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metic industry is a typical industry for domestic demand and is closely connected with domestic demand growth. In 2006, domestic cosmetics market is showing high growth rate due to the recovery of domestic demand and the market reorganization of sales channels is proceeding rapidly due to the recent global economic slowdown, Due to the situation, many companies are launching low-priced brand sho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impact of marketing strategy of cosmetic brand-shop on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As the result of analyses, it was found that product, place, promotion factors of cosmetic brand-shop affect brand image. Also only product factor affects corporate image, perceived quality. And using regression analysis between brand image, corporate image, perceived quality and customer behaviors. Brand image and perceived quality factors influence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Brand image has a positive impact on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image affects the perceived quality.
본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전략적 CSR의 개념을 검토하고 전략적 CSR활동이 기업성과에 대해 갖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CSR 활동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전략적 CSR 활동이 전통적 CSR 활동보다 기업성과에 더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셋째, CSR 활동의 일차적 성과라 할 수 있는 사회적 성과가 CSR활동과 재무적 성과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상위 제조기업을 중심으로 회수된 216부(한국 115부, 일본 101부)의 설문을 AMOS와 STATA를 사용하여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CSR 활동이 기업성과에 대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갖는다는 사실은 한·일 모두 확인되었다. 둘째, 전략적 CSR 활동이 전통적 CSR 활동보다 기업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는 한국기업의 경우 사회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 모두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일본기업의 경우는 전략적 CSR 활동이 사회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 모두에서 전통적 CSR 활동 보다 더 큰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전략적 CSR 활동이 사회적,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있어 한국과 일본기업 모두 법·윤리적 책임활동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익창출 책임활동, 사회공헌 책임활동, 사회혁신 책임활동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는 세계 4위의 특허출원국이지만 기술 무역적자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미국, 유럽, 일본 등 각국에 비해서 지적 재산 관련 면에서 뒤져있는 한국으로서 지식기반사회를 이끌고 나갈 수 있는 지적 재산 관리 회사가 필요하다. 2010년에 한국 최초로 설립된 Intellectual Discovery(주)에서는 기업의 특허권은 물론, 지적재산을 많이 생산하는 대학이나 연구기관들의 미활용 지적재산권을 매입관리하거나 라이센싱해서 이들 기관의 연구개발을 활성화시킬 예정이다. 한편으로 특허 소송이나 외국 특허 침해에 대해 건설적인 대응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회사는 앞으로 주식공모를 통해 상장하고 지적 재산 기반으로 펀드를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하게 될 것이다. 또한, 대기업과 중소기업 관계를 특허권을 매개로 상생관계를 만들고 자율적이고 창의성 있는 경쟁전략을 마련해서 우리 산업 기술을 선진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지적 재산 관리회사의 경쟁전략에 대해서 우리나라 특허권 실태와 함께 논의하였다.
A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reduce fluctuation of the indoor temperature in a radiant floor heating system. The system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is called BoilerMan. With the BoilerMan system the hot water circulation pump is controlled by computer software which implements a unique strategy. To minimize the system development time a user-friendly development environment was used. This development environment was useful in the implementation and testing of the efficiency of our strategy. The environment also serves as an easy means for system maintenance. The BoilerMan went through a few test runs against a real apartment house and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initial temperature overshoots against the target values. It also reduced the operatingtime of the hot water circulation pump. Such positive results were possible due to our unique strategy that exploits heating efficiency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ast run of the very same system. Since the strategy was implemented with embedded software, it makes the BoilerMan flexible, too.
기능성 게임(serious game) 이란 게임적 요소인 재미를 충분히 가지고 있으면서 그 외의 교육, 훈련, 치료 등의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게임을 의미한다. 기능성 게임의 활용 분야 중 의료 분야는 일방적인 정보 전달 체계와 전 세계적인 고령화 사회 진입 경향에 미루어 볼 때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의료 기능성 게임 중에서 효과나 재미성이 입증된 게임들을 선정하고, 그 게임들의 장단점을 분석한다. 또한 벤치마킹 게임들의 분석을 통하여 의료 기능성 게임 제작을 위한 네 가지 게임 설계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기업의 지속적 생존과 성장이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적인 제품혁신에 있음에 초점을 두고, 산업 진화과정이 기업의 제품혁신 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와 인지, 기회구현, 변형의 세 가지 동태적 역량이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산업의 도입기부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를 모두 경험함으로써 종단적 분석에 적합한 한국 무선인터넷 산업의 7개 상장 기업에 대한 인터뷰와 문헌조사를 통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의 성장률이 둔화되는 성숙기 또는 쇠퇴기에는 제품혁신의 경로종속성은 낮아지고, 산업진화 과정의 외생적 변수가 중요해진다. 둘째, 기업의 인지활동은 상위 수준의 전략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인지활동 범위와 제품혁신의 유형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영역의 인지활동이 필요하다. 셋째, 기회구현역량은 제품혁신의 성공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기여하게 된다. 특히 경로종속성이 높은 제품혁신을 선택했을 때 높은 성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적절한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과 필요한 자원 및 역량의 조달이 병행될 때 가능성은 높아진다. 넷째, 변형역량이 강한 기업이 그렇지 못한 기업에 비해 기존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점진적 유형의 제품혁신을 선택할 확률이 크다. 결론적으로 기업이 성공적인 제품혁신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산업 진화과정의 고려와 함께 균형적인 동태적 역량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것이 기업의 지속적인 생존과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한국 이러닝 산업의 국내 시장은 포화상태이고 수출지역이 중국 및 일본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수출지역 확대를 위한 신규시장 개척이 필요하다. 또한 해외 진출시 필요한 유통망 확보, 객관적 해외시장 정보, 접근전략 등이 포함된 종합적인 해외시장진출 정보 역시 지원되어야 할 시점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이러닝 산업은 시장성이높지만 한국의 진출이 미미한 수준인 중동권 시장 진출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중동지역 진출과 더불어 그 지역의 사회, 문화와 더불어 기업 현황, 교육 현황, 정부정책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추진전략을 세워야 한다.본 연구는 사우디아라비아와 UAE의 이러닝 현황을 조사하고 이러닝 정부정책 현황및 관련기관, 정부부처, 주요기업 등을 유목화 하였다. 그리고 조사내용을 분석하여사우디아라비아와 UAE의 이러닝 시장 진출 전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국내 기업의 이러닝 해외시장 개척 및 글로벌 역량 강화를 촉진하는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중동권 대표국의 이러닝 시장 전망 및 분석을 통한 정책 수립과산업진출 및 사업전개를 위한 사업실시 매뉴얼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있을 것이다.
Under limited resources such as budgets and experts, it is necessary to make decisions for promotion strategy of standardization work item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This paper focuses on a method of setting standardization pro
우리나라에서 2012년부터 공식 적용되는 새주소 정보가 위치표시에 있어 핵심정보임에도 불구하고 국가기본공간정보와 연계되지 못하고 있으며, 행정권역 및 각종 권역정보는 체계적으로 구축되지 않아 국가기본공간정보 활용의 한계 및 예산중복과 효율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공간정보인프라로서 새주소 자료의 전략적 연계 및 각종 권역 정보의 체계적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도로를 중심으로 주소정보와 각종 권역정보를 연계하고 있는 해외의 도로분야 기본공간정보 구축 현황을 분석하고, 둘째, 국내의 기본지리정보, 새주소 정보, 각종 권역정보 DB구축 현황을 분석한 후, 셋째, 도로를 중심으로 주소정보와 권역정보를 연계하는 DB 구축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신발산업 해외직접투자 성과에 있어, 세계 신발생산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 대만 신발산업의 성과 차이가 생성되는 요인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에 15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한국 70개 기업과 대만 50개 기업의 해외 자회사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방법은 다중회귀분석과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대만의 해외직접투자 성과를 비교하여 대만 신발산업의 해외직접투자 성과가 한국을 앞선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신발산업 해외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술, 바이어 관계, 동반진출, 진입 시기, 생산현지화, 투자지분, 해외직접투자 경험 등 총 7개 요인이 선정되었다. 셋째, 7개 요인 중에서 투자지분, 동반진출, 진입시기, 생산현지화 3개 요인이 한국과 대만 해외직접투자의 성과의 차이를 만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한국과 대만의 해외직접투자의 종합적 성과의 차이는 바로 이 네 변수 즉 투자지분율, 동반진출 수준, 진입시기, 생산현지화 수준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대만의 신발기업의 경우, 해외 직접투자시 한국보다 높은 합작투자 비율, 한국보다 높은 부품업체 동반진출 비율, 한국보다 빠른 해외투자 진출, 한국보다 높은 현지 부품구매 비율을 통해 한국보다 높은 해외직접투자 성과를 올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신발기업들이 해외직접투자에서 높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연구에서 도출된 바처럼 합작투자 비율을 높이고, 부품업체와의 동방진출 비율을 높이고, 현지 부품 구매를 통해 생산을 현지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 다큐멘터리의 강점과 문제점, 유통 현황과 대응 전략 등을 알아보기 위해, 전문가 심층인터뷰와 SWOT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국내 다큐의 강점으로는 휴먼, 시사 다큐,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강세가 꼽혔고, 약점으로는 전문 기획역량이 부족한 점, 낮은 제작비와 짧은 제작기간, 소재의 다양성 부족, 포스트 프로덕션 작업의 취약성 등이 지적됐다. SWOT 조건에서 취할 수 있는 각각의 경쟁 전략을 도출해 본 결과, 강점⦁기회전략으로는 플랫폼 다각화에 따른 차별적인 다큐 제작과 HD 환경에 적합한 킬러 콘텐츠 제작의 필요성, 강점⦁위협전략으로는 정부의 해외공동제작 지원과 해외 영화제 및 마켓 참가 지원 등이 꼽혔다. 반면, 약점⦁기회전략으로는 다큐멘터리 전문제작 인력의 양성, HD 제작기반 시설에 대한 지원, 포스트 프로덕션에 대한 투자, 유통 전문가 양성 등, 약점⦁위협전략으로는 저작권 문제 해결, 다큐 제작 지원을 위한 펀드 조성 등이 시급한 전략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전문적으로 다큐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다큐 포맷을 유통시킬 수 있는 독립적인 회사가 필요하다. 독창적인 기획을 가지고 이를 체계적인 포맷으로 가공한다면, 우리의 콘텐츠를 해외 시장에 전파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