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예이츠의 생태 시를 논의한다. 본 논문이 예이츠를 생태 시인으로 다루는 세계 최초의 논문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사실, 생태 시는 새로운 시가 아니다. 셰익스피어 같은 시인도 생태 시인으로 다루는 학자가 있다. 본 논문은 또한 마르크스나 페미니스트 비평의 길을 가고 있는 생태비평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는 정치적 슬러로건도 아니며, 그렇다고 전혀 쓸모 없지도 않다.
예이츠는 자연시에서 현세를 벗어나 저편의 이상향을 그리는 낭만주의적인 성향을 보여준다고 여겨져 왔다. 하지만, 그의 전원풍의 시는 전통적인 이상향을 추구하면서도 현실에 대한 비극적인 인식과 도피를 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원시의 전통에서 벗어나 있다. 예이츠의 독특한 상상력은 오히려 동양적인 자연관을 연상시키며 현대의 생태적 인식에도 닿아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논자는 예이츠의 자연시 몇 수를 조선시대의 강호가도와 비교하며 그의 자연시의 동양적, 생태적 풍미를 제고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중국어 독자는 약 3000개의 독특한 문자를 기억해야지만, 일상적인 글 읽기에 대처할 수 있는데, 이 때 사용되는 대부분의 글자들은 본인의 대량의 필사를 통하여 학습해 얻은 것이다. 이 때 학습자가 학습하는 필순은 이미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론상으로 말하면, 독자는 글자를 식별하는 것만 필요 하고, 정확한 필순을 공부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뇌에 어떤 형상이 형성되는 과정 에 대한 연구에서는, 중문의 독해 능력은 업무를 수행하는 기억 속의 시각 공간 처리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때문에, 본 연구는 중문 독해와 관계있는 여러 요소와 시각 공간 기억의 관계를 연구하여 밝히는 것이며, 아울러 중문 독해 중 필순에 대한 인식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연구 토론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북경의 한 초등학교에서 공부하는 1학년 학생 40명으로, 연구 과정 중에서 비언어 지능 지수, 독해의 표현, 필획과 부건에 대한 단기 기억과 그 들이 익숙하거나 생소한 한자에 대한 필순의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필획의 기억과 독해 능력 표현은 확실한 관련성이 있고, 필순과도 관련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부건에 대한 단기 기억과 독해 능력은 무관하였으나, 생소 한 어휘의 필순의 정확성을 판별하는데 대해서는 오히려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필순과 독해 능력 표현은 강한 상관성이 있었다. 총체적으로 필순에 대하여 정확 성은 독해 능력 표현의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익숙한 어휘의 필순 정확성은 또한 생소한 어휘의 필순 정확성의 지표가 되기도 하였다. 요컨대, 필획에 대한 단기 기억이 부건에 대한 단기 기억보다 더욱 중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정확한 필순의 인식은 중국어 속의 독해 능력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probe pedagogical viability of extensive reading as an effective alternative in English reading instruc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an English book club was formed, consisting of 40 high school students. The book club activity was held during four months of summer and winter vacations in 2009. Th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freely write anything in their reading logs they felt while reading. The reading log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y revealed effects of extensive reading and changes of the readers' cognitive and affective read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results, 1) extensive reading has potential to be a successful alternative in English reading instruction; 2) the readers could experience “amusement” and “absorption” by reading sufficient books with the i−1 level; and 3) extensive reading enabled them to choose their ways of reading and to be responsible for their choices.
This paper explores whether the English reading text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are factually accurate. The tests which were administered over the fifteen-year period since 1996 are investigated with regard to whether the infonnation in the texts which deal with historical events or figures and real life situations is factually accurate.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12 test items which are not factually accurate. Some of the items which use the original texts intact or have a minor modification to them contain information which is not true when their original texts are cross checked with various sources of materials. Others have inaccurate information resulted from the revisions of the original texts such as modifying them in order to lower the difficulty of the items.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confirm whether the information in the reading texts is factually accurate or to sustain the information as it is as much as possible if it is accurate.
이 연구는 그림 자료의 근접성(고근접 vs. 저근접)에 따른 제시여부와 읽기모드(단순읽기 vs. 요약읽기)에 따른 학습자의 인지부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전기피부반응을 통하여 인지부하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참가자는 34명(통제집단=17명, 실험집단=17명)이었으며 고근접 조건과 저근접 조건에 대한 반복구획요인설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각 실험조건에서 측정된 과제난이도 지각점수를 공변량으로 투입하여 학습자의 사전지식에 의한 영향력을 통제하였다. 그림 자료의 근접성의 정도에 따라서 고근접 그림 자료와 저근접 그림 자료가 순차적으로 제시되었다. 처음에는 단순읽기 모드가 제시되었고 이후에 요약읽기를 수행하였다. 전기피부반응은 단순읽기와 요약읽기에서 모두 측정되었다. 이 연구의 종속변수는 전기피부반응과 지각된 난이도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근접 자료가 제시된 조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저근접 조건에서는 그림 자료의 제시여부 및 읽기모드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저근접 조건에서는 텍스트만 제시하는 것보다는 그림 자료가 제시될 때 전기피부반응이 올라갔다. 또한 단순 읽기 보다 요약읽기에서 더 높은 전기피부반응이 측정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저근접 그림은 인지부하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읽기모드가 복잡해지면 인지부하가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동일한 자료를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인지과정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서 인지부하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습성취과 같은 과제수행 요인과 더 높은 난이도에서의 인지부하 측정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Yeats has expended so much energy on theatre for the simple reason that his imagination was essentially dramatic. Just as in his lyrical poetry he was to find a way of embodying his conviction that conflict is at the root of life, so in his drama he was to develop techniques that enabled him to shape his vision into actable form. Despite great differences in subject matter and technique, Yeats's plays consistently dramatize the conflict between the opposing values: passion, intuition, heroism and self-assertion, on the one hand, reason, prudence, convention, community and self-submission,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studies the conflicts in Yeats's three early plays: the conflict between the poet Aleel's world of dreams and beauty and Cathleen's decision to sacrifice herself for the community in The Countess Cathleen, the conflict between the life-denying forces of moral orthodoxy and social conformism and gaiety and aesthetic vitality in The Land of Heart's Desire,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poet Forgael's transcendental journey and his companions' absorption in wine, women, and loot in The Shadowy Waters. Thus, conflict is a powerful instrument to dramatize Yeats's dramatic vision and these early plays, in spite of many failings, show the embryo of the recurrent theme of conflict in his more successful later plays.
본 연구는 공감-체계화 유형, 얼굴제시영역, 정서유형에 따른 정서 인식과 정서 변별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개인의 공감-체계화 유형, 얼굴제시영역, 정서유형에 따라 정서 인식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공감-체계화 유형에 따른 정서 인식 정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얼굴제시영역과 정서유형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과제를 바꾸어 개인의 공감-체계화 유형, 얼굴제시영역, 정서유형에 따라 정서 변별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얼굴제시영역과 정서 유형에 따른 정서 변별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공감-체계화 유형과 정서유형 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었는데, 기본정서에서는 공감-체계화 유형에 따른 변별 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복합정서에서는 공감-체계화 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정서 인식과 달리 정서 변별에 있어서는 정서 유형에 따라 공감-체계화 유형 간 정확률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정서를 인식하는 것과 변별하는 것이 공감-체계화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 특성, 얼굴제시영역, 정서유형이 정서인식과 정서 변별에 서로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Nous obserbons dans le champs de l’art aujourd’hui, le changement radicalprovoquant étant donné que le pouvoir du marché de l’art s’augmente de plus en plus. C’est pour cela que le champ du discours de l’art n’est actuellement plus formé par desnotions esthètiques artistiques, mais par celles qui sont réservées au domaine de l’économie et du marché. Il n’est plus significatif de croire la valeur esthètique de l’oeuvred’art, puisque l’esthètique elle-même ne fonctionne plus. Par contre, le système de donnerle prix à l’oeuvre d’art fonctionne rigoureusement. En plus, cette situation s’aggrave étantdonné que la mondialisation du marché de l’art s’installe avec rapidité. Malgré lamondialisation de l’art, des gens qui habitent par exemple à Séoul ne peuvent pas s’approcher facilement de ce qui se passe à New York, le vrai centre de l’art contemporain.Dans cette situation, le champ de discours de l’art n’a pas d’autre solution de se rétrécirremaquablement et le sujet de discussion sur le grand art est remplacé par celui du successde l’art. Cette recherche est arrivée à remarquer que le système du foire internationale de l’art fonctionne comme une locomotive dans le marché de l’art qui est le vrai dominateur del’art contemporain. Aujourd’hui les grands clients du monde de l’art et les jeunesspéctateurs, les clients de l’avenir s’assemblent autour de quelques foires internationalesréputés qui ont de l’autorité. C’est ainsi que l’achat et la vante de l’oeuvres d’art estsuffisamment mondialisé et que le système local du marché est dérangé et s’éffondrégravement.Malgré la différence significative, la majorité des galeries d’art lacaux s’oblige desuivre à la suite du style du foire internationale de l’art. C’est la raison pour laquelle quecette recherche se fait une idée nette que la prospérité actuelle du marché de l’art n’est quela situation économique ou financière. A ce stade de la réflexion, cette recherche arrivera à poser une question primordialeci-dessous: “Si l’art qu’on à l’intention de proclamer ne serai plus possible de faire réfléchirsur la liberté et la solidarité humain, la dignité de l’homme, cet art n’est plus autre choseque l’insignifiance. Au lieu de parcourir divers phénomène du marché de l’art aujourd’hui, cetterecherche fixera son attention sur la réalité du foire internationales de l’art. Dans cecontext, cette recherche sera composée par trois chapitres donc le première essayera derépondre á la question de son influence extraodinairement puissante. Le deuxième chapitreessayera d’analiser la réalité et la source du pouvoir du foire internationale de l’art. Nousessayeront au troisième chapitre de configurer le point de vue critique qui permettra debien comprendre notre sujet.
In the early reading stage, readers should be supported both orally and conceptually so that they are equipped with the basic skills and knowledge about word recognition. Thus, a lack of systematic support in the early reading developmental stage impedes the natural growth of reading ability. This article investigated how children were supported in reading from their teachers in the primary English classrooms. To accomplish this purpose, eleven reading-focused classrooms were analysed. Observations, video recording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Field notes and checklists were also used during the observations. Qualitative analyses revealed that children were poorly supported in learning to read: teachers used few limited teaching techniques and their uses were not effective on reading. The data from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teachers were rarely trained for reading instruction, and that they possessed a limited knowledge about the English language system as well as about the reading development of young learners. Hence, the teachers' poor background knowledge and lack of skills led to less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require training such as in basic knowledge about the English writing system and reading development in order to deliver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to early readers.
제7차 개정 漢文科敎育課程중 ‘읽기’에서는 ‘漢字․漢文의 正確한 朗讀’을 요구하고 있다. ‘漢字․漢文의 正確한 朗讀’이란 韓國語‘標準發音法’을 따르는 것이다. 漢字音도 韓國語發音의 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漢文科에서는 漢字音敎育이 國語發音敎育의 한 부분이라는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韓國語標準發音法에서는 母音의 長短音을 구별하여 말해야 標準發音이 되는데, 현재까지 漢文科敎科書는 長短음을 구별하지 않는 不正確한 漢字音을 적어 왔고 漢文科敎師는 非標準漢字音을 가르쳐 왔다. 오늘날 韓國語의 標準發音敎育은 國語科에서는 불가능하다. 國語科敎科書는 한글專用으로 되어 있는데, 현행 한글은 長短音을 구별하지 않고 적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漢字를 가르치는 漢文科에서만 正確한 漢字音敎育이 가능하다. 漢文科에서 漢字의 標準發音敎育을 잘 해준다면, 漢字語가 韓國語語彙의 70%를 차지하므로 학생들은 韓國語標準發音을 거의 할 수 있게 된다. 따 라서 漢文科교육자들은 “漢字音의 正確한 敎育”은 漢文科의 時代的使命이자 特長임을 인식해야 한다. 글쓴이는 이런 관점에서 기존의 漢字音관련 論文들을 檢討해 보았는데, 현재 漢文科敎育에서는 長短音을 구별하지 않는 平讀이라는 잘못된 漢字音敎育을 大勢로 인정하고 있었다. 이는 時急히 바로잡아야 한다. 漢文科授業시간에 正確한 漢字音을 敎育하는 方法은 다음과 같다. 먼저 個別漢字音을 正確히 가르친다. 그리고 2․3자 漢字語, 4자 成語, 漢文, 漢詩는 나눌 곳을 각각 잘 알아서 끊어 읽게 해야 한다. 그리고 항상 제1音節에서만 長短音을 區別하여 發音하게 하면 된다. 漢文科敎師가 正確한 漢字音을 지도할 수 있으려면 본인이 먼저 正確한 漢字音을 알아야 한다. 그럴려면 敎育漢字代表訓音選定(案)(2000) 같은 책을 통해 漢字音의 長短音區別을 익혀야 한다. 漢文科에서 正確한 漢字音을 교육하면, 標準漢字音을 잘 배운 사람은 비록 한글專用으로 된 글일지라도 스스로 長短音을 區別하여 漢字를 正確히 朗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한글專用을 補完하기 위해서라도 漢文科에서는 正確한 標準漢字音을 敎育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