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부의 21C 프론티어 사업 중 하나인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단에서 연구 개발 중인 수자원 확보기술을 대상으로 기술평가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는 개발기술의 가치평가를 통하여 R&D가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개발된 기술이 실용화 단계까지 성공적으로 갈 수 있도록 기여함에 있다. 수자원 확보기술의 성격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정량적 평가뿐만 아니라 정성적 평가가 모두 가능한 2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진 평가틀이 구축되었다. 4개의 평가기준
여기에서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임목유전자원에 대하여 앞으로의 개발과 보존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본식물은 62과 136속 279종 28변종 13품종으로 계 320 분류군이었다. 그 중 침엽수인 나자식물은 3과 5속 7종으로 전체의 2.2%였으며, 나머지인 59과 131속 272종 28변종 13품종 계 313 분류군이 활엽수였다. 활엽수 중 상록수는 31과 45속 72종 7변종 5품종으로 84 분류군으로 활엽수종의 26.8%이며, 낙엽수는 42과 93속 200종 21변종 8품종 계 229 분류군으로 73.2%였다. 이들은 교목 122 분류군(38.1%), 관목 177 분류군(55.1%), 만경 21 분류군(6.8%)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휴면형, 번식형, 산포기관형 및 생육형에 의한 스펙트럼이 분석되었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본식물 320 분류군 중 17과 21속 14종 16변종 30 분류군이 한국특산이었으며, 그 중 22 분류군은 제주특산이었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본식물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종은 V 등급 10 분류군, IV 등급 24 분류군, III 등급 53 분류군이었다. 이 결과는 V 등급은 전국의 12%, IV 등급은 7.6%, III 등급은 17.2%에 해당하는 것이다.
2005년 3월부터 11월까지 전북 강천산 군립공원에 자생하는 유관속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사지역내에 분포하는 식물은 97과 253속 328종 45변종 6품종 등 총 379분류군으로 관찰되었다. 조사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379종류의 식물자원의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총 315종류의 자원식물로 분류되었으며, 식용자원(E)은 161종류(51.1%), 초지자원(P)은 121종류(38.4%), 약용자원(M)은 147종류(46.6%), 관상자원(O)은 82종류(26.0%), 목재자원(T)은 11종류(3.4%), 공업원료자원(I)은 14종류(4.4%)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14과 16속 16분류군으로 조사지역내 분포하는 총 379분류군 중 약 4.2%이었으며, 특정식물 중 III~V등급 식물은 9과 9속 9분류군으로 소산식물 379분류군의 약 2.3%로 나타났으며, 진화식물은 11과 15속 14종 1변종의 15분류군으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 225 종류의 6.7%에 해당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landscape resource assessment system(LRAS) to help evaluate the value of landscape resources(Jeju Island's Stonewall fencing farming land) for the introduction of direct payment system of the landscape preservation objectively and to applicate the model in the fields. Delphi survey on Jeju's stonewall experts shows that the order of priority among value evaluation elements on Jeju's stonewall is its harmony with surroundings(34%), the preservation of its original state(34%) and its density and scale(32%).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of landscape resources(Jeju's stonewall fencing filming land) and field observation survey utilizing it consists of the following five steps. Step 1 includes the first Delphi survey on Jeju's stonewall experts to decide its value evaluation elements and their priority. Step 2 is the second Delphi survey on Jeju's stonewall experts to grade pictures of landscape resources(Jeju's stonewall fencing farming land) on the basis of expert-proposed value evaluation standards. Step 3 consists of analysis work using the result of Delphi survey on experts. Step 4 is to select five grade standard pictures according to each of three grading elements of A, B, C belonging to each of the three standards. Then, it is necessary to make panels including five A-grade pictures, five B-grade pictures and five C-grade pictures according to each of the three elements of density, harmony, and original state preservation. Step 5 consists of field observation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 of few experts' value evaluation of stonewall fencing farming land with the aid of NRAS developed in this research, the area of Pyeongdae-ri is ranked first, and then the area of Bukcheon-ri, Chocheon-up, the area of Gwakgi-ri, Ewol-up, the area of Shinum-ri, Ewol-up and the area of Yongsu-ri, hankyung-Myun are ranked in the order named. When those areas are graded, A Grade Areas includes the areas of Pyeongdae-ri, the area of Bukcheon-ri, the area of Gwakgi-ri, B Grade Areas consist of the area of Shinum-ri and the area of Yongsu-ri, and the areas of Onpyeong, wimi and youngrak belong to C Grade Area.
Natural resource of the island and coastal regio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ecological network system in Korea. Currently, there is trend that natural and biological resources such as fishing and tidal wetland have been used to local economic activation in island and coastal regions. According to the 5-days work in a week, island and coastal regions become important amenity resource of citizen's recreation area. Korea is peninsula surrounded by maritime. Especially, South and West Sea surrounded by many islands and tidal flat wetlands are emerging marine ecosystem and seascape in the world. Natural resource is limited, so we have to sustain those resource to current tourism.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mportance of cultural resource as well as natural resource for 'eco-cultural tourism' in order to keep both biologic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as amenity resource for future island economic activation in Korea.
본 연구는 인천 송도임해매립지를 대상으로 자원식물상과 귀화식물을 조사함으로써, 매립이후 식물상과 식생 변화를 모색하고 자원식물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다. 송도임해매립지에서의 식물상은 39과 113속 144종 23변종 2품종 1교잡종으로 총 170종류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목본식물에는 18종류(10.6%), 초본식물에는 152종류(89.4%)로 분석되었다. 자원식물 중 식용식물에는 107종류(62.9%), 약용식물에는 99종류(58.2%), 관상용식물에는 55종류(32.4%), 기타용에는 77종류(45.3%)로 분석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에는 IV등급에 들완두, III등급에 모감주나무, I등급에 장구밥나무, 진퍼리까치수영, 뻐꾹채 등 총 5종류가 확인되었으나, V등급과 II등급에 포함되는 특정식물은 출현하지 않았다. 염생식물(사구식 물 포함)에는 갈대, 새섬매자기, 칠면초, 갯개미자리, 큰개미자리, 모감주나무, 장구밥나무, 왕질경이, 비쑥, 사철쑥, 쇠채, 사데풀 등 총 12종류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에는 11과 27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총 170종류의 관속식물 중 22.4%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