서 독도의 존재를 알고 있음에도 독도를 조선 영토로 인식했다는 사실을 분석하였다. 오카무라의 일본영토⋅오키 인식은 난마의 『小學地誌』를 저본으로 『小學地誌字引』을 집필하면서 형성되었다고 여겨진다. 문부성 발행의 『小學地誌에는 독도가 거론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난마가 『內地誌略』에서 竹島⋅松島를 소개하면서도, 오키의 관할범위를 북위 약 35도 50분여∼36도 30분으로 명기한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울릉도⋅독도를 일본영 토로 간주하지 않은 난마의 인식은 오카무라에게 수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오카무라는 『新撰地誌』에서 울릉도와 독도의 존재를 알면서도 두 섬을 조선의 영토로 인식하였다. 조선과 중국 등 주변국이 표시된 「日本總圖」에는 일본영토가 채색된 반면 울릉도와 독도로 여겨지는 두 섬은 채색되지 않은 채 해양 영역을 표시한 듯한 빗금이 조선 영역으로 그어져 있다. 일본의 강역을 표시한 「日本全圖」에는 두 섬이 그려지지 않고, 「山陰山陽及南海道之圖」에는 오키까지 표시되었으며, 「亞細亞」에 그어진 일본의 국경선 에는 오키가 포함된 반면 독도가 분명하게 제외되었다. 이러한 「亞細亞」의 일본 국경선 표시는 현재까지 알려진 ‘문부성검정제’를 받은 지리교과서들 중 가장 시기가 앞선 것으 로 판단된다. 독도가 조선영토라는 오카무라의 인식은 『新撰地誌 이후에 집필된 『小學校用地誌』⋅ 『尋常科用日本地理』⋅『明治地誌』⋅『高等小學新地理』⋅『日本地理新問答』에도 견지되 었다. 이들 지리교과서의 일본⋅산인도 위치에는 일본 국경의 극단에 있는 섬들과 오키만 열거되었을 뿐 독도는 서술되지 않았다. 일본의 모든 영토가 표시된 「大日本全圖」⋅「府縣 明細圖」⋅「大日本帝國全圖」⋅「日本國全圖」등에는 독도가 빠졌고, 조선 등 주변국의 위치가 표시된 「日本諸島及隣國之地圖」⋅日本全形圖」등에도 일본영토가 채색된 반면 동해 안쪽의 두 섬은 채색되지 않거나 그려있지 않다. 「山陰道及山陽道地圖」등에는 오키까지만 그려져 있다. 『新撰地誌』⋅『明治地誌』 등은 공식적으로 검정을 획득했을 뿐 아니라 당시 대표적인 지리교과서로 손꼽힌다. 따라서 독도를 조선영토로 간주해 일본영토에서 제외한 오카무라의 지리교과서는 문부성을 비롯한 일본정부의 차원에서도 독도를 일본영토가 아니라 조선 영토로 인정한 중요한 근거가 된다.
Product familiarity is vital to assess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In this study, a conceptual model was propo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c products familiarity, perceived value (measured by quality, emotional, price and social dimension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students. The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using questionnaire survey data collected from 235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reveal that organic products familiar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quality, emotional value, price value and social value. On the other hand, emotional value, price value and social value i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rchase intention whereas quality shows in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 Overall, the result shows students have positive outlook about their intention to purchase organic products.
다문화교육이 정책적으로 강조되면서 교사의 다문화교육 역량을 어떻게 신장시킬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관련 논의 중 본 연구는 교사들이 다문화가정 학생을 어려움 없이 지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긍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교사효능감의 이론 틀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교사효능감을 형성하는 주요 요인 중 교사의 성취 및 대리 경험, 학교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문화가정 학생 지도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 인식이 어떤 요인들에 의해 제고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16 다문화사회 관련 의식 조사 중 교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179개교의 3,97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다층모형을 통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성취 경험이라고 할 수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 담임 경험은 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다문화교육 관련 강의 수강이나 현직연수 프로그램 이수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의 대리 경험으로서 가정한 동료 교사들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긍정적 인식 수준은 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학교 간 효과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학교의 다문화교육 관련 정책 수행과 학교 문화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 화 관련 교사교육과 학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이 교사의 개인내적 특성인 교수몰입과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유치원 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치원 교사는 자신의 교직 전문성, 교수몰입, 교직헌신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과 교수몰입 그리고 교직헌신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교직 전문성 인식과 교직헌신보다 교직 전문성 인식과 교수몰입 간에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직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운영관리능력과 교육과 보호능력은 교수몰입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쳤으며, 의사소통능력과 전문성 신장능력은 교직헌신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을 높이는 지원은 곧 교수몰입과 교직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유아교육의 질적 성장과 교사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될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과학과 공학에 대한 ‘어려움’이라는 부정적 인식 개선이 목적이다. 연구를 위해 4개 구인으로 구성된 설문도구를 개발했다. 실험을 위해 게이미피케이션이 적용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했다. 실험은 춘천에 위치한 A 대학교 학생 58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게이미피케이션이 적용된 학습 콘텐츠가 과학 & 공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개선에 대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 공학의 부정적 인식 개선과 더불어, 과학과 공학적 지식 습득에 대한 지속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아 누리과정의 효율적인 적용과 유치원교사의 누리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사립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교사 1469명을 대상으로 2017년 2월 10일부터 15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1.0v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누리과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누리과정의 도입으로 인해 교사의 교수학습 편성·운영 및 교육활동 계획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누리과정 연수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누리과정을 통해 교사의 교육과정 구성 능력과 교수-학습 능력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재정 운영이 안정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형식적인 수준의 연수에는 아쉬움을 나타냈으며, 교사의 근무여건 개선 및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연계는 아직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교사의 근무 여건 개선에 대한 방안 및 교사연수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며 유아교육과 초등교육과의 연계방안에 대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방사선사법 제정에 반영해야하는 주요내용 및 방사선사법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방사선사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였다. 방사선사법 제정에 대하여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의 결과에서 “중요하다” 이상의 우선순위는 방사선사법 제정(90.1%), 방사선사 업무로 “조영제 주사” 법제화(85.8%), “의료방사선 정책 심의 위원회” 법제화(85.8%), “방사선사 윤리위원회”의 법제화(80.9%), 협회 방사선사 의무가입의 법제화(71.6%)이었다. “보통” 이상의 우선순위는 방사선사법 제정(100%), “의료방사선 정책 심의위원회” 법제화(97.1%), 방사선사 윤리위원회”의 법제화(95.1%), 방사선사 업무로 “조영제 주사” 법제화(95.1%), 인증평가제 도입 필요성(94.34)이었다. 필요성과 중요도에서 방사선사법은 최우선 과제로 여겨지고 개별 안건에 따라서 필요성과 중요도의 차이는 존재한다. 이는 방사선사법 제정의 논리적 근거와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survey on perception and anxiety of high - rise buildings in the general public.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re was insufficient change in awareness before the construction of high - rise buildings such as landmarks was insufficient (before 2015). However, half of the citizens who felt uneasy that high-rise buildings were likely to collapse due to external influences were close. The anxiety was mainly due to the information of the press or the Internet. It is thought that the cause of anxiety comes from touching negative opinions about the high-rise buildings.
This paper presents basic data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safety check systems by analyzing the status of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n the Periodical safety check system.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client, supervisor, and contractors. It is judged that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peer review system by expanding the participation of other highly recognized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is deemed necessary to set up a monitoring system to monitor the check detai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well Google Voice Actions, a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 recognizes Korean young English learners’ pronunciation of English words. To achieve this aim, the current study arranged for 18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ronounce 219 English words and recorded their pronunciation. Then, the intelligibility of their pronunciation was measured using Google Voice Actions.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measured intelligibility of Google Voice Actions in terms of the phonemic difficulty and familiarity the learners have with the words. The phonemic difficulty of each word was labelled as Group 1 to 5, depending on the number of difficult phonemic elements it contains. The familiarity of each word was also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accuracy in Google Voice Actions’ recogni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students’the phonemic difficulties and familiarity of the words. Interestingly, the pronunciation of words in Group 5 gained the highest recognition scores and that of Group 1 the second highest scores. Those of Group 2, 3, and 4 recorded lower recognition scores tha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re phonemic information the pronunciation of a word provides, the more relevant clues would be available for Google Voice Actions. This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search from the speech database.
최근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시장이 세분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수축산물도 품질, 기능, 가격 등의 차별화만으로는 더 이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식품산업의 다변화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여성의 사회참여가 확대되며 생활패턴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소비 트렌드와 식생활패턴의 다변화로 축산물을 가공하여 판매하고 있는 햄, 소시지와 같은 축산가공품의 개발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는 국내시장의 개방화에 따른 해외농수축산물 수입으로 인해 상품의 신선도, 안전성을 고려한 포장디자인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예견한다. 국내·외 축산가공품의 포장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구조 및 형태, 시각·정보 전달 면에서 국외사례에 비해 포장디자인의 방법에서 미흡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축산 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국내⋅외 축산가공품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소포장 · 소용량이 일반화되고 있는 식품 중 축산가공품의 신선도와 포장소재, 포장디자인의 적합성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현재 디자인과 개선된 디자인의 포장디자인 평가에 대한 진행과 보완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축산가공품 디자인의 사례를 디자인 평가 척도, 독창성, 기능성, 경제성, 심미성 등으로 분류 후 소비자에게 식품포장으로 인식하게 할 만한 차별적 요소와 방법적인 관점에서의 포장디자인을 평가하고자 한다. 축산가공품은 다른 상품과 달리 소비자가 쉽게 구매결정을 하는 저관여 제품이므로, 더욱 더 포장디자인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판단되며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신선 포장 소재 및 소비자가 원하는 포장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청소년의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이 게임 과몰입을 심화하거나 심리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사회적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1년에 걸친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했다. 첫 번째,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이 1년 후 청소년의심리사회적 변인(자존감, 우울감, 자기통제력, 물질가치 등)과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확률형 아이템 게임 이용 유무에 따라 청소년의 게임 과몰입에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의 영향력이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해보았다. 분석 결과, 확률형 아이템 게임이용 집단은 비이용 집단보다 자존감이 낮았으나 게임 과몰입과 물질가치는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확룰형 아이템 이용 집단은 비이용 집단과 달리 자존감과 물질가치가 게임 과몰입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vision-based fall detection system to automatically monitor and detect people’s fall accidents, particularly those of elderly people or patients. For video analysis, the system should be able to extract both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so that the model captures appearance and motion information simultaneously. Our approach is based on 3-dimension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which can learn spatiotemporal features. In addition, we adopts a thermal camera in order to handle several issues regarding usability, day and night surveillance and privacy concerns. We design a pan-tilt camera with two actuators to extend the range of view. Performance is evaluated on our thermal dataset: TCL Fall Detection Dataset. The proposed model achieves 90.2% average clip accuracy which is better than other approaches.
본 연구는 VTS 시스템을 통해 선박 통항 상황을 모니터링 중 선박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위험 상황에 대한 해상교통관제사 (Vessel Traffic Service Operator: 이하 VTSO)의 상황 인식에 따른 위험 태도를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양 선박이 서로 근접하고 있는 상황 에서 VTSO들의 주관적 관점에서의 위험 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하고 이를 선박 충돌 위험도 평가모델(이하 CoRi)에 의한 계산 값과 비교함으로써, 근접상황에 대한 각 VTSO의 위험 태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VTSO 전체의 40% 이상이 약한 위험 회피형임을 확인할 수 있 었고, VTSO의 위험 태도가 성별, 연령, 근무경력, 센터직책, 사고경험, 승선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근무경력, 센터직책, 사고 경험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된 요인으로 VTSO의 위험 태도를 설명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도출하 였고, 이를 CoRi에 적용함으로써 VTSO 개인에 따른 충돌 위험도를 예측하여 더욱 정확하고 안전한 VT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In general, an increase in consumer income increases interest in safe foods and increases consump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foods. Meanwhile, even in Malawi, interest in safe food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 has been increasing due to increase in per capita income, but research related to this has not been done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valu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s in Malawi consumers.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consumption patterns and estimated the value of organic chicken for consumers visiting supermarkets. As a value estimation techniqu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was used. Probit model analysis showed that price, expenditure on regular chicken, and knowledge of organic food affect the willingness to pay for organic chicken. CVM analysis shows that Malawi supermarket consumers are willing to pay MK2,514 (3.59) dollars per kilo of organic chicken, which is 25.7% higher than the average price of a regular chicken. Thus, Malawi supermarket consumers can deduce that they have a higher value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 than regular food. These findings can be used in formulating policies on food safety by government officials, organic chicken meat marketing strategies by supermarket mangers, decision making to enhance organic food production by producers, in order to develop organic food industry.
한국어 교육은 국내와 국외, 한국어 원어민 교사와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에 의해 발전하고 있다. 국외 한국어 교육이 발전하고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가 증가하면서 이들에 대한 전문성 강화와 양성 및 활용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국내에서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는 2005년 시행된 이래 한국어 원어민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양성 하는 기준이 되었다.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의 교육 및 양성에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를 활용한다면 국외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에는 56개 물류센터가 운영되면서 개장 초기 대비 많은 수의 물류센터 운영과 전반적인 산업 경기 위축으로 물동량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이로 인해 물동량 유치를 위한 물류센터 간 경쟁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장 상황 에서 물류센터가 구비하고 있는 여건은 대동소이하므로 화주들은 물류센터를 결정하는데 있어 저단가 외에 어떠한 차별화된 서비스를 원하 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물류센터의 서비스품질과 관련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서비스품질 이론을 물류센터에 적용하여 물류센터 서비스품질의 요인을 구성하고 이들 요인이 물류센터 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과 구전의도 및 재이 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물류센터 서비스품질은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 확신성, Know-How의 5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회귀분석 결과 이들 요인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지된 고객만족은 구전의도와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무인화 선박과 관련하여 해양 산업 분야에서의 기술적인 응용에 대한 관심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기술, 안전 및 보안 문제와 관련하여 무인 선박의 운영 가능성을 시험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많은 연구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처럼 선박은 매우 빠르 게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결국에 선원이 승선하지 않아도 되는 무인화 및 지능형 선박의 개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까 지 선원들의 관점에서 선박의 기술적 변화와 앞으로 도입될 무인화 선박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4차 산업 혁신 중에 하나 일 선박의 자율운항기술은 선원의 일자리, 선원의 노동과 윤리적 분야, 교육과 훈련 등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선원의 선상 근무가 필요 없 는 무인 선박의 개발에 앞서서 논의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러한 논의의 시작으로 본 연구는 무인화 선박에 대한 선원의 지식과 인식이 어떠한 지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변수들 간의 상관 관계를 테스트하는 데 피어슨 상관 계수를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